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 감정 조절-오감에 충실하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분노 감정 조절-오감에 충실하자

0 개 1,514 김임수

이번 회에는 ‘화’나 ‘불안’등의 감정들에 대응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늘, 말씀드리지만, 감정을 잘 돌본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를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마음의 자세가 전제 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뼈아픈 자기 성찰이 요구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도대체 한가지라도 마음에 드는 구석이 없는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니….. 그렇지만, 미리부터 포기하지는 말자. 

 

단지, 평생의 과업이라고 생각하자. 몇가지,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많은 심리학자, 정신과 의사, 상담사들이 오랜 연구를 통하여 실제 효과가 있다고 과학적으로 입증한 방법들이니, ‘밑져야 본 전’이라는 마음으로 한번 해 보시기를 권한다.  

 

1. 4-7-8 호흡법 

숨은 우리의 모든 것이다.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화가 머리 끝까지 치밀어 오를 때, 대개 숨을 얕게 몰아 쉬는데 이는 감정과 생각의 흐름이 원활하게 소통되지 않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호흡을 과학적으로 설명하자면 들숨과 날숨을 번갈아 가며 몸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과정이다. 

 

들숨, 날 숨 다 중요하지만, 감정조절 명상기법에서는 날숨에 더 큰 중점을 둔다. 

 

날숨을 완전하게 하지 못하면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면) 몸은 산소를 계속 요구하고, 이것이 습관이 되어 가뿐 숨을 계속 쉬게 된다고 한다.  

 

4-7-8 호흡의 원리는 4초간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7초간 숨을 잠시 멈추고, 8초간 입으로 숨을 내쉬라는 것이다. 

 

숨을 잠시 멈추는 이유는 들이 마신 산소가 폐로 들어가서 몸 전체에 순환하도록 시간을 주는 것이다. 화가 치밀어 오를 때, 자신만의 공간에서 이를 시도해 보시기를 바란다. 

 

대개 한번에 3-4차례,  하루에 여러 번 해도 좋다. 

 

2. 오감산책 

오감산책은 필자가 붙인 이름이다. 온 몸의 감각을 사용하며, 자연을 음미하며 걷자는 의미이다. 

 

하버드대학의 정신건강의 John Ratey는 ‘최고의 항우울제는 운동이다’라고 설파하는 의사이다. 이 분의 주장에 따르면 인간의 몸과 마음은 적절한 운동을 통해서 최적의 상태를 유지될 수도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한다. 

 

복잡한 감정의 쓰나미가 몰려올 때, 자신의 오감을 총 동원해서 자연과 소통을 하면, 폭발적인 감정이 어느새 진정됨을 느끼게 될 것이다. 

 

옷을 갈아입고, 운동화 챙겨신고 밖으로 나가는 일은 솔직히 귀찮고 성가신 일이다. 단, 1분, 2분이라도 좋다. 바깥의 신선한 공기를 들여마시고, 새소리를 들고, 풀냄새를 맡으며, 멀리있는 나무를 바라보자. 

 

내 앞에 펼쳐진 자 연과 호흡하면서 나에게 휴식을 주자. 

 

3. 경락, 손날치기 (가라테초핑) 

이 방법은 한국에서 분노조절기법으로 많이 활용된다고 들 었다. 

 

동양의 경락 이론에 바탕을 둔 심리치료요법이다. 이론의 배경은 경락이 막히면 부정적인 생각이 생기므로 경락의 경혈을 두드림으로써, 막힌 것을 뚫어준다는 것이다. 

 

머리에서부 터 눈, 코, 겨드랑이, 손까지 경락을 가볍게 두드림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나는 지금 불안하지만, 나 자신을 마음속 깊이 진심으로 받아들입니다’라고 소리내어 얘기한다. 

 

소리내서 얘기하는 것이 쑥스럽지만, 입밖으로 소리를 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자신에게 보내는 위로와 격려이기 때문이다. 

 

시간적 장소적으로 제약이 있다면, 약식으로 손날을 손바닥에 내리치면서 하는 손날 치기 (karate chopping)도 큰 효과를 준다. 

