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그러나 넓은 피아노 콘서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작은 그러나 넓은 피아노 콘서트

0 개 2,778 한일수
538.jpg

영혼이라는 말은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진 주제이다. 모든 예술 활동이 그렇듯이 피아노 연주도 작곡가의 작품의도를 깊숙이 파악하고 연주자가 작곡가의 혼을 불어넣어 연주해야 진정한 피아노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똑같은 곡을 연주하더라도 연주자에 따라 서로 다른 음악이 탄생되는 것이다.

한국에 피아노가 처음 도입된 이래 114년이 흘렀다. 1900년 3월에 미국 북 장로교 사이드보탐(R.H. Sidebotham, 1874-1908) 선교사는 아내 에피를 위해 이삿짐에 피아노를 포함시켰고 부산에서 낙동강을 타고 올라와 달성군 사문진 나루터를 통해 대구로 들어왔다.

이 때 짐꾼 20-30명이 3일 걸려 대구 중구에 위치한 선교사의 집으로 옮긴 것이다. 피아노를 처음 본 당시 사람들은 피아노를 ‘귀신 틀’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도입 경위가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아깝게도 그 피아노는 현재 존재하지 않고 있다. 

달성군에서는 한국 최초의 피아노 도입지라는 역사적 사실을 문화 상품으로 개발하여 매년 사문진 나루터에서 피아노 콘서트를 개최하고 있다. 금년에는 달성군 개청 100주년을 기념해 100대의 피아노 콘서트를 열었는데 서울, 대구, 대전, 광주, 부산 등지에서 피아니스트가 참여하여 장관을 연출하였다.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을 통해 달성군을 피아노 도시로 홍보하고 있는 것이다. 

근대에 이르러 악기 중의 왕이라 일컫는 피아노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피아니스트가 아니더라도 교양으로 피아노를 연주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의 부시 대통령 시절 라이스 국무장관이 해외 순방을 하면서 외교활동 외에 피아노 연주 솜씨도 보여주었는데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흑인으로서, 여성으로서 국무장관에 기용된 것도 이례적인 일이지만 피아노를 연주하는 모습에서 그녀의 교양미를 엿볼 수 있었다. 

일주일에 한번 씩 피아노 레슨을 받으며 연주를 배워 온지 몇 년이 되었다. 처음엔 키위 시니어 레이디로부터, 다음엔 키위 남선생으로부터 지도를 받아오다가 금년 초 부터는 마침 집 근처에 피아노 학원이 발견되어 한국인 여선생한테 레슨을 받고 있다. 

학원에서는 전부 개인지도로 가르치고 있지만 배우고 있는 학생들이 50명이 넘는 숫자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칼리지 상급생까지, 그리고 60이 넘은 시니어 학생까지 넓게 학생층이 분포되어있다. 그런 학생들이 년 말을 맞이하여 배운 솜씨들을 들어내는 작은 음악회를 연 것이다. 학원 공간이 좁아 한 번에 다 못하고 그룹을 나누어 일주일에 한 팀 씩 4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발표자는 각각 독주곡 한 곡과 식구들끼리는 연탄곡(連彈曲) 한곡을 연주하도록 프로그램이 편성되었다. 연탄곡은 두 명의 연주자 즉 네 개의 손이 한 대의 피아노로 함께 연주하는 곡으로 그만큼 넓은 음역과 화성이 가능해서 묘미를 더해주고 있다. 

나이 어린 학생들과 같이 발표회를 갖는다는 사실이 쑥스러울 것 같아 처음에는 사양했다. 그러나 같이 배우는 입장에서는 나이에 상관없이 학생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어 참여하기로 하였다. 연탄곡으로는 손자와 함께 ‘젓가락 행진곡’을 연주하고 독주곡으로는 ‘월광곡’ 1악장을 연주하였다. 

젓가락 행진곡은 1887년 당시 16세 소녀였던 알렌(Euphemia Allen)이 륄리(Arthur de Lulli)라는 가명으로 작곡하여 발표했는데 손가락 모양이 꼭 젓가락을 닮았다하여 붙인 명칭이고 원 제목은 ‘Celebrated Chop Waltz’이며 륄리 작곡으로 알려져 있다. 피아노 연주에 맞춰 탭댄스(Tap dance) 앙상블(Ensemble)이 이루어지면 남녀노소 모두 함께 모여 신나는 한마당도 펼칠 수 있는 유쾌한 곡이다. 

