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길을 묻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인간의 길을 묻다

0 개 1,403 김영안

1cf58baacf96a49e51925e8d03db020f_1508985640_0312.jpg
 

방대한 중국 역사를 우리는 주로 소설 형식으로 접하고 있다.그 대표적인 것이 삼국지(三國志)와 열국지(列國誌)이다.

 

소설이 아닌 역사서로 또한 우리에게 중요한 자료로서 다가오는 것이 바로 <사기(史記)>이다.

 

<사기>의 작가인 사마 천에 대한 이야기는 대부분 잘 알고 있다.

 

사마천(司馬遷)은 한나라 전성기인 한 무제 때 활동한 역사학자이자 문학자로, 기원전 145년경 태어났다. 황제 측근에서 각종 기록을 담당하던 아버지 사마담의 영향으로 어렸을 때부터 학문에 정진했다. 사관직인 태사령에 오른 그는 B.C. 99년 자신과 무관한 일- 이릉(李菱)의 화(禍)-에 상소를 올렸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사형을 선고 받았다.

 

이 때 그의 나이 47살이었다. 당시 사형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돈 오십만 냥으로 감형 받는 것과 궁형을 받아 환관이 되는 것이었다. 보석금이 없어 궁형(宮刑: 거세하는 벌)을 당하고 목숨을 건져 말년에 유명한 <사기>를 지었다고 한다. 그가 지은 <사기>는 왕도정치의 이상을 담은 공자의『춘추』를 계승한 책이다.

 

<사기>는 기존의 역사 책의 구조를 바꾼 획기적인 역사서이다.

통상 일어난 일을 시대적으로 기술하는 편년체에서 사건 중심의 기전체로의 전환을 한 것이다.

 

어떤 사건의 전후 관계를 쭉 써 내려가는‘기사본말체(記事末本體)’나 연대순으로 일어나는 사건과 인물을 엮어 가는‘편년체(編年體)’로는 인간을 탐구할 수 없다. 먼저 사람을 구분한 뒤 그들의 활동을 분석하는 ‘기전체(紀傳體)’라는 독특한 역사 서술 방식을 고안해 냈다.

 

<사기>는 제왕의 정치와 행적을 연대순으로 기술한 ‘본기(本紀)’12권, 제후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사건을 시대순으로 서술한‘세가(世家)’30권, 영웅호걸의 전기에 해당하는 ‘열전(列傳)’70권, 천하의 문물제도의 기원과 발달 원리를 추구한 ‘서(書)’8권, 여러 사건의 시공간적 연관성을 도표화한 연대기인 ‘표(表)’10 권으로 되어 있는 총 130 권의 대작이다.

 

원문을 직접 읽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풍부한 해설과 배경을 설명을 더한 해설서를 읽는 것이 더 이해가 빠를 수 있다.

 

김영수의 ‘인간의 길을 묻다(왕의서재: 2010)’는 국내 최고의 사마천 연구가로서 직접 현장을 답사하면서 사기를 해설하고 있다.

 

사마천의 <사기>와 관련해 중국에서 가장 먼저 설립한 섬서성 한성시 사마천학회 정식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우리 나라 대표적인 <사기> 전문가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석, 박사를 마치고 15여 년 동안 중국 전역을 돌면서 현장을 일일이 확인해 저술을 했으며, 수 많은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역사의 등불 사마천, 피로 쓴 사기>, <사기 리더십>, <사기 경영학>, <난세에 답하다>, <사마천, 인간의 길을 묻다>, <현자들의 평생 공부법>이 있다.

 

이 책은 아마도 국내 최초로 QR(quick Response) 코드 태그를 이용해 자신이 찍은 동영상을 제공한 책이다. 평면적인 책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과 현장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담아 사기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책이다.

 

예전에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로 스마트 폰의 등장으로 IT 기술을 접목해 가능한 일이다.

 

또 다른 한 권의 책은 김 원중의 ‘통찰력 사전(글항아리: 2009)’으로 다른 시각에서 사기를 해설해 가고 있다. 저자는 한학을 했으며 성균관대 중문과에서 중국고전으로 박사를 받았다.

 

고전들의 인문학적으로 재해석하여 고전 속의 인물들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조명하였다.

 

제 1장‘투시(透視)’로 시작해 36장‘세태(世態)’로 분류해 사마 천의 생각을 정리한 것이다.

