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파구리와 피 맛의 추억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짜파구리와 피 맛의 추억

0 개 1,970 피터 황

e4231fe5426a08b0adfb754afb29704f_1579045685_1936.jpg
 

영화 ‘기생충’에 등장하는 짜파구리는 짜장라면 짜파게티와 국물라면 너구리가 합쳐진 결과물이다. 뭐니뭐니 해도 부잣집 사모님에게 어울리는 한우 채끝살을 소금, 후추, 마늘, 올리브오일에 간을 해서 마지막에 완성되어가는 면에 함께 볶다가 담아내는 것이 화룡점정이 되겠다. 더 가진 부자들이야 원한다면 라면에도 넣어 먹을 수 있지만 반지하에서 살아가는 가난한 이들에게 소고기를 먹는다는 것은 언감생심(焉敢生心), 꿈 같은 일이었을 것이다.  

 

급증하는 육류소비와 더불어 고기가 흔해진 요즘은 오히려 채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식물성고기를 넣은 음식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예전에는 콩으로 만들어서 말린 두부나 유부와 같은 식감을 내는 데 불과했다면 현재는 진짜 고기와 구분이 어려울 정도의 식감을 느낄 수 있다. 빨간 무라고 부르는 비트로 만든 핏빛 액체와 코코넛 오일로 고기의 육즙을 구현해 냄으로써 동물성 고기와 피 맛까지 같아졌다는 것이다. 숯불에 굽거나 만두로 만들면 정말 구별하기 힘들다. 

 

물론 육식동물이 초식동물을 잡아먹는 것처럼 인간이 고기를 먹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식물성 단백질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건강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좁은 축사에 가축을 가둬 놓고 키우다 도살하는 것이 비윤리적이라는 지적까지 겹쳐지면서 전통적인 육류 소비에 대한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2050년 세계 인구가 90억 명에 달하게 되면 육류수요가 지금보다 70% 이상 늘 것으로 전망되는 데 기존 축산업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인데다 환경 파괴도 심각한 수준이 될 것이 분명하다. 가축사육으로 만들어지는 온실가스는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이고 자동차, 배, 비행기 등 모든 우송수단의 배출량보다 많다. 이미 세계 경작지의 30%가 가축사료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와인도 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 친환경 농법으로 와인을 생산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2000여 곳의 와이너리가 넘고 점차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바이오다이내믹(Biodynamic), 오가닉(Organic), 내츄럴 와인(Natural Wine), 루뜨레조네(Lutte Raisonnee)등 풍력에너지와 태양열 에너지를 활용하고 천연비료를 사용해서 유기농법으로 생산된 포도만을 사용한다. 하지만 아직은 정의나 규제가 국가마다 다르고 통일되지 않아서 소비자의 이해가 부족한 상태다.  

 

개인의 입맛에 따라 천차만별이겠지만 친환경적인 와인이 과일 풍미가 더 또렷하고 떼루아의 특징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많다. 내츄럴 와인은 재배과정과 양조과정에서 화학성분이 최대한 배제되었기 때문에 순도가 높아 숙취가 훨씬 덜하다. 식물성 고기의 예처럼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 와인의 목적은 건강하고 환경 친화적인 와인을 만드는 데 있다. 하지만 유기농 과일이나 채소가 꼭 맛있지 않은 것처럼 아직까지 유기농 와인이 기존 와인만큼 맛있기는 쉽지 않다. 내츄럴 와인은 양조하는 방식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애초에 기존의 와인과 유사한 맛을 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내츄럴 와인의 경우 맛의 평가기준은 전혀 다르다. 

 

뉴질랜드는 40여년의 짧은 와인역사에도 세계 8번째로 큰 와인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지구 온난화로 포도재배의 환경이 악화되고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 화학비료와 첨가제를 남용하는 경우가 많은 데 반해서 뉴질랜드는 94%이상의 와이너리가 지속가능한 와인재배 시스템(Sustainable Winegrowing New Zealand)에 등록해서 친환경 농법으로 와인을 재배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영농법은 유기농법을 유지하면서도 최소한의 인위적인 첨가물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자연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면서 건강한 와인을 생산해내는 방법이다. 뉴질랜드 유기농와인생산자협회(OWNZ)는 올해 2020년까지 뉴질랜드 포도밭의 20%가량이 유기농이나 바이오다이내믹 농법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뉴질랜드에는 120여개의 유기농 포도원이 있으며 면적이 1500헥타르에 이르지만 아직도 전체 포도원의 4.5%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청정 이미지를 반영한 친환경와인을 만들기위한 노력은 연간 2억리터가 넘는 와인을 만들어내는 뉴질랜드 10대 와인생산지역에서 1995년부터 적용된 와인책임농법 프로그램을 통해서 진행중이며 세계최초의 100% 친환경 농법 와인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환경의 문제는 나만 잘살면 된다는 ME-CONOMY적인 사고방식으로는 해결될 수가 없다. 방치하면 함께 멸종에 이르는 길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함께 잘살아야 한다는 WE-CONOMY적인 삶의 자세가 필요하고 나만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공유해야만 한다는 사고방식의 전환과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온실가스를 절반 이상으로 줄이고 수천억 톤에 이르는 이산화탄소배출량을 줄이지 않는다면 우리세대 뿐만 아니라 우리자녀 세대들에게 멸종을 떠안기는 셈이다. 인위적으로 미생물을 파괴하고, 각종 화학물로 황폐해진 땅보다 자연의 순리에 따라 재배된 먹거리가 인간의 몸에 이로운 것은 당연한 이치가 아닌가. 100년을 써야할 우리 몸이라고 생각한다면 지금까지 살아온 방식을 바꿔야 한다. 먼저, 우주의 리듬에 귀를 기울이고 지구의 심장박동을 되살리는 것이 우선이다. 지금이 아니면 기회는 없다. 

