‘카더라’식 교육법, 아이두뇌 망칠수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카더라’식 교육법, 아이두뇌 망칠수도...

0 개 1,418 jj
우리나라 부모 자녀 교육열은 단연 세계 최고입니다. 하지만 우리 교육현장만큼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 판을 치는 곳도 없을 것입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든 나름대로 자녀 교육에 대한 소신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래서 교육을 놓고는 누구나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것이지요. 수많은 교육방법이 난무하는 것도 무리는 아닙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엄마 한둘만 모여도 어김없이 나오는 이야기가 누구는 이렇게 저렇게 해서 어디를 갔다더라는 것이지요. 교육에서도 ‘카더라’식 대화가 위력을 발휘합니다. 실제로 주위에 아는 엄마가 아이를 어디 좋은 대학에 보내기라도 하면 다른 엄마들은 앞 다퉈 그 노하우를 알고 싶어 귀를 세웁니다.

가령, 한 엄마가 초등학교 2학년 때 아이의 수학과 공부습관을 한번 잡아줬더니 자기가 알아서 공부해 특별 학급에 들어갔다는 얘기를 했다고 합시다. 그러면 다들 그 아이의 공부방법과 엄마의 교육방식을 벤치마킹해 보려고 합니다. 문제는 그 방법이 우리 아이에게 맞느냐는 것이지요. 위의 아이는 좌뇌형인데 우리 아이가 우뇌형이라면 아무런 소용이 없겠지요.

이처럼 다른 아이의 공부방법이나 다른 엄마의 교육방식을 받아들일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같은 엄마 밑에서도 완전히 다른 유형의 아이가 나올 확률이 훨씬 더 높습니다. 심지어 일란성 쌍둥이라 해도 다른 두뇌유형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큰아이를 키우면서 터득한 교육 노하우를 둘째 아이에게 그대로 적용해 낭패 보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모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아이 두뇌에 대한 정확한 진단입니다. 우리 아이가 우뇌형인지 좌뇌형인지 아니면 좌우뇌형인지 알아야 합니다. 또 우뇌 아이라고 해도 완전 우뇌인지 강한 우뇌인지 아니면 일반 우뇌인지 좌뇌적 성향을 갖고 있는 우뇌인지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아이의 두뇌를 보완해야 할까요?

우뇌 아이에게는 좌뇌를 계발해주고 좌뇌 아이에게는 우뇌를 계발해줌으로써 아이에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좌, 우뇌를 골고루 쓸 수 있는 두뇌 유형 프로그램을 해줘야 합니다. 가장 좋은 시기는 초등 3~4학년때 이므로, 아이가 좌뇌의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마인드와 우뇌의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마인드를 갖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가 어렸을때는 영재 소리를 들었는데 중학교에 진학하더니 성적이 하위권으로 떨어졌다.”, “매일 열심히 하는데 아이의 성적이 오르지 않아 걱정이다.” 등 다양한 고민을 가진 학부모들에게는 학습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는 ‘두뇌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솔깃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초등학교 6학년부터는 지능보다 생각하는 방식이 훨씬 더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저학년 때는 지능이 높고 우뇌가 강한 아이들이 두각을 나타내지만 6학년이 되면서는 지능보다 좌뇌를 잘 쓰는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합니다.

우뇌 아이는 저학년 때 무리하게 수학을 시키지 않고 아이가 좋아하는 책을 읽고, 요약, 분석, 독후감 쓰기로 좌뇌를 강화하도록 합니다. 고학년 때는 수학 기본 개념이나 공식을 도형이나 그림으로 이해시킨 후 문제를 풀게 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수학경시나 무리한 선행학습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좌뇌 아이는 탐구성이 높아 수학, 과학을 좋아합니다. 이 분야는 저절로 잘하게 되어 있으니 부족한 감성과 직관을 키워줘야 합니다. 인문, 사회 등 다양한 분야를 접하게 해 사고의 폭을 넓혀주는 게 좋습니다.

아이 가치관 맞춰 설명해야....

