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Ⅱ)

0 개 2,747 한일수

ca9bae1d5fdab840739774f758babba0_1460596084_5242.jpg
 

“창문을 열어다오, 빛이 더 들어오게, 좀 더 빛을 … 좀 더 빛을……” 독일의 문호 괴테(Johann Wolfgang von Guette, 1749.8.28.-1832.3.22.)가 마지막으로 남겼다는 한마디이다. 살아 있을 때 이미 부(富)와 명예, 지위 등 모든 것을 누렸기에 여한이 없을 괴테였지만 죽는 순간에도 좀 더 빛을 달라고 애원했다. 

 

서울에서도 마찬가지였지만 뉴질랜드에 와서도 주택을 구입할 때엔 채광(採光)과 통풍(通風)을 제일 중요시했다. 주위에 막힘이 없고 창문이 많으면 빛이 잘 들고 바람도 잘 통할 것이다. 따라서 실내 분위기도 쾌적하고 습기에 찌들지 않아 건강한 집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집에 사는 사람들의 건강도 좋아질 것이다. 좋은 집의 조건으로 뷰(View)를 내세우는데 뷰가 좋다는 말은 채광과 통풍이 잘 된다는 의미로도 통한다.

 

괴테가 현재의 서울 아파트에 산다면 어떠했을까 짐작해 본다. 분당아파트가 건설된 지 30년이 되어 가는데 벌써 녹물이 나오나 고층아파트가 즐비해 재개발 이익도 발생하지 않아 골칫거리가 될 조짐이 보인다. 혹자는 앞으로 50년 후면 고층 아파트는 쓰레기 산이 될 거라고 예측하고 있다. 온갖 편의 시설과 자동화 시스템을 설치하여 천국의 집 같이 꾸며 놓았지만 그 안에 사는 사람은 답답할 수밖에 없다. 맞통하는 창문이 있어야 환기가 잘 되는데 한 쪽에만 있으니 숨이 막히고 해는 어디서 뜨고 지는지 바라 볼 수도 없다. 아파트에서 지하철로 출퇴근 할 경우 지하철에서 바로 빌딩으로 연결되는 지하도로를 이용해 엘리베이터를 타고 사무실로 직행하기에 바깥 구경을 못하고 집과 직장을 왕래하는 경우도 있다. 

 

하기야 오클랜드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어떤 경우에 지난여름 더위와 싸우느라 곤혹을 치루기도 하였다. 테라스(Terrace) 하우스, 유닛(Unit) 하우스, 아파트 등 집단 주택들이 많이 보급되고 있는데 창문이 적고 또한 옆집과의 시야 때문에 작은 창문이나마 마음대로 열어 놓을 수도 없어 고생을 한 것이다. 뉴질랜드에 오자마자 느낀 것은 고층 빌딩이 없고 녹지 공간이 넓으며 옛날 목조 주택들이지만 집터가 넓어 가슴이 트이는 기분이었다. 오랜만에 맞이하는 무지개는 메마른 가슴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었고 넓고 푸른 하늘과 밤하늘의 달과 별을 바라보며 생의 환희를 맛보기도 하였다. 

 

이민 초창기에 키위들과 남부호주 여행 도중 남쪽 끝에 위치한 조그만 항구도시 마운트 갬비어(Mt. Gambier)에서 하룻밤을 지낸 일이 있었다. 시골 도시 특유의 소박함과 정감이 넘치는 곳이었는데 무엇보다도 은퇴부부의 집에서 겪은 감격이 잊혀 지지 않는다. 60대인 부부는 아들들이 미국에 살고 있고 두 부부만 방 세 개짜리의 평범한 서민주택에서 자기들의 삶을 영위하고 있는데 모든 것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그러나 나를 놀라게 한 것은 그 집 정원이었다. 모임 행사가 끝나고 저녁 늦게 들어가 정원으로 안내되었는데 순간 경탄을 금치 못하였다. 넓지 않은 정원을 오밀조밀하게 신의 조화처럼 가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수많은 화분들이 바닥이나 계단에 자리 잡고 교태를 부리는가하면 머리위에서 손짓하고 있었다. 서로 다른 것들이 모여 친화하면서 전체적인 하모니를 이루어 나가는 것을 보니 바로 이런 곳이 천국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정원을 구성하는 화초들은 땅에 심은 것, 화분에 심어 놓여 진 것, 매달린 화분이나 바스켓에 심어진 것들로 구성된다. 거기에 잔디밭과 정원수, 분수시설, 연못, 조명장치들이 끼어들어 조화를 창조하고 있다. 매달린 화분은 처마나 나뭇가지에 걸어 놓는데 이는 2차원적인 식물 재배가 아닌 3차원적 공간 예술 창조를 의미한다. 또한 여러 가지 화초를 섞어서 구성하기에 음악에 있어서 오케스트라와 같다. 사람의 얼굴이 모두 다르듯이 정원의 구조나 양식도 각양각색이다. 