 

가라테초핑 (손날치기)

7db9af6b4a224110f6c11651f9010a58_1508965428_7639.jpg

 

몇가지 감정조절기법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짧게 글로 소개하는 것이 얼마나 큰 효과를 줄 것인가 소심한 걱정이 앞선다. 그러나, 때로는 우연히 마주친 짧은 글 하나가 격려와 힘을 주기도 한다. 끝으로, 필자에게 큰 용기와 힘을 준 문구를 독자들과 함께 나누며 ‘화’,‘분노’시리즈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생각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의 말이 되기 때문입니다. 

말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의 행동이 되기 때문입니다.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의 성격이 되기 때문입니다. 

성격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의 운명이 되기 때문입니다.

 

아시안패밀리서비스 심리상담실 (3)

 

2022년, 마음의 관리를 통해 부부 관계의 회복을 이루기를

댓글 0 | 조회 1,163 | 2022.02.10
모든 관계 안에서 불통으로 인해 갈등을 해결못하고 불화가 생기고 감정이 상하고 골이 깊어지고 냉전이 지속되면서 관계의 단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남은 안 보면 그만… 더보기

나 자신에게 친절합시다!

댓글 0 | 조회 1,173 | 2021.11.24
코비드 상황이 길어지면서 많은 분들이 이해하듯이 정신적으로 힘들어지고 우울증, 불면증, 공황발작같은 정신적인 이슈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코비드 전에 이미 그런 … 더보기

문교부에서 지원하는 무료 Parenting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1,177 | 2023.01.17
대상: 3살에서 8살 사이의 자녀들을 가진 부모날짜: 2월 10일 금요일부터 15주간 매주 금요일시간: 오전 10시에서 12시 30분장소: 15회 중 3번은 Gr… 더보기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작은 힘

댓글 0 | 조회 1,284 | 2021.10.27
전례 없는 세상이 되었고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사라지는 것 같은 두려움과 불안이 한 나라만이 아니라 전 세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백신이 이 세상을 구해줄 … 더보기

자신을 우선순위로 두는 것이 이기적인가?

댓글 0 | 조회 1,288 | 2021.11.10
가족을 위하는 마음이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무비판적인 태도 그리고 비교하지 않고 온전히 자녀를 독립된 존재로 인정하고 신뢰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마음이라면 괜… 더보기

부정적인 감정을 생각으로 바꾼다?

댓글 0 | 조회 1,331 | 2020.09.23
우울감, 슬픔, 화, 실망감, 좌절감 등의 감정들이 나를 감싸면서 왜 나에게만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지 절망적일 때 나만 이렇게 힘든가 하고 주변을 둘러보면 그리고… 더보기

2017년 거리로 나온 사람들

댓글 0 | 조회 1,368 | 2017.12.20
아시안패밀리서비스 심리상담실 (5)‘다사다난’했다는 한마디 말로 표현하기에는 정말로 턱없이 부족한 2017년 한해였습니다. 대한민국이 천지개벽의 격변을 겪었습니다… 더보기

내 자녀의 온라인 게임중독, 어떻게 해야 할까? (1)

댓글 0 | 조회 1,375 | 2022.03.09
십대의 자녀들, 특히 아들들의 온라인 게임으로 인해 골치를 앓고 있는 부모들의 호소를 자주 듣게 됩니다. 상담까지 해보려고 연락을 하게 되는 상황은 보통 이미 부… 더보기

생긴대로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382 | 2018.01.31
휴가기간중 가족들과 함께 영화 ‘The greatest showman’을 관람했다. 전설적인 엔터테이너 P.T. Barnum이 만든 Barnum & Bai… 더보기

가정 폭력 시리즈 - 분노의 피해자 1

댓글 0 | 조회 1,385 | 2020.06.24
많은 분들이 뉴스를 보며 알 듯이 코로나와 Lock down전후 쌓여가는 스트레스와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한정 된 공간에서의 가족간의 긴밀한 접촉으로 인해 가정폭… 더보기

자녀들의 문제로 고민하세요?

