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삼총사를 바라보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겨울 삼총사를 바라보며

0 개 2,596 NZ코리아포스트
올해는 가을부터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집안 온통 축축하고, 주변의 잔디밭은 물이 흥건하게 고여 있다. 가끔 반가운 햇살이 비추긴 해도 잠시 뿐이다. 이런 집안 분위기를 바꾸기에는 작은 화분 몇 개가 제격이리라.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겨울철 화분으로는 시클라멘, 아프리칸 바이올렛, 베고니아가 인기다. 현대인의 바쁜 일상에도 작은 공간에서 손쉽게 돌 볼 수 있어 사랑을 받지 않나 싶다.

시클라멘은 겨울의 방안 분위기를 연출하기에 최고의 마술사다. 여러 가지 고운 색깔이 무척 다양하고 강렬해서 분위기를 내는 데 제격이다. 또한 추운 조건에서도 잘 견뎌서 이곳 날씨에 집안에서 겨울나기도 안성마춤이다. 오히려 난방이 잘 되는 방에 그대로 놓아두는 것은 좋지 않다. 아마 한국의 아파트 조건에서 관리가 쉽지 않았던 경험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알뿌리가 물이 흥건하게 젖은 상태로 오래 놓아두면 쉽게 썩게 된다. 물은 주고 나서는 알뿌리가 쉽게 마르도록 관리해야 한다. 그리고 지고 난 꽃대는 손으로 잡아 당겨 뽑아 주어야 한다. 칼이나 가위로 잘라낼 경우 상처를 통하여 곰팡이가 감염될 우려가 많다. 그러면 알뿌리가 통째로 썩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정도의 관리만으로도 쉽게 그런 마술을 부릴 수 있다.

 
아프리칸 바이올렛은 한국에서 흔히 보던 꽃이다. 사시사철 꽃대가 올라와 많은 꽃을 볼 수가 있다. 그래서 한 겨울에도 꽃을 볼 수 있다. 어떤 환경에서나 잘 자라 죽지 않는 강인한 생명력으로 유명하다. 특히 물을 줄 때 조심해야 한다. 잎 위에 물을 뿌려주게 되면 쉽게 곰팡이가 번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반드시 잎을 살짝 들어 물을 주던지, 화분 받침에 물을 주어서 빨아올리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 꽃은 햇빛을 무척이나 좋아하지만 햇볕을 직접 쪼이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요령이다.

아프리칸 바이올렛 잎에는 가느다란 털이 수북하여 집안의 먼지를 쉽게 잡아 모은다. 지저분하게 보일 수 있으나 집안의 먼지를 청소해 주는 일꾼인 셈이다. 맑은 날 양지 바른 곳에서 붓이나 솔로 먼지를 털어주면 한결 탐스럽게 꽃을 즐길 수 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한 색깔을 고를 수도 있지만 겨울철에는 밝은 색이 화사해서 잘 어울린다. 게다가, 이 꽃은 가정에서 쉽게 번식 시킬 수 있다. 옆집에 놀러 갔다가도 예쁜 색깔의 꽃을 만나게 되면 주인한테 잎 한 두 개만 얻어오면 된다. 다른 화분에 심어 놓고 물만 주면 쉽게 뿌리를 내리고 곧바로 꽃대를 내기 시작한다. 그러면 내가 선택한 꽃을 직접 키워서 보람이 두 배다.

 
베고니아는 여름철에 꽃이 피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겨울철에 꽃이 피는 품종도 있다. 또한 이 둘을 교배해서 그 중간 시기에 꽃이 피는 품종도 개발되었다. 그래서 사계절 꽃을 감상할 수도 있다. 베고니아는 꽃이 크고 색깔이 고아서 무척 탐스러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줄기와 잎이 연약해서 물을 줄 때 특히 조심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물이 잎에 닿으면 쉽게 썩는 경우가 생긴다.

