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조는 왜 목이 길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타조는 왜 목이 길까?

0 개 2,465 한일수

오클랜드 전원일기 (3) 

 

 

1201ebd991efa6a45a6a1e4a900c20eb_1465430937_1117.jpg
 

 

타조는 현존하는 새 종류 중에서 가장 크나 날을 수는 없다. 물론 뉴질랜드 섬이 마오리 족에 의해 발견 되었을 때 키가 3미터나 되고 몸무게가 230kg이나 되는 가장 큰, 그리고 날지 못하는 모아(Moa, 恐鳥)라는 새가 살고 있었다. 그 새는 타조와 비슷하고 날개가 없는 거대한 새였다. 그리고 초기 정착자들의 좋은 먹이 감이 되었으며 알은 물을 운반하는 도구가 되기도 하였다. 천 오백만년 전부터 서기 1500년 대 까지 생존했으나 무분별한 잡아 먹기와 남 섬에서의 환경변화로 멸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타조는 전체 길이가 1.8m 정도 되며 다리 힘이 강하고, 발가락이 바깥과 가운데의 2 가락뿐인 유일한 새이다. 최고 시속이 145km이며 부화 후 한 달 된 새끼의 시속도 56km나 된다고 한다. 수컷의 깃털은 원래 모자나 그 밖의 장식품에 이용되어 왔고 가죽은 피혁 제품으로 개발되기도 하였으며 살과 알은 식용으로, 알껍데기는 공예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뉴질랜드 교민 중에 타조 농장을 대단위로 운영하면서 타조 가죽 제품, 시판 용 타조 고기를 개발하고 관광자원으로도 농장을 개방했던 교민이 있었다. 그러나 농장 투자 비용이나 운영비에 비해 수익성이 낮아 타조 전용 농장을 유지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현실이라 판단된다.

 

평생 동안 타조는 구경도 못하고 살아오다가 뉴질랜드에 까지 와서 타조를 식구로 거느리는 처지가 된 사실이 신기하게 느껴졌다. 알고 지내는 키위들도 농장주택으로 이사를 했다고 하면 대뜸 어떠한 동물이나 작물들이 있느냐고 물어보는데 타조도 있다고 하면 엄청 놀라는 기색이었다. 1980년대 까지만 하더라도 드문드문 타조 키우는 농장이 있었는데 차츰 사라지기 시작하여 2천 년대에 들어서는 데어리 플랫 일대에서도 타조 키우는 집은 우리 집 뿐이 없을 정도로 귀하게 되었다. 

 

타조는 왜 목이 긴 것일까? 타조 머리 부분과 몸통 사이가 많이 떨어져 있어 목이 길어 질 수밖에 없었다고 넌센스(Non-sense) 퀴즈에 나올 법한 문답을 할 수 있다. 날더러 어떻게 타조를 키우게 되었느냐고 물어보면 내 식구로 편입이 되었으니까 같이 살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타조를 방목하면 어디로 튀어 다닐지 모르고 잡기도 힘들다. 사람한테 달려들면 위험하기도 하여 패독(Paddock)을 형성하여 그 안에서 타조가 자유롭게 풀을 뜯어 먹으며 뛰어 놀도록 하고 있다. 암컷 두 마리와 수컷 한 마리를 거느렸는데 매일 아침 모이로 옥수수를 주었다. 몸 집이 커서 먹는 양도 많으며 드럼통에 물을 받아 놓고 찍어 먹도록 하는데 물 소비량도 상당하다. 식수나 생활용수를 빗물에 의존하는 농장 지역에서 여름철에는 타조에게 물을 공급하는 일도 벅차게 될 때가 많다. 모이는 하루 쯤 걸러도 살 수 있지만 물 없이는 견딜 수가 없기에 신경 써야 되는 부분이다. 타조는 물통에 물이 없으면 빈 물통을 마구 쪼아 물 달라는 신호를 보낸다. 얼마나 물을 많이 들이키는지 타조가 소변 볼 때 보면 양동이로 물을 퍼붓는 것 같이 쏟아낸다. 

 

초여름이 되어 타조가 알을 낳게 될 때는 복덩이가 굴러 내려온 것 같은 기쁨을 맛본다. 마리당 일주일에 한두 개 낳는데 빈 땅에 어느새 낳았는지 하얀 보물덩이가 보일 때면 성취감에 흥분되기도 한다. 초여름에서 여름이 한창 진행 될 때까지 알을 낳는데 한 해에 30여개의 알을 수집할 수 있었다. 알 하나가 달걀 30개에 해당하는 질량을 함유하고 있는데 맛이 담백하고 구수하지만 비위에 거슬린다고 못 먹는 사람들도 있다. 우선 양이 많으니 한 두 끼 먹다가 질려버리는 경우가 많다. 껍질이 두꺼워 함부로 깨트리기도 힘들뿐더러 속이 빈 알을 장식용, 공예용, 작품용 등으로 활용하기위하여 양쪽에 구멍을 뚫어 내용물을 다 쏟아내고 빈 알을 확보한다.