댓글 0 | 조회 1,392 | 2023.03.15
- 학부모 지원 그룹과 도박의 종류아시안 패밀리 서비스의 무료 상담의 대상은 도박자나 도박자의 가족들 그리고 도박자가 주변인으로 있는 분들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 … 더보기

월드컵축제의 어두운 이면,“스포츠도박”

댓글 0 | 조회 1,410 | 2018.07.26
2018 FIFA 월드컵이 한달여의 대장정을 마치고 지난주 막을 내렸다. 결승에서 프랑스가 크로아티아를 꺾고 20년만에 대망의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아시아 대… 더보기

드라마 ‘SKY캐슬’를 보며 H원장님을 기리다

댓글 0 | 조회 1,418 | 2019.02.26
코믹 입시스릴러라는 독특한 장르를 선보이며 숱한 화제를 낳았던 드라마 ‘스카이캐슬’이 절찬리에 막을 내렸다. 다소 극단적인 방향으로 과장되게 상황묘사를 했지만 현… 더보기

‘화’바이러스를 퇴치하자

댓글 0 | 조회 1,448 | 2017.09.27
‘화’나 ‘분노’감정에 대하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인식중의 하나가 ‘화를 참으면 병에 걸리므로 이를 밖으로 표출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라는 것이다. 맞는 얘기이다… 더보기

금쪽같은 내 새끼

댓글 0 | 조회 1,449 | 2021.04.13
자녀를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있겠으며 자녀의 고통을 외면할 수 있는 부모도 얼마나 될 수 있을 까 싶을 만큼 사랑하고 모든 것을 주고 싶은 것이 부모의 심정입… 더보기

조장관의 딸, 나대표의 아들

댓글 0 | 조회 1,452 | 2019.09.24
한국 정치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분들도 현재 나라 전체를 발칵 뒤집어 놓은 논란의 중심에 선 이 두명의 젊은이들을 알고 계시리라 생각한다. 그들이 대학에 입학하기… 더보기

가정 폭력 시리즈-피해자가 대처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1,457 | 2020.07.29
지난 번 칼럼에서는 피해자가 스스로가 피해자로 인지하는 것의 중요성과 가정 폭력발생시 대처할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 칼럼에서는 경찰에 당장 전화할 정도는 아… 더보기

아폴로 메디컬 센터의 HIP건강증진 상담 안내

댓글 0 | 조회 1,460 | 2022.11.08
HIP은 Health Improvement practitioner의 줄임말로 등록된 메디컬 센터에서 General Practitioner(GP)를 만난 후 HIP… 더보기

방황하는 부모와 방황하는 자녀들

댓글 0 | 조회 1,483 | 2021.05.26
그 전에 소리치는 부모, 소리치는 자녀들이라는 칼럼을 썼었는데 그 당시에도 그런 상담케이스들이 많아서 관련된 글을 쓰게 되었는데 부모와 자녀들의 문제들은 결코 마… 더보기
Now

현재 분노 감정 조절-오감에 충실하자

댓글 0 | 조회 1,515 | 2017.10.26
이번 회에는 ‘화’나 ‘불안’등의 감정들에 대응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늘, 말씀드리지만, 감정을 잘 돌본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 더보기

자살문제, 이제는 함께 나서야 합니다

댓글 0 | 조회 1,518 | 2019.10.22
지난 10일 오클랜드대학교에서는 ‘한국인들을 위한 자살방지 도움자료’ 발표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정신건강분야에 종사하는 아시안들과 와이테마타보건위… 더보기

우리 함께 Covid19에 대처해요.

댓글 0 | 조회 1,525 | 2021.09.08
Covid19 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십니까. 저희가 도와드리겠습니다.아시안패밀리서비스아시안패밀리서비스는 도박의 피해를 입은 아시안을 위한 뉴질랜드 유일의 기관입니… 더보기

내가 못하는 건 상대방도 할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535 | 2021.02.24
어느 형태의 관계에서 던지 적용해야 하는 것이 평등하고 공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못하는 것이라도 상대방에게 기대를 건다 던지 요구를 하게 되고 그것을 해내… 더보기

정신 건강과 아시안 헬프라인

댓글 0 | 조회 1,541 | 2020.10.29
여러가지 정신 건강과 동양인들의 대응 방법들에 대한 조사는 뉴질랜드나 다른 해외 국가들에서 이민자들의 어려움들을 연구하고 이해하려는 차원에서 관련된 영역에서 일하… 더보기

바야흐로 유투브 (YouTube) 전성시대이다

댓글 0 | 조회 1,550 | 2019.08.27
이민생활을 하는 이곳 뉴질랜드에서의 사정은 다를 수 있겠지만, 한국에서는 젊은이들의 유투브 동영상 시청시간이 TV시청시간을 추월하기 시작했다고 한다.그리고, 최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