이들 겨울 삼총사를 습기가 많은 집안에서 관리하게 된다. 가끔 맑은 날 밝은 곳에 옮겨 따사로운 햇빛을 함께 받으면 더욱 화사하다. 혹, 물 관리를 잘 못해서 곰팡이가 생길 수 도 있다. 가든 센터를 찾아 약을 구하기보다는 과감하게 잘라내라. 그래도 안 되면 다른 화분을 구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아직 봄은 저만치 멀리 있다. 옛 현인은 매화 꽃망울을 바라보면서 긴 겨울을 지냈다고 한다. 또한 현대인은 한라산 복수초 사진에서 봄이 오는 소리를 들으리라. 여기서 우리는 칙칙한 겨울을 화사한 삼총사와 함께 한다. 저기 앞뜰 목련 꽃봉오리에서는 봄이 오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가?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대체, 벌에게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455 | 2009.11.10
세계적으로 벌에 관한 얘기가 많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벌들이 꿀을 따러 나갔다가 벌통을 찾아가지 못하는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 더보기

Hamilton Gardens

댓글 0 | 조회 3,148 | 2009.12.08
뉴질랜드 12월은 장미의 계절이다. 어디서나 쉽게 탐스러운 장미를 만날 수 있어 좋다. 올해는 해밀톤 가든을 찾아 로저스 가든에서 장미 사랑에 흠뻑 빠져 보는 것… 더보기

지속 가능한 우리의 생활공간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3,059 | 2010.01.12
우리의 생활공간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매우 소중하다. 우리가 이 공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하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은 현실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당… 더보기

고추가 너무 매워요

댓글 1 | 조회 4,045 | 2010.02.09
여름철 저녁 식탁에서 모녀간의 대화다. “어떤 고추가 맵지 않은 거야, 나는 매운 고추는 싫어" 하고 아이가 말하니. 엄마가 식탁 위 고추를 한 입 베어 먹고 나… 더보기

풀 먹고 자란 소와 곡물사료로 키운 소

댓글 2 | 조회 14,928 | 2010.03.09
지구를 살리려면 소고기를 더 많이 먹어라. 무슨 뚱딴지같은 소린가? 그런데 단지 조건이 있다. 풀밭에서 자란 소의 고기라야만 한다. 그러면 풀을 먹고 자란 소의 … 더보기

기후변화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7 | 2010.04.13
지난 1월 중국 북경에는 폭설이 내렸다. 1951년 이래로 가장 심한 눈으로 기록되었다. 도로가 차단되는가 하면 기차 항공기 등 교통이 두절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더보기

경외스런 자연 Kauri

댓글 0 | 조회 3,327 | 2010.05.11
카우리는 태고부터 뉴질랜드에 자리 잡은 터줏대감이다. 뉴질랜드 북섬에서만 자라는 세계적인 거목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나무를 처음으로 만나게 되면 그 위풍당당함에… 더보기

키위 나라 키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073 | 2010.06.09
“뉴질랜드 키위(Kiwi fruit)가 잘 나가고 있다.” “무순 소리냐, 마트에는 이태리 산 키위가 들어 와 있던데.” “그래, 그렇지만 뉴질랜드 키위는 잘 나… 더보기

한국 동치미와 일본 단무지

댓글 0 | 조회 5,122 | 2010.07.13
1970년대 학창시절 강의실에서 있었던 일화다. 일본 출장을 다녀온 교수님께서 일본에서는 오후 간식으로 차와 단무지를 먹더라. 그러면서 “일본사람들 그리 잘 사는… 더보기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GE 농산물

댓글 0 | 조회 3,014 | 2010.08.10
지난해 전 세계 농경지 가운데 3% 정도에 GE(유전자조작, Genetically engineered) 작물이 심겨 졌다. GE 작물이 개발 된지 14년만의 결과… 더보기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각한다

댓글 0 | 조회 3,121 | 2010.09.15
세상에 먹을 게 넘쳐 나지만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얘기는 끊이질 않는다. 영국의 찰스 황태자는 유기농 신봉자로 유명하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 채마… 더보기

치치ˇ 식물원의 봄

댓글 0 | 조회 3,358 | 2010.10.12
크라이스트처치 방문 계획을 세우는 데 지진 소식이 들려왔다. 정말 오랜만에 벼르고 별러서 가려는 데, 좀 실망스러웠다. 그런데 함께 가려는 그룹은 좀 태연하다 “… 더보기

완벽함을 추구하는 아보카도

댓글 2 | 조회 5,485 | 2010.11.10
이런 과일은 어떨까? 우선 영양가가 풍부해서 우리 건강에 좋을 뿐 아니라, 먹기에도 편리하고, 맛에 있어 새로운 미각을 자극하여 무언가 다르게 품위도 있으며, 시… 더보기

하얀 진이 뚝뚝 떨어지는 상추

댓글 0 | 조회 4,592 | 2010.12.07
상추를 쌈으로 먹은 것은 한국인의 고유한 음식문화 중에 하나이다. 60년대 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에서 밥을 상추에 싸서 입이 터지게 먹는 장면을 기억하는 … 더보기

새소리가 시끄럽습니까?

