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유혹, 샴페인(Champagne)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악마의 유혹, 샴페인(Champagne)

0 개 1,990 피터 황

거품이 나는 음료는 다양하다. 소풍날 싸가던 김밥에도 소화제를 대용해 사이다와 콜라가 함께 있었다. 수 많은 거품 방울들이 목을 간질거리며 트림을 만들어내고 식사 후의 나른 한 기운을 깨우는 데도 차갑고 달콤한 거품 음료가 최고였다.
 
황금빛의 차가운 액체 한 가운데로 꼬리에 꼬리를 물며 솟아 오르는 작은 풍선들. 하지만 거품이 난다고 다 샴페인은 아니다. 샴페인은 프랑스 상-파뉴 지방의 영어식 발음이다. 생산된 지역의 이름이 와인의 이름이 되는 프랑스 와인의 특징으로 상-파뉴 지방에서 만들어진 기포성 와인이 샴페인인 셈이다. 그러므로 프랑스 상-파뉴에서 만들어진 와인이 아니면 샴페인이라고 부르면 안된다. 하지만 모든 기포성 와인을 샴페인이라 혼용해서 부르고 거품이 나는 음료라고 해서 스파클링 와인(Sparkling Wine) 또는 버블리(Bubbly)라고도 불린다. 
 
상-파뉴는 프랑스의 와인 생산 지방 중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해 있다. 쌀쌀한 기후와 백악질의 토양이 독특한 산미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추워서 신맛이 너무 강하고 도수가 낮은 별볼일 없는 와인을 만드는 고장이었다. 현재는 한병 한병 따로 발효시키는 발전된 샴페인방식(Methode Champenoise)으로 만들어지지만 당시에는 당분이나 알코올 측정 방법이 발달되지 않아서 발효가 끝나기 전에 병에 넣는 실수가 흔했는데 따뜻한 봄이 되면서 병 속에 탄산가스가 가득차면서 집집마다 펑펑펑 소리를 내고 병이 깨지거나 마개가 터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것을 본 17세기말 이 지방의 오빌레이(Hautvillers) 사원의 수도사 동 페르뇽(Dom Perignon)에 의해 오늘날의 샴페인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결국 샴페인은 잘못 만들어져 저주받은 악마의 술로 불리며 버려진 와인에서 탄생했지만 그 이유로 승자를 축하하는 자리에 서게 되었다. 
 
샴페인은 세가지의 포도로 만드는데 적포도인 피노느아(Pinot Noir), 피노뫼니에르(Pinot Meunier) 그리고 청포도인 샤르도네(Chardonnay)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세가지 포도로 블렌딩 하지만 예외적으로 적포도 한가지로만 만든 샴페인은 블랑 드 느와(Blanc de Noirs)라고 하고 청포도인 샤르도네만으로 만든 샴페인은 블랑 드 블랑(Blanc de Blancs)이라고 표기한다. 
 
샴페인의 맛은 신맛과 단맛이 어우러져 나야하고 거품의 크기가 작고 끊임없이 솟아 올라오는 것이 좋은 품질이며 가장 드라이한 것이 브뤼(Brut)라고 적혀있다. 가볍고 달콤한 맛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지만 최고급 샴페인들은 모두 브뤼(Brut)에 속한다. 또한 첫번째 짜서 얻어진 포도즙만으로 만들었다는 의미의 뀌베(Cuvee)가 고급 와인의 의미이기도 하다. 
 
가볍고 톡 쏘는 맛 때문일까 샴페인이 여성적인 와인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무튼 기포가 빨리 날아가 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된 튜립이나 플루트(Flute)라고 불리는 날씬하고 목이 긴 샴페인 잔과 알코올 도수 또한 12도 이하로 낮기 때문에 여성들이 선호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그래서였는지는 모르지만 마릴린 몬로가 샴페인 350병을 부어 넣은 욕조에서 목욕을 했다고 전해진다. 
 
마개가 빠질 때 나는 펑하는 소리로 인해 축제와 파티의 술로 쓰이는 샴페인은 재잘재잘 쏟아지는 웃음처럼 수많은 거품으로 경쾌하고 기쁨과 즐거운 분위기에 어울리는 사랑과 화합의 술이다. 또한 불행을 치료하는 신비의 영약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실패 속에서 탄생해서 승리의 자리에 등장하게 되면서 와인의 귀족으로 불리게 되었다. 
 
