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세대를 위한 식량대책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다음 세대를 위한 식량대책

0 개 2,211 조병철
세계는 지금 넘치는 먹거리 속에서 풍요롭게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직도 일부 배고픔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건 인도적으로 정치적으로 왜곡된 현상으로 치부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세계 식량전문가들은 또 다른 미래에 대한 불안한 전망을 내 놓는다. 세계 인구는 2050년까지 35% 정도 늘어나 90억을 넘을 전망이고, 이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는 현재의 식량 생산을 두 배로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중국 인도 같은 개발도상국가에서 육류의 소비가 늘어나게 될 것이고, 이들을 위해 가축을 길러내려면 콩 옥수수 같은 곡류의 수요가 추가로 늘어난다. 이 기간에 현재의 식량 생산을 두 배로 늘리는 거 쉬어보이질 않는다. 

우리는 지금 세계가 더위 지는 기후변화 속에 살고 있다. 그런데 그 주된 원인이 농산업에서 발생했다는 지적이다. 인류가 신대륙으로 확산되면서 많은 농토를 늘려 식량을 생산해 냈다. 농장을 만드느라 산림을 벌채하면서 탄소를 방출케 되었을 뿐 아니라, 이들 토지에서 농사와 가축사육으로 메탄가스의 방출이 늘어났다. 이로 인해 자연환경을 지구온난화 방향으로 몰아갔다는 지적이다. 그러면 이런 자연환경을 염두에 둔다면 과연 어떠한 대책이 바람직할까? 이에 대한 대담한 제안이 있어 소개코자 한다.

먼저 여태껏 흔히 해 왔던 산림을 파괴해서 농토를 늘리는 일을 중지하자. 이미 우리는 북미와 열대우림에서 엄청난 면적의 산림을 벌채함으로써 세계의 허파를 상하게 만들었다. 가장 손쉽고 확실한 방법으로 이렇게 하면 가축, 콩, 팜유 등의 생산을 늘릴 수 있지만, 그에 대한 대가는 지구 전체가 짊어져야 한다. 한 지역, 한 나라를 위한 식량증산은 지구 전체의 부담으로 우리에게 다시 돌아온다. 

두 번째는, 1960년대 녹색혁명을 통하여 아시아 아메리카 등지에서 식량생산을 늘렸던 경험이 있다. 식량작물의 품종개량, 관개시설 설치, 화학비료 투입, 농기계 도입 등으로 획기적인 식량증산이 가능했다. 물론 환경 부담이 늘어나는 부작용을 감내하면서 말이다. 이제 아프리카, 동유럽, 아메리카 같은 식량의 생산성이 낮은 지역에 이런 녹색혁명 때의 방법을 활용한다는 방안이다. 여태껏 개발된 첨단 농업기술은 투입하는 한편, 필요한 지역에서는 유기농법의 동원으로 생산량을 늘려간다. 

세 번째는, 농업에 필요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현대 농법은 첨단기술과 장비를 다 활용할 수 있다. 토양 조건에 맞도록 비료량을 조절함으로써 환경부담을 덜고, 농약 사용도 필요한 시기에 최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줄인다. 또한 유기농법을 도입한 멀칭과 녹비작물 재배로 물과 비료의 사용량을 절감시킨다. 특히 자원이 부족한 저개발 국가에서는 유용한 방법으로 정평이 나 있다. 

네 번째, 현대인에게 어려운 제안이지만 육류의 소비를 줄이자는 얘기다. 현재 세계 식량의 36% 정도는 동물사료로 이용된다. 곡물 100 칼로리를 가지고 달걀을 생산하면 22 칼로리, 닭고기는 12 칼로리, 돼지고기는 10 칼로리, 쇠고기는 3 칼로리가 된다. 그러니까 곡류의 많은 칼로리를 들여서 적은 칼로리의 육류를 즐기는 격이다. 이런 육류의 소비를 줄일 수만 있다면 보다 많은 인구가 식량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현재 선진국에서 육류소비가 지나쳐 성인병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을 걱정하지 않는가. 또한 곡물을 연료로 전환하려는 생각을 버리라는 충고다. 

다섯 번째, 식량의 낭비를 줄여야 한다. 세계적으로 25% 정도의 식량이 우리의 입으로 들어가기 전에 낭비된다. 선진국에서 가정과 음식점에서, 후진국에선 저장과정에서 많은 양이 허비된다. 실감이 나질 않는다면 우리의 냉장고를 열어 살펴보시라. 또한 예전에 며느리가 함부로 버리는 밥알을 시아버지가 주서 먹었다는 얘기가 있지 않는가. 이런 교훈을 통해서라도 쉽게 버려지는 소중한 식량을 줄이자는 얘기다. 이건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과제로 보인다. 

