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물 받아먹는 선진국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빗물 받아먹는 선진국

0 개 3,346 한일수

 

885f388d6b920dd5cbb5d9f991da4979_1468370552_9778.jpg

 

오클랜드 전원일기 (5) 

 

고대 로마 시대에 이미 도시 상수도가 건설되어 생활용수, 음료수, 분수용 등으로 물을 공급했다는 사실은 우리를 경이롭게 만든다. 그러나 로마의 멸망 원인이 바로 그 상수도 때문이라는 가설이 설득력을 갖는 것도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로마 수도에는 납으로 만든 수도관이 사용되었는데 그 수도관을 지나온 물을 마신 로마 사람들은 만성 납 중독으로 말초 신경이 손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뇌까지 손상되어 로마제국이 멸망했다는 것이다. 

 

비단 로마 시대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대에 와서도 식수에 포함된 납 성분에 대해서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 조차 심각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납은 뇌와 신장을 손상시키며, 인체의 모든 부분에 산소를 전달하는 적혈구의 생성을 방해할 수 있다. 납은 청소년 및 갓난아이, 임산부에게 특히 위험하다. 뉴질랜드는 식수원이 비교적 오염이 적어 수돗물이 깨끗한 게 사실이나 오래된 배관 파이프를 통해 물이 오염되어 가는 과정은 마찬가지라고 보아야 옳을 것이다. 

 

지난 70여년의 세월을 살아오는 동안 식수의 변천사를 회고해보니 삶의 족적만큼이나 파란만장했다는 생각도 든다. 고등학교 다닐 때 까지는 그 당시 대부분의 가정이 그랬듯이 우물물을 길러다 먹거나 지하수를 끌어 올려 펌프 물을 먹었다. 서울 생활을 시작한 후로는 수돗물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수돗물로 식수를 해결한지 20여년이 지난 1980년경부터는 마침 집을 아차산 밑으로 이사한 터라 산 중턱에서 흘러나오는 석간수를 길러다 먹었다. 아차산은 바보 온달 장군이 활 쏘던 터로 알려져 있으며 비교적 자연 상태가 깨끗이 보존되어 온 지역이라 물맛이 좋은 편이었다. 그 일대 지역 주민들은 아차산에 설치되어 있는 약수터를 즐겨 이용했고 일요일 같은 때는 물 받는 행렬이 길어 몇 시간씩 기다려야 차례가 오기도 하였다. 그러한 불편을 감수하고 등산 겸 미네랄워터(Mineral water)에 대한 애착이 강해 물을 길어다 먹는 습관을 15년 동안 지속하며 살아오다가 뉴질랜드에 오게 되었다. 

 

뉴질랜드에 이민 온 후 7년여를 도시 지역에 살면서 다시 수돗물을 먹게 되었다. 그러나 농장 주택으로 이사하자 빗물 받아먹는 처지가 되었다. 오클랜드 근교에 위치하고 있지만 제너럴 루어럴(General rural) 지역으로 농가 형 주택이 드문드문 자리하고 있어 수도를 연결한다는 것은 바라지 못할 일이었다. 마당 한쪽에 지상으로 또는 지하로 콘크리트 물탱크를 설치해 놓고 지붕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받아 저장해 놓고 생활용수 및 식수로 활용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한 지금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바라보는 선진국이라는 뉴질랜드에서 빗물을 받아먹는 처지가 된 사실이 어이없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러나 빗물이야 말로 천연 자연수이며 온갖 미네랄이 살아 숨 쉬는 최고의 식수라는 사실을 알고 나서 부터는 기쁜 마음으로 마셔 왔다. 

 

우리 집은 데크(deck) 밑에 설치된 물탱크에서 펌프로 물을 끌어 올려 집안 각 수도 꼭지에 배달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정전이 되면 온 집안이 암흑으로 변하고 물 공급도 중단되어 꼼짝 할 수가 없게 된다. 실제로 태풍이 몰아치던 어느 해 겨울 3일 동안 정전이 되기도 했는데 그 때는 마침 나 혼자 집을 지키고 있을 때였다. 비는 주룩주룩 쏟아지고 태풍이 불어 닥쳐 춥기는 한데 전기마저 나가버렸으니 당장 음식 준비도 문제가 되었다. 생활 용수는 밖의 물통에서 길어다 쓰고 밥은 야외 용 버너를 사용하여 해 먹었다. 허허 벌판에 칠흑 같은 밤을 홀로 남아 지세 워야 하는데 만일 아프기라도 하면 어찌할까 겁이 나기도 한 일이었다. 