월광곡(Moonlight sonata)은 1801년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이 14세 연하의 제자였던 연인 쥴리에타 귀차르디(Giulietta Guicciardi)에게 헌정한 곡으로 1악장, 2악장,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악장은 자유로운 환상곡 풍으로 아름다운 가락이 낭만성과 정열의 빛을 더해주고 있다. 2악장은 스케르초(Scherzo) 풍의 전원(田園) 무곡(舞曲)으로 유머러스하고 경쾌한 맛이 있다. 3악장은 무겁게 떠도는 암흑 속에서 섬광을 일으키는 천둥과 번개처럼 격한 분위기로 전개되기에 아마추어가 연주하기에는 벅찬 곡이다. 

‘한 번 음악을 생산하는 것이 열 번 기도보다 낫다’라는 말이 있다. 배움에는 정년이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은퇴 후에 악기 하나정도는 배워보려고 시도해보는 게 바람직할 것이다. 악기로 직접 음악을 생산하면서 그 과정을 통해서 머리를 회전시키고 손발을 움직이고 작곡가들의 작품 의도를 가슴으로 느끼며 더욱 아름다운 생애를 전개시켜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자기 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도 어울려 영혼의 교감을 교류할 수 있는 매개로서 음악은 매우 가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우리가 서로 모여 함께 뭔가를 창조할 수 있을 때 세상은 정말로 아름다워지는 것이 아닐까?

호박 덩굴에 행복이 주렁주렁

댓글 0 | 조회 2,979 | 2015.03.10
‘가꾼 데로 거두리라’이는 농사에도 해당되는 말이다. 수확량의 정도는 농사에 쏟은 정성만큼 비례해서 나타난다. 예로부터 농사의 성공 여부는 가꾸는 사람의 발길이 … 더보기

그대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

댓글 0 | 조회 2,976 | 2017.08.22
오늘을 헛되이 보내면 인생을 헛되이 보내게 된다.생애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한 사람은 어떤 생각을하고 있을까? 삶의 매 순간을 가치 있게……십 수 년 전 조창인 작… 더보기

옮겨심기

댓글 0 | 조회 2,939 | 2015.12.10
내가 서울에서 마지막까지 살았던 집은 30평 정도의 정원을 가지고 있었다. 하루는 잡종 난초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화초가 나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아침이면 보… 더보기

추석 대보름 달 감상

댓글 0 | 조회 2,934 | 2016.09.28
세월의 수레바퀴는 이곳 남국의 하늘 아래에서도 어김없이 추석이라는 명절을 맞이하게 해주고 있다. 한국에서 가을 수확 철을 맞아 조상을 기리고 한 해의 농사에 감사… 더보기

와이나무 시냇물을 걸으며

댓글 0 | 조회 2,915 | 2016.10.26
정지용 시인의 시 향수(鄕愁)에 나오는 ‘옛 이야기 지줄 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가는……’ 그 실개천은 오늘 날 흐르지 않고 있다. 첫 사랑의 클리세(Cliche)…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Ⅱ)

댓글 0 | 조회 2,900 | 2015.09.24
조선 시대의 어떤 부자 노인이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기 위해 며느리들을 테스트해 보았다. 세 며느리들한테 쌀 한 가마니씩을 나눠주고 이 쌀 가지고 한 달 동안 살… 더보기

지명을 알면 뉴질랜드가 보인다

댓글 0 | 조회 2,887 | 2018.07.11
사람이나 사물은 이름을 가짐으로서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뉴질랜드에는 마오리어로 된 지명이 많은데그 내용을 살펴보고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그는… 더보기

아들리느 결혼식에 가슴을 치는 남자

댓글 0 | 조회 2,857 | 2015.05.13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그리고 3일 후 왕도 죽었다.’라는 표현은 사실적인 기록이다. 그러나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3일 동안 죽은 왕비를 그리워하며 애통… 더보기

삶이냐 퍼포먼스냐

댓글 0 | 조회 2,838 | 2015.03.24
인류문화사의 흐름에서 시대구분을 할 때 고대 신화시대, 중세 종교시대, 근대 과학시대, 현대 예술시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런대 21세기 현대는 예술 가운데서도 퍼… 더보기

재택근무는 현실이다

댓글 0 | 조회 2,825 | 2020.06.10
벌써 40년 전의 일이다. 미래학자 엘빈 토플러(Alvin Toffler, 1928-2016)는 1980년에 발표한 그의 저서 ‘제3의 물결’에서 산업주의 종말과… 더보기

해외 한인회의 수난

댓글 0 | 조회 2,821 | 2019.06.11
1902년 12월 22일 제물포(현재의 인천)에서는 한국 역사상 첫 공식 이민선이 미지의 땅 하와이를 향해 떠났다. 이 때는 떠나는 사람이나 떠나보내는 사람이나 … 더보기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다시 읽기