이런 방향으로 나갈 경우 늘어나는 식량 수요를 충족하키면서 지구에 대한 환경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물론, 이들의 실행은 간단해 보이질 않는다. 그런데 무엇보다 반가운 것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잘 이해하고 있어, 그것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만 결정하면 된다는 점이다. 우리의 식량에 대하여 좀 더 주의 깊은 성찰로 우리의 식단을 채울 때, 이런 식량에 대한 도전도 해결 할 수 있다. 오늘 당장 슈퍼마켓에서 어떤 식재료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료: Foley, J. A five-step plan..... National Geographic. May 2014. pp27-59.

와이헤케 와인 투어

댓글 0 | 조회 2,099 | 2019.05.15
Waiheke island wine tours오클랜드 동쪽 앞바다에는 와이헤케 섬이 있다. 페리로 사십분 정도면 오갈 수 있는 가까운 거리이다. 이른 아침부터 늦… 더보기

어느 도심의 Eco-village

댓글 0 | 조회 2,118 | 2013.10.08
대부분의 사람들이 도시에서 살기를 좋아 한다. 그러다보니 주위 환경에 어울려 살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아주 작은 손바닥 정원에 과일나무를 심고, 상추를 가꾸며,… 더보기

안경을 벗어던진 존스 할머니

댓글 0 | 조회 2,141 | 2013.02.13
안경은 한번 쓰기 시작하면 계속해서 써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안경을 쓰던 도중에 홀연히 벗어던지고, 현재 90세에 달했지만 안경을 다시 찾지 않는 존스… 더보기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

댓글 0 | 조회 2,144 | 2020.07.14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 심심 산천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캐어도/ 대바구니 철철철 다 넘친다.’ 구전 동요로 알려지는 도라지 타령의 앞부분 이다. 어릴적 동… 더보기

어느 대도시의 신선농산물 마일리지

댓글 0 | 조회 2,148 | 2014.09.10
뉴욕의 과일가게에 진열된 딸기는 미국의 서쪽 캘리포니아에서 실어온다. 거리로는 2,940마일, 4일을 걸려 트럭으로 운반된다. 농가에서 딸기를 길러내는데 드는 비… 더보기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세상

댓글 0 | 조회 2,153 | 2020.05.12
바이러스. 너무나 작고 하찮아서 무시해 버리고 싶은 데 갑자기 우리곁에 나타나 세상을 뒤흔들고 있다. 지구 상에는 모든 바이러스를 다 합치면 인간의 무게보다도 세… 더보기

현재 다음 세대를 위한 식량대책

댓글 0 | 조회 2,212 | 2014.07.09
세계는 지금 넘치는 먹거리 속에서 풍요롭게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직도 일부 배고픔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건 인도적으로 정치적으로 왜곡된 현상으로 … 더보기

딸기와 berry 이야기

댓글 0 | 조회 2,213 | 2019.02.18
누구나 어릴적 산딸기에 대한 아련한 기억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산속을 거닐다 보면 산딸기 가시가 옷자락을 잡아 당기거나 손등을 사정없이 할퀴던가, 아니면 빨간 열… 더보기

해초(seaweed) 이야기

댓글 0 | 조회 2,283 | 2019.11.13
프랑스 메네즈앙 해변에서 한 여성이 바구니와 가위를 들고 바닷가로 향한다. 긴 장화를 신고 걸어가는 발걸음이 낯설지 않는 행동이다. 갯벌로 바다 채소로 불리는 해… 더보기

마오리(Maori) 새해

댓글 1 | 조회 2,318 | 2012.08.15
인류의 문명은 일 년을 주기로 반복하면서 발전해 왔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해와 달을 포함한 우주의 운행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달력 … 더보기

[364] 원예작물의 품질과 제철

댓글 0 | 조회 2,359 | 2007.09.26
사과, 배, 감 같은 우리에게 낯익은 과일에서부터 브로콜리 비트 같은 낯선 채소까지 넘쳐 나는 마트에서 어떠한 기준으로 쇼핑을 하나요? 이제는 시설재배가 일반화되… 더보기