댓글 0 | 조회 1,351 | 2012.03.28
“아빠, 공부는 왜 하는 거야?” “공부는 너 자신을 위해서 하는 거야, 너의 미래를 위해 엄마 아빠가 매일 공부하라는 말을 하는… 더보기

독수리가 새끼에게 나는 법을 가르치는 방법

댓글 0 | 조회 1,361 | 2012.11.28
미국 콜로라도 협곡에 사는 독수리들은 가시가 많은 아이언우드라는 나뭇가지로 둥지를 만든답니다. 처음엔 새끼가 날카로운 가시에 찔리지 않게 둥지 안을 깃털과 풀로 … 더보기

질문법으로 ‘생각의 기회’ 주세요

댓글 0 | 조회 1,364 | 2012.05.08
얼마 전 딸아이와 약국에 갔다가 깜짝 놀란 적이 있습니다. 아이는 약국에 가는 걸 무척 좋아하는데 약국에 가면 자신이 좋아하는 비타민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더보기

산만한 아이를 키우는 부모가 지켜야 할 10가지 원칙

댓글 0 | 조회 1,370 | 2013.06.11
1. 아이의 행동에 될 수 있는 한 빨리 반응해 주세요. 상을 주거나 가벼운 벌을 줄 때는 즉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잘 하고 있으면, 즉각 칭찬과 인정해… 더보기

나는 어떤 유형의 부모일까요?

댓글 0 | 조회 1,401 | 2012.07.24
가정에서 교육에 대한 지도자적 역할을 할 사람은 부모입니다. 어린이들은 부모의 말을 듣기보다는 부모의 행동을 더 잘 따르기 때문에 부모역할에 하는 데에는 엄청난 … 더보기

현재 ‘카더라’식 교육법, 아이두뇌 망칠수도...

댓글 0 | 조회 1,419 | 2013.03.26
우리나라 부모 자녀 교육열은 단연 세계 최고입니다. 하지만 우리 교육현장만큼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 판을 치는 곳도 없을 것입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 더보기

화를 다스리기

댓글 0 | 조회 1,429 | 2012.06.12
평상시 얌전하던 아이가 소위 욱하는 마음에 화를 참지 못하고 다른 아이나 형제에게 폭력을 행사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부모는 너무 놀라 … 더보기

부모가 어른일 때 자녀를 가르칠 수 있습니다

댓글 0 | 조회 1,430 | 2012.04.24
수미아빠와 수미가 TV채널을 가지고 서로 실랑이를 하고 있습니다. 딸은 늘 재미있게 봐왔던 만화를 보고 싶어하고, 아빠는 꼭 보고 싶은 스포츠 중계방송이 있는 날… 더보기

[320] 내 아이 안에 잠들어 있는 거인을 깨우는 긍정의 힘

댓글 0 | 조회 1,432 | 2005.11.11
‘게임 하지 마라’ ‘친구하고 싸우지 마라’ ‘수업 시간에 딴 생각 하지 마라’ ‘밥 남기지 마라’ 등 아이가 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마치는 것이… 더보기

[319] 책 고를때부터 부모가 함께해야

댓글 0 | 조회 1,459 | 2005.10.25
◆ 왜 책을 읽어야 하나="토론은 부드러운 사람을 만들고, 독서는 완전한 사람을 만든다."프란시스 베이컨의 말이다. 인간은 책 읽기를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사람… 더보기

엄마의 행복은 최상의 자녀교육

댓글 1 | 조회 1,463 | 2012.06.26
우리는 거울을 보면 자기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거울을 보면서 자신의 모습이 맘에 들기도 하고 어느 때에는 맘에 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더보기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주는 대화요령

댓글 0 | 조회 1,474 | 2013.07.09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중요성은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는 바입니다. 대화의 수준이나 질은 부모-자녀 관계의 수준이나 질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척도이기도 합니다. 첫째… 더보기

[353] 미국에서도 성적 경쟁시대

댓글 0 | 조회 1,493 | 2007.03.28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교육을 강화- 미국의 교육개혁이라고 할 수 있는 ‘열등생은 없다 (No Child Left Behind Law)’ 법안이… 더보기

[364] 잦아지는 아이와의 의견충돌 어떻게 풀어 가야 할지....