수십년의 오랜 숙성 과정을 거친 레드와인은 그 빛깔이 점점 더 부드럽고 옅어진다. 창간 20주년을 맞이하며 건장한 청년이 된 코리아포스트의 더욱 성숙되고 성장된 모습을 위해 축하의 건배를 제안한다. 쉬지 않고 자신의 몸을 휘져으며 밀고 올라오는 샴페인의 기운찬 기포만큼이나 싱그럽고 기분좋은 에너지를 선사하는 교민지로 자리하기를 기대한다. 오랜세월을 지나고 되돌아보면 결국 성공은 수많은 실패를 먹고 자란다.        
 

맛과 향의 연금술, 발효의 비밀

댓글 0 | 조회 1,770 | 2019.12.10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볶거나 갈 때 그 향은 정말 강렬하다. 제과점에서 빵을 굽는 냄새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런 향은 막 만들었을 때만 유효하고 시간이 지나면 … 더보기

험한 세상에도 도인(道人)은 있다

댓글 0 | 조회 1,783 | 2012.01.18
일순간에 백만장자가 되고 유명인사가 되는 몇몇 사람들 때문인지는 모르지만, 어렵게 가는 길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점점 줄어들고 자신의 길을 묵묵히 지키는 사람들이 … 더보기

상식을 깨는 돌연변이

댓글 0 | 조회 1,783 | 2019.04.10
피노(Pinot)라는 말은 솔방울을 뜻하는 프랑스어이다. 그러니 프랑스 부르고뉴의 대표적인 레드 와인인 피노누아(Pinot Noir)는 검은 솔방울이라는 뜻이 되… 더보기

봄은 샤도네이처럼 담백하라

댓글 0 | 조회 1,787 | 2012.09.12
냉이는 아직 이른 봄이다. 하지만 서늘한 바람에도 검은 새 한쌍이 둥지를 틀고 새끼를 낳아 날아갔고 겨우내 움추리던 미나리와 쑥이 밤새 내린 봄비에 쑥쑥 자라고 … 더보기

부케(Bouquet), 당신의 코앞에 행복이 있다

댓글 0 | 조회 1,799 | 2012.05.08
집 한켠에 텃밭을 가꿔 유기농 채소를 길러먹는 도시 농부들이 많아지고 있다. 물론 농사가 직업이 아닌 사람들이다. 먹거리에 대한 불신과 건강식단을 위한 이유이기도… 더보기

음식은 이제 패션이다

댓글 0 | 조회 1,804 | 2020.02.11
솔직하게 말해서 예쁜 건 마다하기 힘들다. 몸과 정신이 함께 건강한 것이 삶의 지향점이 되면서 몸에 해롭지 않은 저염식과 채식주의, 오가닉 푸드는 기본이고 거기에… 더보기

막걸리 사발과 와인 잔에 담긴 비밀

댓글 0 | 조회 1,809 | 2012.07.11
세상만물엔 다 존재의 이유가 있다. 무심코 흐르는 냇물과 철썩거리는 파도가 만드는 거품도 그렇고 비를 만드는 구름과 바람이 빚어내는 일곱색 무지개도 그렇다. 우연… 더보기

우주의 리듬을 마신다, 유기농 와인

댓글 0 | 조회 1,821 | 2012.03.13
매미와 귀뚜라미가 언제 울어야 할지 헷갈려한다. 과일들이 미처 당도를 높이지 못한채 제철과일로 매장에 전시된다. 여름이 왔다간건지 우리 몸도 분간을 못하고 긴팔과… 더보기

바람이 빚은 소비뇽 블랑, 그 보라빛 향기

댓글 0 | 조회 1,823 | 2013.02.13
‘싱그러운 아침 햇살이 풀잎에 맺힌 이슬 비출 때면 부스스 잠 깨인 얼굴로 해맑은 그대모습 보았어요. 푸르른 날에는 더욱더 사랑하는 마음 알았지만 햇살에 눈부신 … 더보기

창업노트(Ⅰ)- 발 품이 금품이다

댓글 0 | 조회 1,828 | 2014.03.12
가을 같은 날씨에 늦장을 부리던 매미들이 짝을 찾아 목놓아 울어댄다. 한 여름의 힘차고 패기 있던 시절과는 달리 그 소리가 처량하고 처절하기까지 하다. 잘나간다고… 더보기

한여름 밤의 사랑고백, 로제(Rose)

댓글 0 | 조회 1,856 | 2013.03.12
감미로운 향기와 감성적인 자태를 지닌 장미의 종류가 이 세상에 25,000종이 넘는다고 한다. 같은 친척끼리만 묶어도 수백 개의 족보가 된다. 빨간 장미는 ‘욕망… 더보기

불경기 와인, 쉬라즈의 매운 유혹

댓글 0 | 조회 1,871 | 2012.04.11
차가워진 바람에 젖은 낙엽이 뒹구는 모습을 보고있자니 감정이 북받쳐 오른다. 다 집어던지고 달그락거리는 완행열차에 몸을 싣고 춘천으로 향한다. 기다려주는 이도 특… 더보기