 

속이 빈 알을 나무 가지에 장식해놓았더니 타조가 나무위에 알을 낳은 것 같기도 하고 나무에 타조 알 열매가 열린 것 같이 보이기도 했다. 알 표면에 서예 글씨를 써서 작품을 만들어 지인들에게 선물을 하기도 하였다. 크리스탈(Crystal) 또는 도자기 스탠드에 올려놓고 장식을 하면 그럴듯한 예술품이 되기도 한다. 

 

 

1201ebd991efa6a45a6a1e4a900c20eb_1465430964_4235.jpg
 

 

모이 값이라도 충당해 볼까 해서 대문간에 타조 알 판매 간판을 달아보기도 하였다. 아무도 사겠다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고 대문을 두드리는 사람이 있어 나가봤더니 안으로 들어가 타조를 구경할 수 있느냐고 요청하는 사람만 있었다. 아는 교민이 집에 놀러와 몇 개를 사 주었는데 한 개를 다 먹기도 전에 질려버려 나머지는 달걀로 가져가기도 하였다. 우리 집 식구들은 비위가 좋아서 그랬는지 전을 부쳐 먹기를 즐겼고 파티에 갈 때는 플레이트 메뉴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인공부화기가 있어 새끼 번식도 시도해보았다. 타조 알은 부화하는데 42일이 걸리며 그동안에 정전이 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몇 주 지나 안에서 성장을 멈추는 알도 있고, 알을 깨고 나와야 할 시점에 힘이 모자라 외부에서 알을 깨 주면 세상에 나오나 얼마 못 버티고 죽어버리기도 한다. 사실 알껍데기가 얼마나 단단한지 장정 두 사람이 딛고 올라서도 깨지지 않는다. 그런 알껍데기를 뚫고 나와 겨우 한 마리가 생존하여 한 달 정도 잘 크는 가 했더니 어느 날 갑자기 죽어버리기도 하였다. 

 

바이칼 호수에서 아오테아로아 까지

댓글 0 | 조회 6,001 | 2015.07.15
“나는 바이칼 호의 가을 물결을 바라보면서 이 글을 쓰오. 나의 고국 조선은 아직도 처서(處署) 더위로 땀을 흘리리라고 생각하지마는 고국서 칠천 리, 이 바이칼 … 더보기

느림의 아름다움

댓글 0 | 조회 1,865 | 2015.07.28
신입 사원 시절에 성질이 따발총 콩 튀기 듯 하던 과장 밑에서 근무한 적이 있었다. 하루는 무슨 업무 처리 문제로 따발총이 콩 튀기 시작했는데 나한테 불호령이 떨…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Ⅰ)

댓글 0 | 조회 2,292 | 2015.08.13
‘눈이 보배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눈이 우리 몸에 있어서 또는 삶에 있어서 소중하고 중요하여 마치 보물과 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뜻이 되겠다. 시력이 좋…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Ⅱ)

댓글 0 | 조회 2,573 | 2015.08.26
역사상 가장 대박 난 부동산 거래는 알래스카일 것이다. 알래스카는 미국의 49번째 주이고 남한 땅의 16배 이상 되는 넓이로 미국의 주 중에서 가장 크다. 174…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I)

댓글 0 | 조회 3,127 | 2015.09.09
‘씨 뷰 (Sea view)는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서울에서 이민을 준비할 때부터 집을 살 때 바다가 보이는 위치의 중요성에 대해서 수없이 들…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Ⅱ)

댓글 0 | 조회 2,908 | 2015.09.24
조선 시대의 어떤 부자 노인이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기 위해 며느리들을 테스트해 보았다. 세 며느리들한테 쌀 한 가마니씩을 나눠주고 이 쌀 가지고 한 달 동안 살… 더보기

풍수 - 믿어야 되나, 말아야 되나……

댓글 0 | 조회 3,368 | 2015.10.14
부동산 광고를 보거나 부동산 옥셔니어(Auctioneer)의 외치는 소리를 들어보면 제일 많이 등장하는 단어가 로케이션(Location) 이다. 부동산(不動産)은… 더보기

하우스 쇼핑(Ⅰ)

댓글 0 | 조회 2,703 | 2015.10.29
뉴질랜드 생활을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경험하는 문화적 변화가 오픈 홈(Open home) 시스템일 것이다. 우선 렌트할 집은 마운트 로스킬(Mt Roskill) … 더보기

하우스 쇼핑(Ⅱ)

댓글 0 | 조회 2,424 | 2015.11.11
일생일대의 중대한 선택은 배우자를 고르는 일일 것이다. 중요한 만큼 고려하는 사항도 많다. 흔히 ‘A’ 에서 ‘H’까지를 점검한다고 한다. 즉 Age(나이), B… 더보기

