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리듬을 마신다, 유기농 와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우주의 리듬을 마신다, 유기농 와인

0 개 1,820 피터 황


매미와 귀뚜라미가 언제 울어야 할지 헷갈려한다. 과일들이 미처 당도를 높이지 못한채 제철과일로 매장에 전시된다. 여름이 왔다간건지 우리 몸도 분간을 못하고 긴팔과 짧은 팔을 넣었다 뺏다한다. 더구나 날씨와 기온이 하루 24시간동안 변화무쌍하게 사계절의 특징을 보여준다. 지구는 갱년기 증상으로 신체의 리듬이 변하고 몸살을 앓고 있다. 자연을 품지않고 개발의 욕망을 불태우는 인간들에게 수많은 징후들을 통해 경고를 해왔지만 우리는 애써 외면해 왔다. 하지만 이젠 그 한계에 달해간다.

지구온난화로 포도재배의 환경이 악화되고 화학비료와 첨가제를 남용해서 와인 또한 위기에 처해있는 것이 사실이다. 세계적으로 와인 수요가 급증하면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와이너리마다 무분별하게 화학비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오염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는 곳도 있다. 이렇게 늘어나는 수요를 맞추려는 와이너리의 시도와 화학비료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로비 등이 얽히면서 그 피해는 소비자들에게 고스란히 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포도껍질에는 당을 발효시켜 알코올로 만드는 자연산 효모가 존재한다. 그래서 포도를 파쇄하면 자연적으로 알코올 발효가 일어난다. 공장에서 대량생산을 할 때는 포도주의 종류에 따라 야생효모에서 순계분리한 계통 중 우수한 것을 인공배양한 건조효모를 사용한다. 그러나 알코올 발효를 일으키는 야생효모외에 초산균 등이 작용을 하면 초산이 생겨 술 맛을 버리게 되므로 아황산가스를 첨가하여 야생균류를 살균한다. 일반적인 와인이 그렇다. 와인을 먹고 머리가 아픈경우, 그 원인이 아황산염인 경우가 많고 그래서 디캔터에 레드와인을 따라 두었다가 마시는 디캔팅이 필요하기도 하다.

유기농와인(Organic Wine)이란 철저한 유기농법에 의해 만들어진 와인을 뜻한다. 유기농법이란 화학비료, 농약,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는 재배법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2000여곳에 이른다. 유럽에서는 유기농와인에 아황산염의 첨가를 허용하지만 미국에서는 안된다.

‘자연공화국’이라는 이름표답게 뉴질랜드와인업계 또한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친환경적인 재생에너지의 생산과 지속적인 사용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고 있다. 뉴질랜드 유기농와인생산자협회(OWNZ)는 오는 2020년까지 뉴질랜드 포도밭의 20% 가량이 유기농이나 바이오다이나믹 농법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뉴질랜드에는 120여개의 유기농포도원이 있으며 면적이 1500헥타르에 이르지만 아직도 전체포도원의 4.5%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청정이미지를 반영한 친환경와인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연간 2억리터가 넘는 와인을 만들어내는 뉴질랜드 10대 와인지역에서 1995년 적용된 와인책임농법 프로그램을 통해서 진행중이며 세계최초의 100% 친환경농법을 목표로 2012년 빈티지와인에서 그 성과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 다이나믹 농법이란 농장자체를 하나의 살아있는 시스템으로 간주하며 농작물재배에 있어서 달과 우주의 리듬에 따른다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에는 농사를 짓는데 음력에 기초한 24절후가 이용되었던 것과 같은 이치다. 이 농법은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인 세균을 없애는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환경체질을 개선하는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규정된 퇴비와 비료를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것은 흙을 단순히 재배지로 보지 않고 토양, 식물, 동물 그들이 사는 지구, 나아가서는 우주를 살아있는 다이나믹한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상호간의 관계를 매우 중시한다는 의미다.

와인의 여러성분이 인간에게 이롭다는 것은 와인이 자연의 힘에 의해 길러졌기 때문이다. 인위적으로 미생물을 파괴하고, 각종 화학물로 황폐해진 땅에서 생산한 와인보다 자연의 순리에 따라 재배된 포도의 맛이 더 나은 것은 당연한 이치가 아닌가. 몸에 좋고 맛도 좋은 와인을 즐기고 싶다면 먼저, 우주의 리듬에 귀를 기울이고 지구의 심장박동을 되살리는 것이 우선이다.