댓글 0 | 조회 1,506 | 2007.09.12
※ 원인 ※ 갈등은 우리가 행하는 거의 모든 행위 속에서 나타날 수 있다. 부모와 아이 사이에 갈등은 왜 생기는 걸까? 그것은 부모가 원하는 것과 아이가 원하는 … 더보기

[365]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517 | 2007.09.26
아이를 양육하는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는 아마 없을 것이다. 과연 어떻게 하는게 잘 키우는 것일까? '잘 키우는 것'에 대해 만인이 수긍할 만한 정답은 아직 없다.… 더보기

[335] 야단치고 때린 다음 어떻게 하면 좋죠?

댓글 0 | 조회 1,528 | 2006.06.26
단순히 혼내고 때리는 것만으로 아이 행동을 바꾸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쩌다 한 번 사랑의 매를 든다 할지라도 아이는 백 번의 애정 어린 포옹보다 한… 더보기

[372] 꿈은 있으나 노력하지 않아요

댓글 0 | 조회 1,533 | 2008.01.15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비슷한 이유로 성공한다. 반대로, 실패하는 사람들 역시 비슷한 이유로 실패하게 된다. 각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살펴보면 공통점이 있다. … 더보기

[356] 본인에 맞는 계획 세우기

댓글 0 | 조회 1,539 | 2007.05.09
신기하게도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은 본능적으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이 생기면 무슨 공부를 어디서… 더보기

[326] 아이의 성격이 맘에 들지 않습니다

댓글 0 | 조회 1,540 | 2006.02.14
Intermediate 2에 올라가는 아들과 성격이 전혀 맞지 않습니다. 작년까지는 아이가 제 말을 잘 들어서 부지런한 편이었고 정리정돈도 잘 하였는데, 올해부터… 더보기

반기문식 영어독서 학습법이 뜬다

댓글 0 | 조회 1,548 | 2013.01.15
영어능력이 필수인 시대. 엄마들의 영어에 대한 관심은 가히 폭발적입니다. 한국 성남에 사는 6살 아들을 둔 주부 A씨도 그 중의 한 명으로, 최근 아들이 조기영어… 더보기

[357] 에세이는 어떻게......?

댓글 0 | 조회 1,550 | 2007.05.23
많은 명문대학 응시자들은 고등학교때 활동한 특별 활동과 받은 상들의 화려한 리스트를 나열 할 것입니다. 또한 빛나는 점수와 학점은 기본 입니다. 그러나 개인 에세… 더보기

[329] 정보화 시대와 독서

댓글 0 | 조회 1,558 | 2006.03.28
오늘날을 흔히 정보화 시대라 한다. 정보화 시대란 한 마디로 정보 및 지식이 지배하는 시대라는 뜻이다. 엄밀히 말하면 정보화 시대가 아니라 정보 시대라고 하는 것… 더보기

[347] Reading Skill

댓글 0 | 조회 1,562 | 2007.01.15
읽기 실력(Reading skill) 개발을 위하여 부모님이 할 수 있는 8가지 습관들을 관찰하고 자녀들에게 좋은 읽기 습관을 갖도록 도와주기 바란다. 1. 읽기… 더보기

[354] 어휘력 증진방법

댓글 0 | 조회 1,563 | 2007.04.11
● 기본 단어는 별도로 공부해 둔다. 원래 사전 자체를 암기하는 것은 노력에 비해 효과가 적으며 '죽은 영어를 배우는 지름길' 이라는 말까지 있습니다. 그러나 기… 더보기

학교 공포증

댓글 0 | 조회 1,564 | 2013.08.27
평소에 학교에 가기 싫다고 말하는 아이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아이들은 학교에 가기 싫어서 머리나, 배가 아프다고 하는 등 꾀병을 부리기도 합니다. 아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