거품(Bubbles)에 취하다

댓글 0 | 조회 1,904 | 2014.12.09
천정부지로 오르는 집값을 두고 거품일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거품 하면 왠지 부정적인 이미지가 떠오른다. 하지만 와인에서의 거품(Bubbles)은 기쁨을 함께… 더보기

말(馬)이야 막걸리야

댓글 0 | 조회 1,906 | 2020.08.11
구불구불한 골목의 끝에 다다라서야 간판도 없는 피맛골의 전봇대집에 다다를 수가 있었다. 자리에 앉으면 투박한 양푼에 담긴 막걸리와 이면수구이 한 접시가 자동으로 … 더보기

돈으로 고상함을 사지말라

댓글 0 | 조회 1,949 | 2012.01.31
‘비쌀수록 잘팔린다’는 귀족배짱마케팅이 시장에 적용된지는 오래다. 심지어 수십만원하는 네모난 수박이 없어서 못팔정도이고 천문학적 숫자의 금띠 두른 속옷코너를 싹쓸… 더보기

슬기로운 와인생활

댓글 0 | 조회 1,952 | 2020.06.10
슈퍼마켓 완전정복 (2)이태리 베네치아를 여행하다가 터미널에서 마셨던 에스프레소의 맛을 잊을 수가 없다. 버스기사가 장담하는 최고의 커피라는 말을 그땐 믿지 않았… 더보기

개천용(龍)들의 소울푸드, 라면의 정석

댓글 0 | 조회 1,953 | 2020.11.11
영화 ‘넘버 3’의 삼류킬러 송강호는 부하들에게 헝그리 정신을 강조하면서 홍수환이 챔피언이 되고 임춘애가 금메달을 딴 것이 라면을 먹고 운동한 덕분이라고 강조한다… 더보기

짜파구리와 피 맛의 추억

댓글 0 | 조회 1,971 | 2020.01.15
영화 ‘기생충’에 등장하는 짜파구리는 짜장라면 짜파게티와 국물라면 너구리가 합쳐진 결과물이다. 뭐니뭐니 해도 부잣집 사모님에게 어울리는 한우 채끝살을 소금, 후추… 더보기

광화문에서 나는 숲을 보았다

댓글 0 | 조회 1,975 | 2016.12.06
세상 모든 것이 모두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 아니겠냐고 들 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다. 굶을 때면 제일 무서운 것이 그 목구멍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먹을 수만… 더보기

심장(心臟)도 근육이다

댓글 0 | 조회 1,988 | 2014.06.11
문제는 두뇌(頭腦)가 아니고 심장이다. 심장은 온몸에 피를 돌게 하는 엔진이다. 인간의 몸이든 국가(國家)든 심장부가 있게 마련이다. 애당초 병약한 심장을 가지고… 더보기
Now

현재 악마의 유혹, 샴페인(Champagne)

댓글 0 | 조회 1,991 | 2012.06.12
거품이 나는 음료는 다양하다. 소풍날 싸가던 김밥에도 소화제를 대용해 사이다와 콜라가 함께 있었다. 수 많은 거품 방울들이 목을 간질거리며 트림을 만들어내고 식사… 더보기

쉐리(Sherry)와 포트(Porto)의 추억

댓글 0 | 조회 2,047 | 2012.05.22
가정의 달, 5월이 간다. 한 방송사의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가족’의 의미를 되새겼다. 경제위기로 붕괴되어 가는 가정, 그속에서 무한경쟁의 불안감으로 흔들리는 아… 더보기

빈티지(Vintage), 타이밍의 미학

댓글 0 | 조회 2,110 | 2015.02.11
8090년대 거대한 문화복고의 열풍이 한국을 휩쓸었다. 쇼 프로그램에서 시작된 옛 가수들의 콘서트가 불씨가 되어 영화, 음식까지 청년세대뿐 아니고 장년층까지 어려… 더보기

창업노트(Ⅱ) 베껴라 그리고 창조하라

댓글 0 | 조회 2,112 | 2014.11.11
창업을 한다고 누구나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아이템을 독특하게 포장해야만 한다. 그래서 벤치마킹의 일환으로 시장조사가 매우 중요… 더보기

속도중독, 느리게 살 수 있는 용기

댓글 0 | 조회 2,147 | 2016.09.15
우리를 둘러싼 세상은 너무 빨리 달리고 있다. 느리게 따라가다 보면 상위무리에서 뒤처진다는 강박관념이 모두를 괴롭힌다. 근면한 한국인의 ‘빨리빨리 정신’이 지금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