 

여자하고 정원은 꾸미기 나름이다. 여성들은 화장을 하면서 거울에 비춰진 자기의 모습을 보고 행복감을 느낀다고 한다. 일종의 나르시시즘(Narcissism)적인 자기도취의 만족감을 맛보는 것이다. 또한 다른 사람한테 자기의 존재를 돋보이기 위해서 몸매를 가꾼다. 정원을 가꾸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여성이 치장하는데 소요한 시간과 돈을 돈벌이에 투자한다면 훨씬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얻을지도 모른다. 또한 정원 가꾸기에 소요한 시간과 돈을 소득증대를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빛바랜 여성이 돈이 많은들 무슨 소용이 있으며 삭막한 집에 사는 부자에게 무슨 행복이 있을까? 

 

정원 상태에 따라서 집의 가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보여준 경우를 경험했다. 가든 투어(Garden Tour)중 방문한 맹게레(Mangere) 지역의 마오리 촌이었다. 전형적인 서민주택 단지였고 방문했던 집은 한 건물을 두 가구가 쪼개어 사는 플랫(Flat)이었다. 그런데 양쪽 경계선은 정원으로 인해 완전 독립세대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건물구조가 똑 같음에도 불구하고 두 집은 무릉도원과 달동네만큼이나 다르게 보였다. 바로「이것이구나」하는 느낌이 뇌리에 스쳤다. 

 

낙원(樂園)과 유토피아(Utopia)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피안의 세계이다. 그러나 자기 자신 안에 낙원을 건설할 수도 있다.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은 바로 자기 자신 안에 파라다이스(Paradise)를 꾸미고 있는 것이다. 뉴질랜드 생활은 호화 아파트에 살고 있지 않으면서도 넓은 정원을 가꿀 수 있기에 행복해 질 수 있다. 

 

바이칼 호수에서 아오테아로아 까지

댓글 0 | 조회 6,001 | 2015.07.15
“나는 바이칼 호의 가을 물결을 바라보면서 이 글을 쓰오. 나의 고국 조선은 아직도 처서(處署) 더위로 땀을 흘리리라고 생각하지마는 고국서 칠천 리, 이 바이칼 … 더보기

느림의 아름다움

댓글 0 | 조회 1,865 | 2015.07.28
신입 사원 시절에 성질이 따발총 콩 튀기 듯 하던 과장 밑에서 근무한 적이 있었다. 하루는 무슨 업무 처리 문제로 따발총이 콩 튀기 시작했는데 나한테 불호령이 떨…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Ⅰ)

댓글 0 | 조회 2,292 | 2015.08.13
‘눈이 보배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눈이 우리 몸에 있어서 또는 삶에 있어서 소중하고 중요하여 마치 보물과 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뜻이 되겠다. 시력이 좋… 더보기

보는 눈에 돈 들어온다(Ⅱ)

댓글 0 | 조회 2,573 | 2015.08.26
역사상 가장 대박 난 부동산 거래는 알래스카일 것이다. 알래스카는 미국의 49번째 주이고 남한 땅의 16배 이상 되는 넓이로 미국의 주 중에서 가장 크다. 174…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I)

댓글 0 | 조회 3,127 | 2015.09.09
‘씨 뷰 (Sea view)는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서울에서 이민을 준비할 때부터 집을 살 때 바다가 보이는 위치의 중요성에 대해서 수없이 들… 더보기

돈이 되는 내 집 찾기 (Ⅱ)

댓글 0 | 조회 2,908 | 2015.09.24
조선 시대의 어떤 부자 노인이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기 위해 며느리들을 테스트해 보았다. 세 며느리들한테 쌀 한 가마니씩을 나눠주고 이 쌀 가지고 한 달 동안 살… 더보기

풍수 - 믿어야 되나, 말아야 되나……

댓글 0 | 조회 3,368 | 2015.10.14
부동산 광고를 보거나 부동산 옥셔니어(Auctioneer)의 외치는 소리를 들어보면 제일 많이 등장하는 단어가 로케이션(Location) 이다. 부동산(不動産)은… 더보기

하우스 쇼핑(Ⅰ)

댓글 0 | 조회 2,703 | 2015.10.29
뉴질랜드 생활을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경험하는 문화적 변화가 오픈 홈(Open home) 시스템일 것이다. 우선 렌트할 집은 마운트 로스킬(Mt Roskill) … 더보기

하우스 쇼핑(Ⅱ)

댓글 0 | 조회 2,424 | 2015.11.11
일생일대의 중대한 선택은 배우자를 고르는 일일 것이다. 중요한 만큼 고려하는 사항도 많다. 흔히 ‘A’ 에서 ‘H’까지를 점검한다고 한다. 즉 Age(나이), B… 더보기

