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유투브 (YouTube) 전성시대이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바야흐로 유투브 (YouTube) 전성시대이다

0 개 1,549 김임수

이민생활을 하는 이곳 뉴질랜드에서의 사정은 다를 수 있겠지만, 한국에서는 젊은이들의 유투브 동영상 시청시간이 TV시청시간을 추월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 조사된 초등학생의 장래 희망 직업순위에 유투버 (유투브에 동영상을 올리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가 당당 5위에 올랐다고 하니 유투브의 인기를 짐작할 수 있다. 

 

비단 젊은이들 뿐 아니다. 몇달 전에는 한국의 72세 할머니가 운영하는 유투브채널의 구독자수가 1백만을 돌파하였다고 해서 큰 화제가 되었다. 때마침 미국의 유투브 사장이 한국을 방문하였는데, 그 할머니를 만나 함께 찍은 사진이 언론에 크게 보도되기도 했다.  

 

c9a9d5ada724f5548cb7de3cdd5cc2b8_1566870181_172.jpg
 

유투브에는 다양한 콘텐츠가 존재한다. 개인생활의 소소한 일상을 기록 하는 vlog에서 연예, 스포츠, 예술, 종교, 정치, 경제, 과학 등 전 분야에 걸쳐 있다. 

 

필자도 유투브를 즐겨 보는 사람중의 하나이다. 주로 재미삼아 보는 것이지만 요사이에는 제법 유용하게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물건을 살 때 제품정보를 확인하기도 하고 물건의 사용법을 모를 때는 상세한 동영상 설명을 보면서 배우기도 한다.  이쯤 되면 ‘유투브 덕후’ 라고 자부심을 가지기에 충분하다.

 

유투브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BTS (방탄소년단)을 빼 놓을 수 없다.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고있는 이들의 엄청난 성공도 자신들의 ‘플레이 그라운드’ 유투브를 잘 활용했기 때문이다. 방탄소년단의 성공은 그들의 음악과 그 안에 담겨 있는 메시지에 힘입은 바 크지만 팬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공간 유투브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유투브에 이러한 순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유투버들은 구독자와 조회수를 늘리기 위해 신뢰성 있는 양질의 컨텐츠 제작은 뒷전으로 미룬 채 자극적인 내용을 만드는데 혈안이 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현상은 유투브 정치 채널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정치 성향에 따라 유투버의 채널을 구독하고 그 안에서 자신들의 정치 신념을 공고히 하며 서로를 결속한다. 

 

인기 정치유투브 채널에는 구독자들의 과격한 댓글이 넘쳐나는데, 유투버들도 이에 편승하여 자신의 열혈지지자들에게 막말과 가짜뉴스를 퍼트리기도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유투브를 통해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돈도 벌고. 1석 2조이다. 

 

유투브는 아니지만, 지난 3월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테러의 범인은 자신의 헬맷에 소형카메라를 설치하고 무차별 살해 현장을 페이스북을 통하여 생중계하는 극악무도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 

 

이렇게 유투브나 페이스북이 왜곡된 정치적 신념과 잘못된 이념을 전파하는 선전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바라보면, 반인류적, 반문명적, 반생명적인 메세지가 확대 재생산되어 유통되는 상황을 우리 사회가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 깊은 고민에 빠지게 된다. 

 

소셜미디어 (SNS)는 우리의 삶에 이미 깊숙하게 들어와 있다. 사람들은 상대방과 대면하지 않아도 자신의 메시지 (왜곡된 것이라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을 가지게 된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이러한 정서적 불편함을 감수하고 사람들을 만날 하등의 이유가 없는 것일까. 아니다. 우리가 감정을 가지고 살아 숨쉬는 한 다른 사람과의 만남과 소통은 계속될 수 밖에 없다.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과 만나서 대화를 나누어야 한다. 그 상대방이 반드시 나와 비슷한 생각과 신념을 가진 사람이 아닐 경우 감정의 소모는 더욱 크겠지만, 우리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나를 돌아보는 소중한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다름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임으로써 우리는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전 세계의 관종 (관심종자: 병적으로 남의 관심을 받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치열하게 각축하는 유투브 공간.  나같이 평범한 사람은 정신을 똑 바로 차리지 않으면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다 길을 잃고 말 것 같다.