댓글 1 | 조회 3,980 | 2011.01.14
예전 기억으로는 고향에는 참새가 무척 많았다. 그래서 가을이면 논과 밭에 참새 떼가 극성을 부렸다. 곡식을 마구 쪼아대는 이들은 없어야 하는 동물로 여긴 적도 있… 더보기

여름이 지난 후 잔디밭에는

댓글 0 | 조회 3,887 | 2011.02.08
뉴질랜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잔디밭으로 일컬어지는 풀밭은 가지고 있다. 잔디는 아주 드물고 풀이 더 많으니 그리 불러야 옳겠으나 많은 사람들이 잔디밭이라 부른다.… 더보기

우리 동네 과일가게

댓글 0 | 조회 3,539 | 2011.03.09
‘당신은 대형 마트에서 쇼핑하는 것을 좋아 합니까, 아니면 동네가게를 자주 들릅니까?’ 영어 작문의 한 제목이다. 찬반양론에 대한 논리적 전개를 보기 위한 훌륭한… 더보기

우리 집 울타리

댓글 0 | 조회 6,492 | 2011.04.12
우리 집 울타리는 이웃과 경계한다. 울타리 안 정원에는 주인이 좋아하는 장미, 목련, 잔디로 가득 하다. 민들레 질경이 같은 잡초나, 달팽이, 슬러지 같은 민망한… 더보기

마을 공동텃밭(Community Garden)

댓글 1 | 조회 3,727 | 2011.05.10
가정 규모의 텃밭을 운영 하다보면 어느 땐 넘쳐 나는 수확물 처리에 골몰 할 때가 있다. 올해 우리 정원에는 피조아가 풍년이다. 그리고 상추도 그런대로 풍성했다.… 더보기

쌀 이야기

댓글 0 | 조회 3,926 | 2011.06.15
“어떤 쌀을 드세요?” “한국 쌀을 먹고 있습니다.” “어떤 브랜드 쌀인데요?” “한가위, 이천쌀 인데, 밥맛이 괜찮던데요?” “그래요, 원산지를 확인해 보셨나요… 더보기
Now

현재 겨울 삼총사를 바라보며

댓글 0 | 조회 2,597 | 2011.07.12
올해는 가을부터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집안 온통 축축하고, 주변의 잔디밭은 물이 흥건하게 고여 있다. 가끔 반가운 햇살이 비추긴 해도 잠시 뿐이다. 이런 집안… 더보기

건강한 식단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2,563 | 2011.08.09
우리는 지금 먹을 게 넘쳐 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지만 저가 지향적 가공품, 미각을 자극하는 현란한 식품 등으로 식단의 균형이 흔들린다. 모든 걸 개인 선택의 결… 더보기

왜 ‘쓰리-코스-밀(a three-course meal)’인가?

댓글 0 | 조회 3,479 | 2011.09.14
우리의 식탁은 한 상에 모든 음식을 차려 놓고 개인 취향에 따라 골라 먹는 게 특징이다. 요즈음 인기 있는 뷔페도 그렇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의 식성을 만족 시킬… 더보기

화요일 저녁

댓글 1 | 조회 2,773 | 2011.10.12
어떤 모임이든 한 달에 한 번씩 모이면 월례회다. 예전에 한국 농촌에서 개최하던 4H 구락부(클럽) 월례회를 기억하시는 분도 계시리라. 마을회관에서 동네의 청소년… 더보기

다이어트

댓글 0 | 조회 2,370 | 2011.11.09
우리 몸은 우리가 먹는 거 자체라는 말이 있다.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우리의 몸이 달라진다는 의미도 된다. 송충이는 솔잎만, 누에는 뽕잎만 먹고 자란다. 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