 

하루에 한 문장씩 읽도록 300개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한 인간의 일생일대의 역작이 중국역사는 물론 전 세계 역사에 큰 획을 그은 것이다.

 

그리고 숨겨진 여러 이야기가 우리에게 큰 감명과 교훈을 주는 책으로 비록 중국인이 아니더라도 동양 사람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일어 보아야 할 필독서이다.

 

역사서를 읽다 보면 ‘인간은 무엇이고 진리란 무엇인가? 그리고 진정한 삶의 가치는 무엇인가?’라는 삶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최근에 때 아니게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로 이념 대결하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

 

역사는 이념이 아니고 진실이다. 역사를 올바르게 기술하고 역사서를 통해 정확한 진실을 알아야만 우리의 정체성을 정확히 알 수가 있다. 지금부터라도 우리도 거창한 국가의 역사가 아닌 우리만의 진솔한 역사를 한 번 써 보자. 

내 인생에 용기가 되어준 한마디

댓글 0 | 조회 1,474 | 2019.02.27
무려 11시간 반의 비행을 해야 도착하는 뉴질랜드 집으로 왔다. 아무래도 잠자리가 바뀌므로 여러 가지 적응하느라 시간이 조금 걸렸다. 일년에 두 번씩 왕복하는 긴… 더보기

양보와 소외된 계층에 대한 배려로 윈윈할 수 있는 세상...

댓글 0 | 조회 1,470 | 2018.09.13
​지식e우리나라 대선 정국에는 항상 보수(保守)와 진보(進步)의 첨예한 대결 양상이다. 최근에 진보 정권이 들어섰다. 양 진영이 각자 자기 방식대로 서로 서민을 … 더보기

그리스, 로마신화

댓글 0 | 조회 1,463 | 2018.02.15
우리는 불가능한 일을 이루었을 때 기적(奇蹟)이라고 하고 그 스토리를 신화(神話)라고 부른다. 신화(神話)는 우리에게 꿈을 주고 역사를 심어주는 중요한 매체이다.… 더보기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댓글 0 | 조회 1,442 | 2017.03.22
위대한 우리 문화 유산의 전도사인 전 문화재 청장 유홍준의 한국인의 교양필독서인‘나의 문화유산답사기(창비, 2011)’전집을 읽어 보기를 권한다.이 책은 1993… 더보기

역사 스페셜

댓글 0 | 조회 1,431 | 2017.02.22
흔히 TV를 바보상자라고 한다. 비정상인 막장 드라마만 보고 시청자들이 멍청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TV가 반드시 그런 역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생생한 뉴스의 … 더보기

선비의 생각, 산수로 만나다

댓글 0 | 조회 1,413 | 2017.04.26
요즈음 명화 마케팅이 한창이다. 모 제약사는 구스타프 크림트의‘키스’를 포장지로 사용하고 있고,모 재벌 그룹은 명화를 이용한 이미지 광고를 내보내고 있다.하지만 … 더보기

미국 문화에 대한 애교 넘치는 독설, '발칙한 미국 문화'

댓글 0 | 조회 1,407 | 2018.07.11
나의 첫 해외 여행은 1981년 뉴욕이었다. 그로부터 30여 년 만에 뉴욕을 다시 찾았다. 이번에는 유나이트 에어(United Air)를 이용해 일본 나리다 공항… 더보기
Now

현재 인간의 길을 묻다

댓글 0 | 조회 1,404 | 2017.10.26
방대한 중국 역사를 우리는 주로 소설 형식으로 접하고 있다.그 대표적인 것이 삼국지(三國志)와 열국지(列國誌)이다.소설이 아닌 역사서로 또한 우리에게 중요한 자료… 더보기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댓글 0 | 조회 1,373 | 2018.12.11
‘헐!’요즈음 아이들이 쓰는 신조어가 절로 나온다.2013년 1월 27일 730쇄.2012년 1월 27일 1 쇄를 한 지 꼭 1년 만에 730 쇄를 찍었다.하루에… 더보기

댓글 0 | 조회 1,367 | 2018.03.28
사물과 사물 사이의 빈 공간을 틈이라고 한다. 공간적인 의미 외에도 틈도 있다.바로 시간의 틈이다. 즉, 과거와 미래 사이에는 영원으로 통하는 틈이 있는데 그것이… 더보기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는 책 만들기란?