 

유투브 달인이 되어 돈과 명성을 얻겠다는 허황된 꿈은 애초에 포기했다. 다만, 유투브를 맹신하고 추종하는 유투브 폐인만은 되지 말자고 다짐한다.  

 

김 임수  심리상담사 / T. 09 951 3789 / imsoo.kim@asianfamilyservices.nz       

2022년, 마음의 관리를 통해 부부 관계의 회복을 이루기를

댓글 0 | 조회 1,162 | 2022.02.10
모든 관계 안에서 불통으로 인해 갈등을 해결못하고 불화가 생기고 감정이 상하고 골이 깊어지고 냉전이 지속되면서 관계의 단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남은 안 보면 그만… 더보기

나 자신에게 친절합시다!

댓글 0 | 조회 1,173 | 2021.11.24
코비드 상황이 길어지면서 많은 분들이 이해하듯이 정신적으로 힘들어지고 우울증, 불면증, 공황발작같은 정신적인 이슈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코비드 전에 이미 그런 … 더보기

문교부에서 지원하는 무료 Parenting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1,177 | 2023.01.17
대상: 3살에서 8살 사이의 자녀들을 가진 부모날짜: 2월 10일 금요일부터 15주간 매주 금요일시간: 오전 10시에서 12시 30분장소: 15회 중 3번은 Gr… 더보기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작은 힘

댓글 0 | 조회 1,284 | 2021.10.27
전례 없는 세상이 되었고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사라지는 것 같은 두려움과 불안이 한 나라만이 아니라 전 세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백신이 이 세상을 구해줄 … 더보기

자신을 우선순위로 두는 것이 이기적인가?

댓글 0 | 조회 1,288 | 2021.11.10
가족을 위하는 마음이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무비판적인 태도 그리고 비교하지 않고 온전히 자녀를 독립된 존재로 인정하고 신뢰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마음이라면 괜… 더보기

부정적인 감정을 생각으로 바꾼다?

댓글 0 | 조회 1,331 | 2020.09.23
우울감, 슬픔, 화, 실망감, 좌절감 등의 감정들이 나를 감싸면서 왜 나에게만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지 절망적일 때 나만 이렇게 힘든가 하고 주변을 둘러보면 그리고… 더보기

2017년 거리로 나온 사람들

댓글 0 | 조회 1,368 | 2017.12.20
아시안패밀리서비스 심리상담실 (5)‘다사다난’했다는 한마디 말로 표현하기에는 정말로 턱없이 부족한 2017년 한해였습니다. 대한민국이 천지개벽의 격변을 겪었습니다… 더보기

내 자녀의 온라인 게임중독, 어떻게 해야 할까? (1)

댓글 0 | 조회 1,375 | 2022.03.09
십대의 자녀들, 특히 아들들의 온라인 게임으로 인해 골치를 앓고 있는 부모들의 호소를 자주 듣게 됩니다. 상담까지 해보려고 연락을 하게 되는 상황은 보통 이미 부… 더보기

생긴대로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382 | 2018.01.31
휴가기간중 가족들과 함께 영화 ‘The greatest showman’을 관람했다. 전설적인 엔터테이너 P.T. Barnum이 만든 Barnum & Bai… 더보기

가정 폭력 시리즈 - 분노의 피해자 1

댓글 0 | 조회 1,385 | 2020.06.24
많은 분들이 뉴스를 보며 알 듯이 코로나와 Lock down전후 쌓여가는 스트레스와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한정 된 공간에서의 가족간의 긴밀한 접촉으로 인해 가정폭… 더보기

자녀들의 문제로 고민하세요?

