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권도 도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복권도 도박

0 개 1,912 이현숙

많은 분들이 복권을 사는 것이 자연스럽고 한국에서나 뉴질랜드에서나 복권은 텔레비젼에서 광고를 하고 슈퍼마켓과 같은 누구나 그리고 가족들과 함께 가는 장소들에서 판매하기 때문에 복권이 도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돈을 걸고 하는 모든 행위는 도박이기 때문에 그리고 복권은 적은 돈을 지불하여 큰 액수의 요행을 바라는 행위로써 도박인 것입니다.


7cad0e8ed3bacf4499bd28cf6855e969_1615248043_9345.png
 

특히 뉴질랜드에서는 복권은 가족 문화마냥 세대간 같이 즐기는 활동처럼 여겨지면서 할아버지와 아버지 그리고 자녀가 같이 복권을 사고 결과를 기다리고 이번 주는 얼마나 높은 액수가 나오는지 얘기하면서 화제로 삼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맥도날드 해피밀을 먹고 자란 자녀들이 맥도날드를 즐겨하는 가장이 되고 그 자녀들이 다시 해피밀을 즐겨하게 되는 것처럼 복권도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내 가정의 일주일 생필품비가 300불이라고 가정하면 일주일 두번의 30불의 로또비용은 그것의 10%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됩니다. 복권에 당첨되는 확률은 번개를 한 사람이 몇 번맞아야 하는 확률로 보는데 이는 지극히 희박한 기회인것이기 때문에 어쩌면 30불 50불을 땅에 버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복권 도박자들 중 수입에 비해 복권에 비용을 많이 들이는 경우는 경제적인 위기를 겪고 있을 때 흔히 발생하는 데 카지노 도박자들이 도박을 끊고 나서 경제적으로 회복을 한 후 어느 순간 다시 위기를 맞을 때 다시 도박장으로 그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가는 것처럼 복권도 마찬가지입니다.  


복권을 사는 도박자들이 겪는 스트레스나 우울감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얻은 삶의 어려움들을 해소하지 않을 때 육체적인 증상 즉 두통, 위통, 요통 혹은 공황발작등의 증상이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청하여서 그러한 심리적 증상들을 완화하면서 도박의 해로부터 스스로를 지켜갈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는 복권을 사시는 분들이면서 가정, 학교, 직장, 관계등 삶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문제들을 함께 고민하며 해결방법을 찾아보는 무료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개인상담, 부부 그리고 가족상담 모두 가능합니다.


0800 862 342 (2번 한국어) 혹은 ww.asianfamilyservices.nz 에서 연락주세요.


■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https://www.asianfamilyservices.nz/546204439750612.html  
(한국어 서비스) 혹은 asian.admin@asianfamilyservices.nz / 0800 862 342 “내선 2번을 누르세요”로 연락주세요

바야흐로 유투브 (YouTube) 전성시대이다

댓글 0 | 조회 1,555 | 2019.08.27
이민생활을 하는 이곳 뉴질랜드에서의 사정은 다를 수 있겠지만, 한국에서는 젊은이들의 유투브 동영상 시청시간이 TV시청시간을 추월하기 시작했다고 한다.그리고, 최근… 더보기

조장관의 딸, 나대표의 아들

댓글 0 | 조회 1,463 | 2019.09.24
한국 정치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분들도 현재 나라 전체를 발칵 뒤집어 놓은 논란의 중심에 선 이 두명의 젊은이들을 알고 계시리라 생각한다. 그들이 대학에 입학하기… 더보기

자살문제, 이제는 함께 나서야 합니다

댓글 0 | 조회 1,525 | 2019.10.22
지난 10일 오클랜드대학교에서는 ‘한국인들을 위한 자살방지 도움자료’ 발표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정신건강분야에 종사하는 아시안들과 와이테마타보건위… 더보기

싸가지없는 젊은이들 vs 경우없는 어른들

댓글 0 | 조회 2,101 | 2019.11.27
제목부터 속어를 사용해서 송구하다. 다소 자극적인 용어 선택이지만 세대간의 갈등을 부각하기 위해 이러한 제목을 붙인 것은 아님을 양해해 주시기를 바란다. 다만, … 더보기

2020년 행복을 위한 10가지 행동지침들

댓글 0 | 조회 1,789 | 2020.01.29
올해만큼 연말 연초를 심란하게 보냈던 적이 없는 것 같다. 호주의 재앙적 산불로 인한 인명과 동물의 피해. 뉴질랜드 화이트아일랜드 화산폭발로 인한 인명피해, 교착… 더보기

'Tall Poppy Syndrome’ 과 ‘튀지말고 중간만 가라’

댓글 0 | 조회 1,166 | 2020.02.26
2019년 올해의 뉴질랜드 체육인 (NZ sportsman of the year 2019)으로 선정된 종합격투기 (UFC) 미들급챔피언 이스라엘 아데산야 (Isr…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불안과 공포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댓글 0 | 조회 2,575 | 2020.03.24
코로나바이러스로 전 세계 인류가 죽음의 공포에 휩싸여 있다. 바이러스의 위험은 가상의 것이 아닌 엄연히 존재하는 실재의 위협이다.뉴스를 통해서 흰색 방호복을 입고… 더보기

공황장애

댓글 0 | 조회 2,062 | 2020.05.27
첫번 째 - 공황장애전쟁이나 국가 재난 수준의 엄청난 위력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뜻하지 않게 우리의 일상을 토네이도 수준으로 휩쓸면서 평상시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스… 더보기