 

교외 지역에 따라서는 수도가 설치되어 있으나 물탱크 물도 같이 사용하는 가정도 있다. 그런데 빗물에 익숙해져 생활해 온 키위들은 식수는 빗물로 하고 수돗물은 생활용수로 사용한다고 한다. 그만큼 빗물의 영양소가 좋고 깨끗할뿐더러 운송 과정에서 이물질이 침투되고 화학 약품 처리된 수돗물 보다 천연수에 가깝기 때문이라고 한다. 

 

강우량이 적은 여름 한때는 물탱크의 물이 바닥이 난다. 그럴 때는 탱크 청소를 해주고 물탱크로 배달되는 물을 사서 채워 넣어야 한다. 조선시대에는 북청 물장수가 신바람 낫듯이 이곳 뉴질랜드에서 여름 건기에는 물탱크 물 배달꾼들이 신바람 나는 계절이다. 물탱크 청소하고 1만 리터 채우는데 약 300달러가 소요 되었는데 그 당시 수도 쓰는 가정의 1년 물세와 비슷하였다. 

 

수돗물은 그렇다 치고 시중에서 시판 되고 있는 생수가 개소린 값과 맛 먹는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믿을 수가 있느냐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 미네랄이 없어졌고 해양심층수라는 것도 역 삼투압 정수 과정을 거쳐 증류수처럼 일단 만든 뒤 다시 미네랄을 첨가해서 제조한다는데 산성화된 물이다. 깨끗하고 깐깐한 정수기 물(역 삼투압 방식)도 미네랄이 없고 혈액을 산성화 시킨다고 물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물은 인류가 생존해 나가는데 아주 중요한 자원이고 이 자원을 지혜롭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빗물을 그냥 흘려보내지 말고 활용할 일이다. 다행히 뉴질랜드는 수자원이 풍부하고 오염도도 적은 편이다. 무엇보다도 빗물을 먹을 수 있을 만큼 아직 청정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빗물 생활을 한지 9년 만에 다시 도시지역으로 이사와 수돗물을 사용하게 되었지만 빗물을 음용했던 시절이 유익했던 추억으로 남아 있다. 

 

바이칼 호수에서 아오테아로아 까지

댓글 0 | 조회 6,000 | 2015.07.15
“나는 바이칼 호의 가을 물결을 바라보면서 이 글을 쓰오. 나의 고국 조선은 아직도 처서(處署) 더위로 땀을 흘리리라고 생각하지마는 고국서 칠천 리, 이 바이칼 … 더보기

느림의 아름다움

댓글 0 | 조회 1,863 | 2015.07.28
신입 사원 시절에 성질이 따발총 콩 튀기 듯 하던 과장 밑에서 근무한 적이 있었다. 하루는 무슨 업무 처리 문제로 따발총이 콩 튀기 시작했는데 나한테 불호령이 떨…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Ⅰ)

댓글 0 | 조회 2,291 | 2015.08.13
‘눈이 보배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눈이 우리 몸에 있어서 또는 삶에 있어서 소중하고 중요하여 마치 보물과 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뜻이 되겠다. 시력이 좋…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Ⅱ)

댓글 0 | 조회 2,570 | 2015.08.26
역사상 가장 대박 난 부동산 거래는 알래스카일 것이다. 알래스카는 미국의 49번째 주이고 남한 땅의 16배 이상 되는 넓이로 미국의 주 중에서 가장 크다. 174…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I)

댓글 0 | 조회 3,124 | 2015.09.09
‘씨 뷰 (Sea view)는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서울에서 이민을 준비할 때부터 집을 살 때 바다가 보이는 위치의 중요성에 대해서 수없이 들…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Ⅱ)

댓글 0 | 조회 2,904 | 2015.09.24
조선 시대의 어떤 부자 노인이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기 위해 며느리들을 테스트해 보았다. 세 며느리들한테 쌀 한 가마니씩을 나눠주고 이 쌀 가지고 한 달 동안 살… 더보기

풍수 - 믿어야 되나, 말아야 되나……

댓글 0 | 조회 3,365 | 2015.10.14
부동산 광고를 보거나 부동산 옥셔니어(Auctioneer)의 외치는 소리를 들어보면 제일 많이 등장하는 단어가 로케이션(Location) 이다. 부동산(不動産)은… 더보기

하우스 쇼핑(Ⅰ)

댓글 0 | 조회 2,699 | 2015.10.29
뉴질랜드 생활을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경험하는 문화적 변화가 오픈 홈(Open home) 시스템일 것이다. 우선 렌트할 집은 마운트 로스킬(Mt Roskill) … 더보기

하우스 쇼핑(Ⅱ)

댓글 0 | 조회 2,423 | 2015.11.11
일생일대의 중대한 선택은 배우자를 고르는 일일 것이다. 중요한 만큼 고려하는 사항도 많다. 흔히 ‘A’ 에서 ‘H’까지를 점검한다고 한다. 즉 Age(나이), B… 더보기