댓글 0 | 조회 1,392 | 2023.03.15
- 학부모 지원 그룹과 도박의 종류아시안 패밀리 서비스의 무료 상담의 대상은 도박자나 도박자의 가족들 그리고 도박자가 주변인으로 있는 분들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 … 더보기

월드컵축제의 어두운 이면,“스포츠도박”

댓글 0 | 조회 1,410 | 2018.07.26
2018 FIFA 월드컵이 한달여의 대장정을 마치고 지난주 막을 내렸다. 결승에서 프랑스가 크로아티아를 꺾고 20년만에 대망의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아시아 대… 더보기

드라마 ‘SKY캐슬’를 보며 H원장님을 기리다

댓글 0 | 조회 1,418 | 2019.02.26
코믹 입시스릴러라는 독특한 장르를 선보이며 숱한 화제를 낳았던 드라마 ‘스카이캐슬’이 절찬리에 막을 내렸다. 다소 극단적인 방향으로 과장되게 상황묘사를 했지만 현… 더보기

‘화’바이러스를 퇴치하자

댓글 0 | 조회 1,447 | 2017.09.27
‘화’나 ‘분노’감정에 대하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인식중의 하나가 ‘화를 참으면 병에 걸리므로 이를 밖으로 표출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라는 것이다. 맞는 얘기이다… 더보기

금쪽같은 내 새끼

댓글 0 | 조회 1,449 | 2021.04.13
자녀를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있겠으며 자녀의 고통을 외면할 수 있는 부모도 얼마나 될 수 있을 까 싶을 만큼 사랑하고 모든 것을 주고 싶은 것이 부모의 심정입… 더보기

조장관의 딸, 나대표의 아들

댓글 0 | 조회 1,452 | 2019.09.24
한국 정치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분들도 현재 나라 전체를 발칵 뒤집어 놓은 논란의 중심에 선 이 두명의 젊은이들을 알고 계시리라 생각한다. 그들이 대학에 입학하기… 더보기

가정 폭력 시리즈-피해자가 대처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1,457 | 2020.07.29
지난 번 칼럼에서는 피해자가 스스로가 피해자로 인지하는 것의 중요성과 가정 폭력발생시 대처할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 칼럼에서는 경찰에 당장 전화할 정도는 아… 더보기

아폴로 메디컬 센터의 HIP건강증진 상담 안내

댓글 0 | 조회 1,459 | 2022.11.08
HIP은 Health Improvement practitioner의 줄임말로 등록된 메디컬 센터에서 General Practitioner(GP)를 만난 후 HIP… 더보기

방황하는 부모와 방황하는 자녀들

댓글 0 | 조회 1,483 | 2021.05.26
그 전에 소리치는 부모, 소리치는 자녀들이라는 칼럼을 썼었는데 그 당시에도 그런 상담케이스들이 많아서 관련된 글을 쓰게 되었는데 부모와 자녀들의 문제들은 결코 마… 더보기

분노 감정 조절-오감에 충실하자

댓글 0 | 조회 1,514 | 2017.10.26
이번 회에는 ‘화’나 ‘불안’등의 감정들에 대응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늘, 말씀드리지만, 감정을 잘 돌본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 더보기

자살문제, 이제는 함께 나서야 합니다

댓글 0 | 조회 1,518 | 2019.10.22
지난 10일 오클랜드대학교에서는 ‘한국인들을 위한 자살방지 도움자료’ 발표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정신건강분야에 종사하는 아시안들과 와이테마타보건위… 더보기

우리 함께 Covid19에 대처해요.

댓글 0 | 조회 1,525 | 2021.09.08
Covid19 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십니까. 저희가 도와드리겠습니다.아시안패밀리서비스아시안패밀리서비스는 도박의 피해를 입은 아시안을 위한 뉴질랜드 유일의 기관입니… 더보기

내가 못하는 건 상대방도 할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535 | 2021.02.24
어느 형태의 관계에서 던지 적용해야 하는 것이 평등하고 공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못하는 것이라도 상대방에게 기대를 건다 던지 요구를 하게 되고 그것을 해내… 더보기

정신 건강과 아시안 헬프라인

댓글 0 | 조회 1,541 | 2020.10.29
여러가지 정신 건강과 동양인들의 대응 방법들에 대한 조사는 뉴질랜드나 다른 해외 국가들에서 이민자들의 어려움들을 연구하고 이해하려는 차원에서 관련된 영역에서 일하… 더보기
Now

현재 바야흐로 유투브 (YouTube) 전성시대이다

댓글 0 | 조회 1,550 | 2019.08.27
이민생활을 하는 이곳 뉴질랜드에서의 사정은 다를 수 있겠지만, 한국에서는 젊은이들의 유투브 동영상 시청시간이 TV시청시간을 추월하기 시작했다고 한다.그리고, 최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