우울감과 수면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962 | 2020.06.10
지난 칼럼에서는 공황장애에 대한 증상과 전문적인 상담이나 약물 복용 외에도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우울증이나 불면증에도 같은 방법들이 … 더보기

가정 폭력 시리즈 - 분노의 피해자 1

댓글 0 | 조회 1,394 | 2020.06.24
많은 분들이 뉴스를 보며 알 듯이 코로나와 Lock down전후 쌓여가는 스트레스와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한정 된 공간에서의 가족간의 긴밀한 접촉으로 인해 가정폭… 더보기

뉴질랜드 거주 동양인들의 66%가 도박자

댓글 0 | 조회 3,928 | 2020.07.15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는 보건 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NGO이며 중독과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양인들을 돕는 기관입니다. 이 번에 코로나 바이러스라… 더보기

가정 폭력 시리즈-피해자가 대처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1,466 | 2020.07.29
지난 번 칼럼에서는 피해자가 스스로가 피해자로 인지하는 것의 중요성과 가정 폭력발생시 대처할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 칼럼에서는 경찰에 당장 전화할 정도는 아… 더보기

투표와 이민자로써의 혜택

댓글 0 | 조회 1,806 | 2020.08.11
처음 뉴질랜드에 정착하고 나면 선거에도 관심을 가지고 살짝 긴장되는 마음으로 투표소로 향하기도 하지만 점점 시간이 흐르면서 나하고는 별개의 일처럼 느껴지면서 오랫… 더보기

다른 인종에 비해 9.5배 높은 동양인들의 문제 도박

댓글 0 | 조회 2,565 | 2020.08.25
도박의 해를 알리는 주간은 일년에 한번 전통적으로 9월 1일을 도박을 안하는 날로 지정하여서 이 날은 지역사회가 모여 도박의 해를 토의하고 방지하는 방법들을 알리… 더보기

분노의 대물림-가정 폭력의 가해자

댓글 0 | 조회 1,820 | 2020.09.09
2007년 Journal of Family Violence 에 ‘가정 폭력 범죄자의 특성 : 아동기 폭력 노출과의 연관성’이라는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새로운 가정 … 더보기

부정적인 감정을 생각으로 바꾼다?

댓글 0 | 조회 1,335 | 2020.09.23
우울감, 슬픔, 화, 실망감, 좌절감 등의 감정들이 나를 감싸면서 왜 나에게만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지 절망적일 때 나만 이렇게 힘든가 하고 주변을 둘러보면 그리고… 더보기

정신 건강과 아시안 헬프라인

댓글 0 | 조회 1,550 | 2020.10.29
여러가지 정신 건강과 동양인들의 대응 방법들에 대한 조사는 뉴질랜드나 다른 해외 국가들에서 이민자들의 어려움들을 연구하고 이해하려는 차원에서 관련된 영역에서 일하… 더보기

중독과 치료

댓글 0 | 조회 1,657 | 2020.11.11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등 4대 중독을 제외하고 스마트폰 중독, 쇼핑중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독과 게임 중독 등 시대와 생활환경이 변화하면서 중… 더보기

소리 지르는 부모, 소리 지르는 자녀

댓글 0 | 조회 2,470 | 2020.11.24
과거에도 짜증내고 소리지르는 자녀들이 있었겠고 요즘 중 2병이라는 말도 생길 정도로 사춘기 즈음에 겪는 자녀들의 행동이나 말들을 병으로 여기게 되었습니다.게다가 … 더보기

십대 청소년들의 깊은 슬픔 그리고 극단적 선택

댓글 0 | 조회 1,952 | 2020.12.08
죽음에 대해 말하지 않는 문화를 가진 나라들이 많은데 한국도 그 중 하나이고 그래서 인지 가족안에서도 건강하게 죽음에 대해 깊게 얘기를 나눈다거나 심지어 오랜 기… 더보기

자기 연민에 빠지는 부모

댓글 0 | 조회 2,706 | 2020.12.23
과거나 지금이나 부모노릇이 힘든 건 사실이고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의 양육을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누가 그 부모 노릇을 잘 했냐 그렇지 못했냐를 판단할 수 없는 … 더보기

2021년 새해 정신건강을 위한 한 걸음

댓글 0 | 조회 1,784 | 2021.02.09
새해를 맞이하면서 늘 그렇듯이 건강을 위한 식단과 운동을 준비하고 계획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다짐을 합니다. 이런 시기에 정신건강을 위한 나름대로의 기술을 가져보… 더보기

내가 못하는 건 상대방도 할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542 | 2021.02.24
어느 형태의 관계에서 던지 적용해야 하는 것이 평등하고 공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못하는 것이라도 상대방에게 기대를 건다 던지 요구를 하게 되고 그것을 해내… 더보기
Now

현재 복권도 도박

댓글 0 | 조회 1,913 | 2021.03.09
많은 분들이 복권을 사는 것이 자연스럽고 한국에서나 뉴질랜드에서나 복권은 텔레비젼에서 광고를 하고 슈퍼마켓과 같은 누구나 그리고 가족들과 함께 가는 장소들에서 판… 더보기

도박의 해가 어린 자녀에게 미친 평생의 영향

댓글 0 | 조회 1,781 | 2021.03.24
도박은 죽어야 끊을 수 있다고 했던 도박자의 말이 사실 지나친 말이 아니라는 것을 전 세계의 모든 도박자들 그리고 가까이는 뉴질랜드 스카이 시티 카지노 혹은 동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