 

맛과 향의 연금술, 발효의 비밀

댓글 0 | 조회 1,770 | 2019.12.10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볶거나 갈 때 그 향은 정말 강렬하다. 제과점에서 빵을 굽는 냄새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런 향은 막 만들었을 때만 유효하고 시간이 지나면 … 더보기

상식을 깨는 돌연변이

댓글 0 | 조회 1,782 | 2019.04.10
피노(Pinot)라는 말은 솔방울을 뜻하는 프랑스어이다. 그러니 프랑스 부르고뉴의 대표적인 레드 와인인 피노누아(Pinot Noir)는 검은 솔방울이라는 뜻이 되… 더보기

험한 세상에도 도인(道人)은 있다

댓글 0 | 조회 1,783 | 2012.01.18
일순간에 백만장자가 되고 유명인사가 되는 몇몇 사람들 때문인지는 모르지만, 어렵게 가는 길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점점 줄어들고 자신의 길을 묵묵히 지키는 사람들이 … 더보기

봄은 샤도네이처럼 담백하라

댓글 0 | 조회 1,787 | 2012.09.12
냉이는 아직 이른 봄이다. 하지만 서늘한 바람에도 검은 새 한쌍이 둥지를 틀고 새끼를 낳아 날아갔고 겨우내 움추리던 미나리와 쑥이 밤새 내린 봄비에 쑥쑥 자라고 … 더보기

부케(Bouquet), 당신의 코앞에 행복이 있다

댓글 0 | 조회 1,799 | 2012.05.08
집 한켠에 텃밭을 가꿔 유기농 채소를 길러먹는 도시 농부들이 많아지고 있다. 물론 농사가 직업이 아닌 사람들이다. 먹거리에 대한 불신과 건강식단을 위한 이유이기도… 더보기

음식은 이제 패션이다

댓글 0 | 조회 1,804 | 2020.02.11
솔직하게 말해서 예쁜 건 마다하기 힘들다. 몸과 정신이 함께 건강한 것이 삶의 지향점이 되면서 몸에 해롭지 않은 저염식과 채식주의, 오가닉 푸드는 기본이고 거기에… 더보기

막걸리 사발과 와인 잔에 담긴 비밀

댓글 0 | 조회 1,809 | 2012.07.11
세상만물엔 다 존재의 이유가 있다. 무심코 흐르는 냇물과 철썩거리는 파도가 만드는 거품도 그렇고 비를 만드는 구름과 바람이 빚어내는 일곱색 무지개도 그렇다. 우연… 더보기

우주의 리듬을 마신다, 유기농 와인

댓글 0 | 조회 1,820 | 2012.03.13
매미와 귀뚜라미가 언제 울어야 할지 헷갈려한다. 과일들이 미처 당도를 높이지 못한채 제철과일로 매장에 전시된다. 여름이 왔다간건지 우리 몸도 분간을 못하고 긴팔과… 더보기

바람이 빚은 소비뇽 블랑, 그 보라빛 향기

댓글 0 | 조회 1,823 | 2013.02.13
‘싱그러운 아침 햇살이 풀잎에 맺힌 이슬 비출 때면 부스스 잠 깨인 얼굴로 해맑은 그대모습 보았어요. 푸르른 날에는 더욱더 사랑하는 마음 알았지만 햇살에 눈부신 … 더보기

창업노트(Ⅰ)- 발 품이 금품이다

댓글 0 | 조회 1,828 | 2014.03.12
가을 같은 날씨에 늦장을 부리던 매미들이 짝을 찾아 목놓아 울어댄다. 한 여름의 힘차고 패기 있던 시절과는 달리 그 소리가 처량하고 처절하기까지 하다. 잘나간다고… 더보기

한여름 밤의 사랑고백, 로제(Rose)

댓글 0 | 조회 1,856 | 2013.03.12
감미로운 향기와 감성적인 자태를 지닌 장미의 종류가 이 세상에 25,000종이 넘는다고 한다. 같은 친척끼리만 묶어도 수백 개의 족보가 된다. 빨간 장미는 ‘욕망… 더보기

