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속살인의 심리(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존속살인의 심리(Ⅰ)

0 개 2,155 이현숙
가족을 살인하는 경우가 세계곳곳에서 일어나는 현상중의 하나인건 사실이지만, 유독 최근 한국뉴스를 장식하는 존속살인이 늘어나면서 특이한 점은 많은 사례들이 가장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가족들의 생계를 혹은 서초동 일가족 살해처럼 상대적 빈곤이 원인들이라는 것이다. 

대한민국처럼 복지가 취약한 나라에서 가장이 경제적 능력을 상실한다는 것은 가족의 생존권을 위협할 만한 일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가 아는 사실이라 해도 가장이 스스로가 나서서 그런 궁핍함으로 가족들을 몰아넣지 않기 위해 일가족 몰살이라는 살인을 선택했다는 것은 가부장적 문화가 아직도 뼈속 깊숙히 자리잡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가족까지 들먹이지 않아도 가부장적 문화라 함은 간단히 말하자면 아버지가 집안의 최고 권위자라는 것으로 어머니나 자녀들은 그 아버지에게 속한 가족 구성원이라는 의식이 저변에 깔려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순종이 미덕이고 가장의 권위에 반기를 드는 일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그런 시절들이 있었고 여전히 남자들이 가정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현실에서 가장들은 더 큰 책임을 떠안고 부담을 가지며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 가족들의 행복이 자신의 손에 달려있다는 생각과 마음은 참으로 그 무게가 크리라 본다. 

그렇기 때문에 남성에 대한 기대치가 큰 사회분위기가 존재하고 강한 남성상을 강조하는 여건가운데서 살아남기 위해 경쟁하는 아버지들은 가족 안에서 안주하거나 의지하고 기댈 수 없이 홀로 세상과 싸우는 존재가 되어가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점점 그 짐을 나누는 것이 가족구성원이 아니라 가족구성원들이 모두 자신이 책임져야 하는 의탁자들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들에게 가족이란 독립된 인격체로 보이기 보다는 내게 속한 존재들로 여겨지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런 의식들이 자녀들의 인생의 진로를 결정할 때 부모들이 결정권을 가지고 때로는 자녀와 갈등을 겪으면서도 대학 전공이나 취업 그리고 결혼까지 개입하고 간섭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위험하게도 자녀들 인생에 대한 소유권을 행사하는 부모들의 개입이 극단적으로 가게 되면 가장의 일가족 살해가 되는 것이다. 

그 뉴스에 나오는 가장이 사이코패스 성향이 있어서 그런 끔찍한 범죄를 저지르는 것이 아니라 자녀가 아내가 내 소유라는 의식이 강하게 뿌리내려 있다면 내가 이 세상을 하직할 때 당연히 내가 없는 세상에서 살아가야 하는 가족들을 상상할 수 없는 것이다. 변명은 가장이 없어서 천덕꾸러기 신세가 될 가족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파서 차라리 같이 죽는 것이 낫겠다 라고 홀로 판단하고 죄의식 없이 계획된 살인을 저지르는 것이다. 

자신이 상상했던 자녀들의 미래나 자신과 함께할 아내의 미래가 그림대로 그려지지 않는다고 판단하게 되면서 가족들의 미래가 불행으로 가득할 것이라는 확신과 불안이 어쩌면 가족을 살해한 가장들에게는 잠 못 이루는 수 많은 밤들이 되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불행의 그림들이 확대 해석되고 마치 자신이 없는 가족들의 삶은 고통뿐일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런 불행을 주고 가는 자신이 용납되지 않고 그런 가족들의 불행을 생각할수록 마음의 괴로움이 극에 다다를 때 그 가장들은 마치 안락사를 거행하는 것처럼 가족들을 그들을 위한다는 미명하에 사랑이라는 이름아래에 살해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끔찍한 일이 벌어질 까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 지경인 우리 부모들…. 그러나 내 마음을 확대경으로 들여다보면 그 속에 나도 내 자녀들을 가족들을 나의 것으로 여기는 마음이 어딘가 숨어있을 지 모를 일이다.