댓글 0 | 조회 1,362 | 2018.08.23
최근 인터넷 조사에서 지하철에서 결혼 이상형을 묻는 질문에 남녀 공히 독서하는 여자, 남자가 1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어쨌든 책 읽는 모습은 언제 어디서나 항상 … 더보기

문명의 배꼽, 그리스

댓글 0 | 조회 1,353 | 2019.01.31
영국의 대영박물관에 가면 건물입구가 웅장하다. 바로 그리스 파르테논(Parthenon) 신전을 모방해 만든 것이다. 이뿐만 아니다. 대영 박물관이 가장 자랑하고 … 더보기

독(毒)과 도(道),사람이 책을 만들지만 책은 사람을 만든다

댓글 0 | 조회 1,305 | 2018.08.08
독(毒)과 도(道)사람이 책을 만들지만 책은 사람을 만든다. 이는 독서를 통해 인격이 완성된다는 뜻이다. 책을 읽는‘독서(讀書)’는 기본이다. 읽고 싶은 책은 돈… 더보기

1Q84

댓글 0 | 조회 1,285 | 2017.12.19
인문학 산책 (21)요즈음 우리 세대는 두 개의 다른 세계를 동시에 살고 있다. 현실인 리얼(real) 세계와 가상의 사이버(cyber) 세계.최근 화제작인 무라… 더보기

중용, 인간의 맛

댓글 0 | 조회 1,238 | 2017.09.13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전으로는 사서(四書) 삼경(三經)이 있다.사서는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그리고 중용(中庸)이다.사서 중 ‘논어’에서… 더보기

최근 서점에는 CEO시리즈가 범람하고 있는데...

댓글 0 | 조회 1,230 | 2018.07.25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어제와 오늘이 다르다는 것은 개인이나 기업이든 누구에게나 공통된 사실이다. 매 순간 변화하고 있다. 변화는 필연적이다. 변화는 수 많은… 더보기

옆으로 본 우리 고대사..

댓글 0 | 조회 1,229 | 2017.02.08
컬럼을 시작하면서,* 21세기의 문맹은 읽지 못하고 쓰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배울 수 없고, 배우지 않고, 다시 배우려 하지 않는 사람이다.- 앨빈 토플러한 시대… 더보기

Art is

댓글 0 | 조회 1,225 | 2018.04.11
뉴욕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메트로폴리스 박물관은 세계 4대 박물관 중 하나로, 약 330만 점에 이르는 소장품은 미국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거의 대부분의 소장품… 더보기

흑산

댓글 0 | 조회 1,202 | 2017.06.27
초창기에 종교의 탄압은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도 존재한다.무언가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이기까지는 고난의 세월을 보내고 공인(公認) 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을 필요로 … 더보기

파스칼의 팡세

댓글 0 | 조회 1,199 | 2018.01.31
이 번주부터는 그 동안 우리 나라와 중국, 일본 등 동양을 벗어나 서양 인문학으로 넘어 가려 한다. 그래서 첫 책을 고르는데 조금은 신중을 기했다. 서양 인문학의… 더보기

아버지의 편지

댓글 0 | 조회 1,194 | 2017.07.11
세미나의 메카인 제주의 5월은 무척이나 바쁘다. 요즈음은 금한령(禁韓令)으로 중국 관광객이 현저히 줄었지만 일본의 연휴로 온 관광객과 중고생 수학여행으로 공항은 … 더보기

희망의 귀환

댓글 0 | 조회 1,189 | 2019.01.16
그 동안 여러 방면의 책을 골고루 읽으면서 생각들을 정리했으며 나의 삶에 뭔가 방향이 잡힌 듯하다. 하지만 이번 주는 멋 있게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해 좋은 책을… 더보기

화인열전

댓글 0 | 조회 1,165 | 2017.04.12
해외 여행 중 시간이 허락되면 반드시 그 나라의 박물관 탐방을 하곤 했다.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의 엘긴마블(Elgine marble) 과 미이라가 이집트보다 더 많… 더보기

동양고전이 뭐길래

댓글 0 | 조회 1,118 | 2017.08.08
지난 번까지는 우리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금주부터는 이웃 문화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지난 주 이야기에‘지피지기 백전불태 (知彼知己 百戰不殆: 나를… 더보기

한시 미학 산책(漢詩美學散策)

댓글 0 | 조회 853 | 2017.11.21
독서를 하다 보면 나름대로 독서 취향이 생기는 것이다. 문학에서 철학으로 그리고 다시 처세술로 필요에 따라 장르가 바뀐다. 또한, 즐겨 찾는 작가도 생기게 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