다이어트

댓글 0 | 조회 2,369 | 2011.11.09
우리 몸은 우리가 먹는 거 자체라는 말이 있다.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우리의 몸이 달라진다는 의미도 된다. 송충이는 솔잎만, 누에는 뽕잎만 먹고 자란다. 그… 더보기

[366] 채소와 과일 색깔로 즐겨라

댓글 0 | 조회 2,370 | 2007.10.09
빨간 사과, 노란 레몬, 자주색 포도 소리만 들어도 입에 침이 고인다. 여태껏 이들 원예 농산물은 비타민과 미네랄의 영양원으로만 강조해 왔었다. 그런데 이제는 섬… 더보기

[374] 유기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

댓글 0 | 조회 2,401 | 2008.02.12
여러분은 유기 농산물에 대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요? 배부른 사람들의 사치스런 행각으로 보나요? 아니면, 사보지만 왠지 값이 비싸고 신뢰가 가지 않는다는 생… 더보기

웨스트 오클랜드 와인어리

댓글 1 | 조회 2,428 | 2012.04.12
주말 웨스트 오클랜드 와인어리는 무척 북적댄다. 포도주를 사러 들리는 방문객에다, 가족단위 외식 나들이 손님에다, 또는 클럽모임에 참석한 사람들도 있으리라. 비교… 더보기

밀포드사운드 유람

댓글 0 | 조회 2,443 | 2011.12.13
뉴질랜드에도 연간 강수량이 육천 미리가 넘는 지역이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밀포드사운드(Milford Sound)인데, 전국 평균 강수량의 다섯 배나 된다. 지구의… 더보기

까치 밥

댓글 0 | 조회 2,458 | 2013.06.12
가을철 감이 익어가면서 대부분 추위가 닥치기 전에 딴다. 감이 서리를 맞으면 더 달다고 해서 아주 늦게까지 두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자연 그대로 자란 감나무에서… 더보기

퀸스타운 가든(Queenstown Gardens)의 할미꽃

댓글 0 | 조회 2,483 | 2012.01.17
퀸스타운은 남섬 멀리 남쪽에 있는 관광도시이다. 여왕의 휴양지로도 손색이 없대서 퀸스타운이라는 말이 있고, 또한 골드러쉬 시절에 황금을 찾아서 여왕 부럽지 않게 … 더보기

선주후식(先酒後食)

댓글 0 | 조회 2,534 | 2013.08.14
인류가 발견한 가장 오래된 기호식품,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는 독특한 음식 바로 술이다. 서민들의 밥상에도, 나라간의 정상외교의 만찬에도, 시중잡배의 의기투합의 자… 더보기

건강한 식단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2,562 | 2011.08.09
우리는 지금 먹을 게 넘쳐 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저가 지향적 가공품, 미각을 자극하는 현란한 식품 등으로 식단의 균형이 흔들린다. 모든 걸 개인 선택의 결… 더보기

에코투어리즘(Ecotourism)

댓글 0 | 조회 2,562 | 2012.02.15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자연의 이용자로 태어났을까? 개인에 따라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다. 카슨 (Rachel Carson, 190… 더보기

[380] 김장을 하시나요?

댓글 0 | 조회 2,562 | 2008.05.13
가을이 깊어 가고 초겨울이 다가오면 '김장 하셨나요?'가 인사말이던 시절이 있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자주 들을 수 있었던 소리였다. 그러나 이제는 바쁜 … 더보기

‘모닝 커피’와 ‘애프터눈 티’

댓글 0 | 조회 2,570 | 2012.11.14
아침 일과전에 커피 한컵 마시고 산뜻하게 시작해야지; 나른한 오후 차 한잔으로 차분하게 여유를 가져야지. 이건 너무 평범한 얘기 같고, 아니 좀 발랄하게, 밤세워… 더보기

겨울 삼총사를 바라보며

댓글 0 | 조회 2,594 | 2011.07.12
올해는 가을부터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집안 온통 축축하고, 주변의 잔디밭은 물이 흥건하게 고여 있다. 가끔 반가운 햇살이 비추긴 해도 잠시 뿐이다. 이런 집안… 더보기

썸머 프루트(Summer fruit)

댓글 0 | 조회 2,628 | 2014.05.27
여름은 작열하는 태양으로 싱그럽기 그지없다. 낮 시간이 길어 과일나무는 그 동안에 열매를 살찌울 절호의 찬스를 맞는다. 태양을 듬뿍 받아 탐스럽게 익어내는 게 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