댓글 0 | 조회 2,804 | 2017.10.11
소년기에 접한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은 평생 동안삶의 지침이 되어왔다. 몸속엔 철분이 있어야하고머릿속엔 철학이 있어야 ……​고등학교 2학년 국어책에「페이터(Walt… 더보기
Now

현재 작은 그러나 넓은 피아노 콘서트

댓글 0 | 조회 2,779 | 2014.12.09
영혼이라는 말은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진 주제이다. 모든 예술 활동이 그렇듯이 피아노 연주도 작곡가의 작품의도를 깊숙이 파악하고 … 더보기

남십자성 아래서 빛나는 동방의 등불이여!

댓글 0 | 조회 2,759 | 2014.11.25
한국에 살 때는 어려서부터 북두칠성에 대한 정서를 지니고 살아왔다. 우리 한민족은 북두칠성을 고향과 같은 존재로 인식하고 생활해왔으며 신앙 또는 염원의 대상으로까… 더보기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Ⅱ)

댓글 0 | 조회 2,743 | 2016.04.14
“창문을 열어다오, 빛이 더 들어오게, 좀 더 빛을 … 좀 더 빛을……” 독일의 문호 괴테(Johann Wolfgang von Guette, 1749.8.28.-… 더보기

뉴질랜드 한인사 10년

댓글 0 | 조회 2,700 | 2017.12.20
짧은 이민 역사 속에서도『뉴질랜드 한인사』를발간한지 10년에 이르고 있다.역사를 기술하는 일은 끊임없이 이어져야……민족 사학자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 더보기

하우스 쇼핑(Ⅰ)

댓글 0 | 조회 2,695 | 2015.10.29
뉴질랜드 생활을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경험하는 문화적 변화가 오픈 홈(Open home) 시스템일 것이다. 우선 렌트할 집은 마운트 로스킬(Mt Roskill) … 더보기

70% 행복론

댓글 0 | 조회 2,660 | 2015.06.23
며칠 전에 정원 일에 쓰일 외바퀴 손수레인 휠배로우(Wheelbarrow)를 구입한 일이 있다. 거름흙을 운반하느라 처음 사용해봤는데 적재량을 잘 조절해서 균형을… 더보기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

댓글 0 | 조회 2,631 | 2017.06.14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불로초는 이 세상 어디에도없고, 이 세상 어느 곳에도 있다. 뉴질랜드에서 누릴 수있는 특혜들을 잘 활용하여……​중국 역사상 최초로 … 더보기

살아서 또 한 해를 보낼 수 있음에 감사드리며

댓글 0 | 조회 2,617 | 2014.12.24
크리스마스에서 새해로 이어지는 계절이면 왠지 마음이 들썽거리고 즐거웠던 시절이 있었다. 오랜 겨울 방학이 시작되고 신학기 까지는 여유가 많으며 2월에는 구정까지 … 더보기

흙에서 살리라

댓글 0 | 조회 2,581 | 2015.04.14
어찌하여 사람들은 흙을 멀리하고 자꾸 하늘로만 치솟으려고 하는지 모를 일이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바벨탑(The tower of Babel) 이야기는 현대에 살고 …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Ⅱ)

댓글 0 | 조회 2,566 | 2015.08.26
역사상 가장 대박 난 부동산 거래는 알래스카일 것이다. 알래스카는 미국의 49번째 주이고 남한 땅의 16배 이상 되는 넓이로 미국의 주 중에서 가장 크다. 174…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바라보는 달의 이미지

댓글 0 | 조회 2,560 | 2015.02.24
태양력을 사용하는 문화권에서 살다보니까 조상 대대로 이어오던 음력 절기에 대한 정서를 잊고 살아 갈 수가 있다. 달의 차고 기움을 따라 절기를 맞추고 절기에 따라… 더보기

피톤치드 효과

댓글 0 | 조회 2,536 | 2017.06.27
숲이 살아야 다른 생물들도 살아갈 수 있다. 우거진숲 속에서 생명의 원천이 솟아 나온다. 나무들이뿜어내는 피톤치드는 신이 내린 면역 증강제로……시드니를 여행하면서… 더보기

돼지는 죽으면서 말한다

댓글 0 | 조회 2,524 | 2014.11.11
이 세상 만물은 창조주의 섭리(攝理)에 따라 이 지구상에 태어났으며 주어진 생명을 다하고 역시 창조주의 섭리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만물의 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