자녀들의 불법을 방관하는 부모들

댓글 0 | 조회 2,366 | 2016.05.25
어느 세대이건 어느 시대이건 부모 몰래 자행하는 자녀들의 일탈은 있기 마련이고 때론 부모가 알면서도 눈 감아주면서 그들의 재미에 흥을 깨지 않는 미덕을 발휘하기도… 더보기

맹모와 한석봉 어머니에게서 배울 부모의 태도

댓글 0 | 조회 2,354 | 2014.12.24
요즘 들어 부쩍 아이들 교육에 관련된 고민들을 하고 있는 부모들을 만나게 되는데 대부분은 성적에 관련된 것이고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알고자 한다.… 더보기

자녀들의 어려움에 너그럽지 못한 부모

댓글 0 | 조회 2,335 | 2016.09.29
청소년들을 상담하면서 그들이 상담실안에서 말 그대로 닭똥같은 눈물을 흘릴 때, 그 눈물이 아까울 정도로 각자 너무 귀하고 이쁘고 잘 생겼으며 생각과 이해가 넓고 … 더보기

영어과목 성적향상에 지름길은 없다

댓글 0 | 조회 2,335 | 2014.08.27
한마디로 말하면 영어과목의 성적을 올리는 데에는 지름길은 없다. 왜냐면 부모들이 생각하는 영어와 아이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영어과목은 천지차이가 있고 그로 인해 효… 더보기

자녀가 bullying을 겪을 때 취할 부모의 태도

댓글 0 | 조회 2,333 | 2016.11.08
한국 프로그램 중에 영재 발굴단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해 이름에서 주는 막연한 느낌으로 처음엔 거부감을 느끼며 시청하기 시작했었다. 그런데 차츰 보다보니 각 분야들에… 더보기

어려운 과목을 선택해야 좋은 과를 가는 것은 오해

댓글 0 | 조회 2,317 | 2014.04.08
학년딘들이 가끔 과목신청서를 들고 필자를 찾아온다. 그 학생이 신청한 과목들을 과연 pass 할수 있냐는 것이다. 왜냐면 지난 해 성적을 보니 엉망인데 다시 신청… 더보기

부모를 이기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2,304 | 2014.06.25
한국에서는 공부만 잘 하면 무엇이든지 허용되는 분위기라 고 3이면 집안의 행사에서 혹은 할아버지 할머니 생신에도 인사 한번 안 와도 되고 어른이 집에 와도 방 밖… 더보기

학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법

댓글 0 | 조회 2,303 | 2016.04.28
때때로 지난 칼럼들에서 학교에서 하는 행사들이나 면담들을 소홀히 하지 말 것을 권면하곤 했었는데 2016년의 한 텀이 벌써 지나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다시 한 번… 더보기

영어 때문에 좋은 에세이를 쓸 수 없는 것일까?

댓글 0 | 조회 2,302 | 2014.01.29
영어실력이 부족해서 에세이를 쓰지 못하는 것이 사실임에 틀림없지만, 그건 영어로 문장을 써 내려가지 못할 정도로 문법이나 어휘력이 부족한 경우로 필자의 경험에 비… 더보기

초등학생들의 자살율

댓글 0 | 조회 2,300 | 2013.05.14
2012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 17%가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한다. 응답자 중 자살을 실제 시도해봤다는 학생은 13.8%이며 초등학… 더보기

정신적 심리적 요인들로 인한 육체적 변화

댓글 0 | 조회 2,291 | 2016.10.13
며칠 전, 한 학생에게 연락이 왔다. 요즘 들어 갑자기 심장이 조여 드는 것 같은 증상과 함께 화가 나기도 하고 숨이 막히고 식은 땀이 나는 데 그 순간은 정말 … 더보기

자녀를 위해 체면을 던져라

댓글 0 | 조회 2,241 | 2014.07.24
청소년들의 이슈들을 이해하도록 여러 단체들에서 여는 워크샵에서 강연을 하면서 느끼는 것은 한국 부모들은 자녀들의 대학입학이나 진로문제에 대해 대단히 헌신적으로 보… 더보기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단절과 갈등

댓글 0 | 조회 2,226 | 2012.11.27
몇 년전 학교 내에서 공부도 잘하면서 성격도 좋아 선생님들이나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남학생을 상담하게 되었는데, 부모하고의 갈등이 심하고 대화가 전혀 통하지… 더보기