모자이크 사회

댓글 0 | 조회 5,306 | 2015.11.26
현대사회는 모자이크(Mosaic)와 같다. 하나의 모자이크가 훌륭한 예술품으로서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참여한 각자의 조각들이 제 자리에서 제 몫을 해주… 더보기

옮겨심기

댓글 0 | 조회 2,943 | 2015.12.10
내가 서울에서 마지막까지 살았던 집은 30평 정도의 정원을 가지고 있었다. 하루는 잡종 난초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화초가 나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아침이면 보… 더보기

주례 없는 주례사

댓글 0 | 조회 6,118 | 2015.12.23
결혼을 준비하면서 제일 먼저 대두되는 고민거리 하나가 주례(主禮)를 누구로 모시느냐이다. 신랑 신부 측 부모님과 당사자들과의 의견 조율도 필요하고 주례자를 통해서… 더보기

음악과 영혼과 사랑

댓글 0 | 조회 2,372 | 2016.01.13
누군가의 영혼에 잔잔한 파도라도 일으킬 수 있다면 그 인생은 보람 있는 일을 한 것이리라. 문학과 예술은 인간 영혼의 문제를 다루는 가장 원초적인 관계를 맺어 왔… 더보기

부자 3대는 못가도 먹는 것은 3대 간다

댓글 0 | 조회 2,357 | 2016.01.27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던 ‘부자 3대’ 이야기는 오늘날에 와서 맞을 수도 있고 안 맞을 수도 있다. 한 번 부자의 반열에 오르면 계속 그 지위를 유지하기가 쉬운 오… 더보기

꿀벌이 지구를 떠난다면

댓글 0 | 조회 2,469 | 2016.02.11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박사는 ‘만일 지구상에서 어떤 이유로든 꿀벌이 사라지게 된다면 인류 또한 4년을 넘기지 못할 것이다’… 더보기

중국인들이 몰려온다

댓글 0 | 조회 5,312 | 2016.02.24
우리가 흔히 중국 사람이라고 말하는 중국인은 내용적으로 각각 성격이 다른 부류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중국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영어로 표… 더보기

일곱 베일의 춤

댓글 0 | 조회 4,534 | 2016.03.10
‘모든 괴짜가 다 천재(天才)인 것은 아니지만, 모든 천재는 다 괴짜이다.’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1854-1900)는 19세기 말을 대표하는 아… 더보기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I)

댓글 0 | 조회 5,002 | 2016.03.23
조물주는 세상에 똑 같은 모습이나 개성을 지닌 인간을 만들지 못했다. 아무리 예쁜 여자라도 좌우 대칭이 정확하지는 않다고 한다. 심지어 얼굴도 자세히 보면 좌우가… 더보기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Ⅱ)

댓글 0 | 조회 2,746 | 2016.04.14
“창문을 열어다오, 빛이 더 들어오게, 좀 더 빛을 … 좀 더 빛을……” 독일의 문호 괴테(Johann Wolfgang von Guette, 1749.8.28.-…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사들이기

댓글 0 | 조회 4,954 | 2016.04.29
금년 말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금 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선거가 한창이다. 그런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공화당의 트럼프 후보가 미국 최고의 부동산 … 더보기

운명은 전설처럼 찾아온다

댓글 0 | 조회 1,979 | 2016.05.12
오클랜드 전원일기 (1)뉴질랜드에서 새로운 삶을 개척하겠다고 이민 준비를 할 때부터 운명은 바뀌기 시작했다. 배달겨레의 자손이 바다 밖으로 나가 살게 된 것은 극… 더보기

147 식구를 거느리는 남자

댓글 0 | 조회 1,832 | 2016.05.25
오클랜드 전원일기 (2)짐승들도 자기 가족은 알아본다. 아주 사나운 셰퍼드(Shepherd)이지만 주인한테는 상냥함은 물론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다른 동물들을 헤… 더보기

타조는 왜 목이 길까?

댓글 0 | 조회 2,460 | 2016.06.09
오클랜드 전원일기 (3)타조는 현존하는 새 종류 중에서 가장 크나 날을 수는 없다. 물론 뉴질랜드 섬이 마오리 족에 의해 발견 되었을 때 키가 3미터나 되고 몸무… 더보기

동물 농장에서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635 | 2016.06.23
오클랜드 전원일기 (4)“장원(莊園) 농장에서 평소 소홀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 가축들이 돼지의 지도 아래 반란을 일으켜 농장주 존스와 관리인들을 내쫓고 동… 더보기
Now

현재 빗물 받아먹는 선진국

댓글 0 | 조회 3,347 | 2016.07.13
오클랜드 전원일기 (5)고대 로마 시대에 이미 도시 상수도가 건설되어 생활용수, 음료수, 분수용 등으로 물을 공급했다는 사실은 우리를 경이롭게 만든다. 그러나 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