불경기 와인, 쉬라즈의 매운 유혹

댓글 0 | 조회 1,871 | 2012.04.11
차가워진 바람에 젖은 낙엽이 뒹구는 모습을 보고있자니 감정이 북받쳐 오른다. 다 집어던지고 달그락거리는 완행열차에 몸을 싣고 춘천으로 향한다. 기다려주는 이도 특… 더보기

거품(Bubbles)에 취하다

댓글 0 | 조회 1,904 | 2014.12.09
천정부지로 오르는 집값을 두고 거품일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거품 하면 왠지 부정적인 이미지가 떠오른다. 하지만 와인에서의 거품(Bubbles)은 기쁨을 함께… 더보기

말(馬)이야 막걸리야

댓글 0 | 조회 1,906 | 2020.08.11
구불구불한 골목의 끝에 다다라서야 간판도 없는 피맛골의 전봇대집에 다다를 수가 있었다. 자리에 앉으면 투박한 양푼에 담긴 막걸리와 이면수구이 한 접시가 자동으로 … 더보기

돈으로 고상함을 사지말라

댓글 0 | 조회 1,949 | 2012.01.31
‘비쌀수록 잘팔린다’는 귀족배짱마케팅이 시장에 적용된지는 오래다. 심지어 수십만원하는 네모난 수박이 없어서 못팔정도이고 천문학적 숫자의 금띠 두른 속옷코너를 싹쓸… 더보기

슬기로운 와인생활

댓글 0 | 조회 1,951 | 2020.06.10
슈퍼마켓 완전정복 (2)이태리 베네치아를 여행하다가 터미널에서 마셨던 에스프레소의 맛을 잊을 수가 없다. 버스기사가 장담하는 최고의 커피라는 말을 그땐 믿지 않았… 더보기

개천용(龍)들의 소울푸드, 라면의 정석

댓글 0 | 조회 1,953 | 2020.11.11
영화 ‘넘버 3’의 삼류킬러 송강호는 부하들에게 헝그리 정신을 강조하면서 홍수환이 챔피언이 되고 임춘애가 금메달을 딴 것이 라면을 먹고 운동한 덕분이라고 강조한다… 더보기
Now

현재 짜파구리와 피 맛의 추억

댓글 0 | 조회 1,971 | 2020.01.15
영화 ‘기생충’에 등장하는 짜파구리는 짜장라면 짜파게티와 국물라면 너구리가 합쳐진 결과물이다. 뭐니뭐니 해도 부잣집 사모님에게 어울리는 한우 채끝살을 소금, 후추… 더보기

광화문에서 나는 숲을 보았다

댓글 0 | 조회 1,975 | 2016.12.06
세상 모든 것이 모두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 아니겠냐고 들 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다. 굶을 때면 제일 무서운 것이 그 목구멍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먹을 수만… 더보기

심장(心臟)도 근육이다

댓글 0 | 조회 1,988 | 2014.06.11
문제는 두뇌(頭腦)가 아니고 심장이다. 심장은 온몸에 피를 돌게 하는 엔진이다. 인간의 몸이든 국가(國家)든 심장부가 있게 마련이다. 애당초 병약한 심장을 가지고… 더보기

악마의 유혹, 샴페인(Champagne)

댓글 0 | 조회 1,990 | 2012.06.12
거품이 나는 음료는 다양하다. 소풍날 싸가던 김밥에도 소화제를 대용해 사이다와 콜라가 함께 있었다. 수 많은 거품 방울들이 목을 간질거리며 트림을 만들어내고 식사… 더보기

쉐리(Sherry)와 포트(Porto)의 추억

댓글 0 | 조회 2,047 | 2012.05.22
가정의 달, 5월이 간다. 한 방송사의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가족’의 의미를 되새겼다. 경제위기로 붕괴되어 가는 가정, 그속에서 무한경쟁의 불안감으로 흔들리는 아… 더보기

빈티지(Vintage), 타이밍의 미학

댓글 0 | 조회 2,110 | 2015.02.11
8090년대 거대한 문화복고의 열풍이 한국을 휩쓸었다. 쇼 프로그램에서 시작된 옛 가수들의 콘서트가 불씨가 되어 영화, 음식까지 청년세대뿐 아니고 장년층까지 어려… 더보기

창업노트(Ⅱ) 베껴라 그리고 창조하라

댓글 0 | 조회 2,112 | 2014.11.11
창업을 한다고 누구나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아이템을 독특하게 포장해야만 한다. 그래서 벤치마킹의 일환으로 시장조사가 매우 중요… 더보기

속도중독, 느리게 살 수 있는 용기

댓글 0 | 조회 2,147 | 2016.09.15
우리를 둘러싼 세상은 너무 빨리 달리고 있다. 느리게 따라가다 보면 상위무리에서 뒤처진다는 강박관념이 모두를 괴롭힌다. 근면한 한국인의 ‘빨리빨리 정신’이 지금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