모자이크 사회

댓글 0 | 조회 5,316 | 2015.11.26
현대사회는 모자이크(Mosaic)와 같다. 하나의 모자이크가 훌륭한 예술품으로서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참여한 각자의 조각들이 제 자리에서 제 몫을 해주… 더보기

옮겨심기

댓글 0 | 조회 2,946 | 2015.12.10
내가 서울에서 마지막까지 살았던 집은 30평 정도의 정원을 가지고 있었다. 하루는 잡종 난초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화초가 나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아침이면 보… 더보기

주례 없는 주례사

댓글 0 | 조회 6,131 | 2015.12.23
결혼을 준비하면서 제일 먼저 대두되는 고민거리 하나가 주례(主禮)를 누구로 모시느냐이다. 신랑 신부 측 부모님과 당사자들과의 의견 조율도 필요하고 주례자를 통해서… 더보기

음악과 영혼과 사랑

댓글 0 | 조회 2,377 | 2016.01.13
누군가의 영혼에 잔잔한 파도라도 일으킬 수 있다면 그 인생은 보람 있는 일을 한 것이리라. 문학과 예술은 인간 영혼의 문제를 다루는 가장 원초적인 관계를 맺어 왔… 더보기

부자 3대는 못가도 먹는 것은 3대 간다

댓글 0 | 조회 2,359 | 2016.01.27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던 ‘부자 3대’ 이야기는 오늘날에 와서 맞을 수도 있고 안 맞을 수도 있다. 한 번 부자의 반열에 오르면 계속 그 지위를 유지하기가 쉬운 오… 더보기

꿀벌이 지구를 떠난다면

댓글 0 | 조회 2,473 | 2016.02.11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박사는 ‘만일 지구상에서 어떤 이유로든 꿀벌이 사라지게 된다면 인류 또한 4년을 넘기지 못할 것이다’… 더보기

중국인들이 몰려온다

댓글 0 | 조회 5,315 | 2016.02.24
우리가 흔히 중국 사람이라고 말하는 중국인은 내용적으로 각각 성격이 다른 부류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중국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영어로 표… 더보기

일곱 베일의 춤

댓글 0 | 조회 4,536 | 2016.03.10
‘모든 괴짜가 다 천재(天才)인 것은 아니지만, 모든 천재는 다 괴짜이다.’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1854-1900)는 19세기 말을 대표하는 아… 더보기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I)

댓글 0 | 조회 5,005 | 2016.03.23
조물주는 세상에 똑 같은 모습이나 개성을 지닌 인간을 만들지 못했다. 아무리 예쁜 여자라도 좌우 대칭이 정확하지는 않다고 한다. 심지어 얼굴도 자세히 보면 좌우가… 더보기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Ⅱ)

댓글 0 | 조회 2,747 | 2016.04.14
“창문을 열어다오, 빛이 더 들어오게, 좀 더 빛을 … 좀 더 빛을……” 독일의 문호 괴테(Johann Wolfgang von Guette, 1749.8.28.-…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사들이기

댓글 0 | 조회 4,958 | 2016.04.29
금년 말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금 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선거가 한창이다. 그런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공화당의 트럼프 후보가 미국 최고의 부동산 … 더보기

운명은 전설처럼 찾아온다

댓글 0 | 조회 1,981 | 2016.05.12
오클랜드 전원일기 (1)뉴질랜드에서 새로운 삶을 개척하겠다고 이민 준비를 할 때부터 운명은 바뀌기 시작했다. 배달겨레의 자손이 바다 밖으로 나가 살게 된 것은 극… 더보기

147 식구를 거느리는 남자

댓글 0 | 조회 1,833 | 2016.05.25
오클랜드 전원일기 (2)짐승들도 자기 가족은 알아본다. 아주 사나운 셰퍼드(Shepherd)이지만 주인한테는 상냥함은 물론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다른 동물들을 헤… 더보기
Now

현재 타조는 왜 목이 길까?

댓글 0 | 조회 2,466 | 2016.06.09
오클랜드 전원일기 (3)타조는 현존하는 새 종류 중에서 가장 크나 날을 수는 없다. 물론 뉴질랜드 섬이 마오리 족에 의해 발견 되었을 때 키가 3미터나 되고 몸무… 더보기

동물 농장에서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638 | 2016.06.23
오클랜드 전원일기 (4)“장원(莊園) 농장에서 평소 소홀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 가축들이 돼지의 지도 아래 반란을 일으켜 농장주 존스와 관리인들을 내쫓고 동… 더보기

빗물 받아먹는 선진국

댓글 0 | 조회 3,349 | 2016.07.13
오클랜드 전원일기 (5)고대 로마 시대에 이미 도시 상수도가 건설되어 생활용수, 음료수, 분수용 등으로 물을 공급했다는 사실은 우리를 경이롭게 만든다. 그러나 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