모자이크 사회

댓글 0 | 조회 5,316 | 2015.11.26
현대사회는 모자이크(Mosaic)와 같다. 하나의 모자이크가 훌륭한 예술품으로서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참여한 각자의 조각들이 제 자리에서 제 몫을 해주… 더보기

옮겨심기

댓글 0 | 조회 2,946 | 2015.12.10
내가 서울에서 마지막까지 살았던 집은 30평 정도의 정원을 가지고 있었다. 하루는 잡종 난초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화초가 나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아침이면 보… 더보기

주례 없는 주례사

댓글 0 | 조회 6,131 | 2015.12.23
결혼을 준비하면서 제일 먼저 대두되는 고민거리 하나가 주례(主禮)를 누구로 모시느냐이다. 신랑 신부 측 부모님과 당사자들과의 의견 조율도 필요하고 주례자를 통해서… 더보기

음악과 영혼과 사랑

댓글 0 | 조회 2,378 | 2016.01.13
누군가의 영혼에 잔잔한 파도라도 일으킬 수 있다면 그 인생은 보람 있는 일을 한 것이리라. 문학과 예술은 인간 영혼의 문제를 다루는 가장 원초적인 관계를 맺어 왔… 더보기

부자 3대는 못가도 먹는 것은 3대 간다

댓글 0 | 조회 2,359 | 2016.01.27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던 ‘부자 3대’ 이야기는 오늘날에 와서 맞을 수도 있고 안 맞을 수도 있다. 한 번 부자의 반열에 오르면 계속 그 지위를 유지하기가 쉬운 오… 더보기

꿀벌이 지구를 떠난다면

댓글 0 | 조회 2,473 | 2016.02.11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 박사는 ‘만일 지구상에서 어떤 이유로든 꿀벌이 사라지게 된다면 인류 또한 4년을 넘기지 못할 것이다’… 더보기

중국인들이 몰려온다

댓글 0 | 조회 5,315 | 2016.02.24
우리가 흔히 중국 사람이라고 말하는 중국인은 내용적으로 각각 성격이 다른 부류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중국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영어로 표… 더보기

일곱 베일의 춤

댓글 0 | 조회 4,536 | 2016.03.10
‘모든 괴짜가 다 천재(天才)인 것은 아니지만, 모든 천재는 다 괴짜이다.’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1854-1900)는 19세기 말을 대표하는 아… 더보기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I)

댓글 0 | 조회 5,005 | 2016.03.23
조물주는 세상에 똑 같은 모습이나 개성을 지닌 인간을 만들지 못했다. 아무리 예쁜 여자라도 좌우 대칭이 정확하지는 않다고 한다. 심지어 얼굴도 자세히 보면 좌우가… 더보기
Now

현재 정원 딸린 주택에 사는 팔자 (Ⅱ)

댓글 0 | 조회 2,748 | 2016.04.14
“창문을 열어다오, 빛이 더 들어오게, 좀 더 빛을 … 좀 더 빛을……” 독일의 문호 괴테(Johann Wolfgang von Guette, 1749.8.28.-…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사들이기

댓글 0 | 조회 4,958 | 2016.04.29
금년 말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금 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선거가 한창이다. 그런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공화당의 트럼프 후보가 미국 최고의 부동산 … 더보기

운명은 전설처럼 찾아온다

댓글 0 | 조회 1,981 | 2016.05.12
오클랜드 전원일기 (1)뉴질랜드에서 새로운 삶을 개척하겠다고 이민 준비를 할 때부터 운명은 바뀌기 시작했다. 배달겨레의 자손이 바다 밖으로 나가 살게 된 것은 극… 더보기

147 식구를 거느리는 남자

댓글 0 | 조회 1,833 | 2016.05.25
오클랜드 전원일기 (2)짐승들도 자기 가족은 알아본다. 아주 사나운 셰퍼드(Shepherd)이지만 주인한테는 상냥함은 물론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다른 동물들을 헤… 더보기

타조는 왜 목이 길까?

댓글 0 | 조회 2,466 | 2016.06.09
오클랜드 전원일기 (3)타조는 현존하는 새 종류 중에서 가장 크나 날을 수는 없다. 물론 뉴질랜드 섬이 마오리 족에 의해 발견 되었을 때 키가 3미터나 되고 몸무… 더보기

동물 농장에서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638 | 2016.06.23
오클랜드 전원일기 (4)“장원(莊園) 농장에서 평소 소홀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 가축들이 돼지의 지도 아래 반란을 일으켜 농장주 존스와 관리인들을 내쫓고 동… 더보기

빗물 받아먹는 선진국

댓글 0 | 조회 3,349 | 2016.07.13
오클랜드 전원일기 (5)고대 로마 시대에 이미 도시 상수도가 건설되어 생활용수, 음료수, 분수용 등으로 물을 공급했다는 사실은 우리를 경이롭게 만든다. 그러나 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