대학 인터뷰에서 떨어지는 이유

댓글 0 | 조회 2,225 | 2015.03.25
사실 이런 이슈는 교육전문가들이 더 잘 이해하고 있겠지만 학업성적이 우수하고 열심히 하는 학생들이 인터뷰에서 떨어져서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를 지속하지 못하면서 … 더보기

역사에 길이 남을 가정교육의 그릇된 예

댓글 0 | 조회 2,181 | 2016.11.23
요즘 많은 분들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고 불쑥 불쑥 화병처럼 뭔가가 속에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실 것이다. 우리가 멀리 뉴질랜드에서 살고 있지만 우리나라인 대한민… 더보기

현재 존속살인의 심리(Ⅰ)

댓글 0 | 조회 2,156 | 2015.08.12
가족을 살인하는 경우가 세계곳곳에서 일어나는 현상중의 하나인건 사실이지만, 유독 최근 한국뉴스를 장식하는 존속살인이 늘어나면서 특이한 점은 많은 사례들이 가장의 … 더보기

청소년들의 자해(Self-harm)

댓글 0 | 조회 2,142 | 2013.10.09
말 그대로 자해란 자기 스스로를 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즉 스트레스나 화를 적당히 풀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면서 쌓이게 되면 스스로 자신을 위로할 수 있는 방법을… 더보기

내일은 오늘보다 더 사랑할 수 있는 우리의 가정을 희망하며

댓글 0 | 조회 2,116 | 2012.09.11
어떻게 글을 시작할 지 창문너머 맑게 개인 하늘을 쳐다보니 지난 세월 동안 상담을 통해서 만났던 아이들의 얼굴이 떠올려진다. 다들 더 행복하게 더 강하게 더 희망… 더보기

청소년들의 디지털 치매

댓글 0 | 조회 2,104 | 2017.02.22
청소년들을 상담하면서 어떤 이슈들은 세월과 무관하게 어쩌면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관계의 문제들 등등 일관적인 부분들이 상당한 반면에 지난 … 더보기

사춘기 자녀들의 변화

댓글 0 | 조회 2,097 | 2015.04.30
한국에는 갑작스레 중2병이라는 말이 부각되고 중2들 때문에 김일성이 남침을 못한다는 유머까지 할 정도로 사춘기의 청소년들의 무서운 변화로 인해 골치를 앓고 있는 … 더보기

또래 집단 안에서 힘든 자녀들을 위해서

댓글 0 | 조회 2,093 | 2015.02.10
고등학교에서 상담을 하면서 매해 몇 가지 공통적인 이슈들이 있는데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고 고민의 순위에 드는 것이 또래 집단 안에서 겪는 관계를 통한 아픔을 … 더보기

자살율 1위 강대국, 대한민국: 청소년 우울증(Ⅱ)

댓글 0 | 조회 2,090 | 2012.10.09
많은 분들이 미디어를 통해 우울증으로 자살한 사람들, 특히 유명연예인들에 대한 비보를 접하게 되면서 우울증이 사람의 목숨도 앗아갈 수 있구나 하는 인식과 치료와 … 더보기

자녀의 얘기를 묵묵히 들어주는 부모

댓글 0 | 조회 2,068 | 2017.02.08
가끔씩 아니 솔직히 자주 필자의 입을 손으로 치면서 또 말을 많이 했구나 후회하는 대상은 다름아닌 자녀들이다. 자녀들이 하는 한 두 가지 질문에 또는 어쩌다 뱉은… 더보기

부모들이 모르는 자녀들의 아픔

댓글 0 | 조회 2,031 | 2014.10.15
낳아 기르면서 늘 삶을 함께 했다고 믿기에 부모들은 세상에서 자녀들에 대해 잘 안다고 혹은 이해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필자 또한 늘 자녀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 더보기

자녀에게 어려움이 닥칠 때

댓글 0 | 조회 1,997 | 2016.08.10
삶이 예측가능하다면 우리들이 겪고 있는 많은 크고 작은 실수들이나 잘못들이 해결될 수도 있겠지만 어느 누구도 내일 아니 오늘 이 순간에 어떤 예상치 못한 일들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