맛과 향의 연금술, 발효의 비밀

댓글 0 | 조회 1,770 | 2019.12.10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볶거나 갈 때 그 향은 정말 강렬하다. 제과점에서 빵을 굽는 냄새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런 향은 막 만들었을 때만 유효하고 시간이 지나면 … 더보기

상식을 깨는 돌연변이

댓글 0 | 조회 1,782 | 2019.04.10
피노(Pinot)라는 말은 솔방울을 뜻하는 프랑스어이다. 그러니 프랑스 부르고뉴의 대표적인 레드 와인인 피노누아(Pinot Noir)는 검은 솔방울이라는 뜻이 되… 더보기

험한 세상에도 도인(道人)은 있다

댓글 0 | 조회 1,783 | 2012.01.18
일순간에 백만장자가 되고 유명인사가 되는 몇몇 사람들 때문인지는 모르지만, 어렵게 가는 길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점점 줄어들고 자신의 길을 묵묵히 지키는 사람들이 … 더보기

봄은 샤도네이처럼 담백하라

댓글 0 | 조회 1,787 | 2012.09.12
냉이는 아직 이른 봄이다. 하지만 서늘한 바람에도 검은 새 한쌍이 둥지를 틀고 새끼를 낳아 날아갔고 겨우내 움추리던 미나리와 쑥이 밤새 내린 봄비에 쑥쑥 자라고 … 더보기

부케(Bouquet), 당신의 코앞에 행복이 있다

댓글 0 | 조회 1,799 | 2012.05.08
집 한켠에 텃밭을 가꿔 유기농 채소를 길러먹는 도시 농부들이 많아지고 있다. 물론 농사가 직업이 아닌 사람들이다. 먹거리에 대한 불신과 건강식단을 위한 이유이기도… 더보기

음식은 이제 패션이다

댓글 0 | 조회 1,804 | 2020.02.11
솔직하게 말해서 예쁜 건 마다하기 힘들다. 몸과 정신이 함께 건강한 것이 삶의 지향점이 되면서 몸에 해롭지 않은 저염식과 채식주의, 오가닉 푸드는 기본이고 거기에… 더보기

막걸리 사발과 와인 잔에 담긴 비밀

댓글 0 | 조회 1,809 | 2012.07.11
세상만물엔 다 존재의 이유가 있다. 무심코 흐르는 냇물과 철썩거리는 파도가 만드는 거품도 그렇고 비를 만드는 구름과 바람이 빚어내는 일곱색 무지개도 그렇다. 우연… 더보기
Now

현재 우주의 리듬을 마신다, 유기농 와인

댓글 0 | 조회 1,821 | 2012.03.13
매미와 귀뚜라미가 언제 울어야 할지 헷갈려한다. 과일들이 미처 당도를 높이지 못한채 제철과일로 매장에 전시된다. 여름이 왔다간건지 우리 몸도 분간을 못하고 긴팔과… 더보기

바람이 빚은 소비뇽 블랑, 그 보라빛 향기

댓글 0 | 조회 1,823 | 2013.02.13
‘싱그러운 아침 햇살이 풀잎에 맺힌 이슬 비출 때면 부스스 잠 깨인 얼굴로 해맑은 그대모습 보았어요. 푸르른 날에는 더욱더 사랑하는 마음 알았지만 햇살에 눈부신 … 더보기

창업노트(Ⅰ)- 발 품이 금품이다

댓글 0 | 조회 1,828 | 2014.03.12
가을 같은 날씨에 늦장을 부리던 매미들이 짝을 찾아 목놓아 울어댄다. 한 여름의 힘차고 패기 있던 시절과는 달리 그 소리가 처량하고 처절하기까지 하다. 잘나간다고… 더보기

한여름 밤의 사랑고백, 로제(Rose)

댓글 0 | 조회 1,856 | 2013.03.12
감미로운 향기와 감성적인 자태를 지닌 장미의 종류가 이 세상에 25,000종이 넘는다고 한다. 같은 친척끼리만 묶어도 수백 개의 족보가 된다. 빨간 장미는 ‘욕망… 더보기

불경기 와인, 쉬라즈의 매운 유혹

댓글 0 | 조회 1,871 | 2012.04.11
차가워진 바람에 젖은 낙엽이 뒹구는 모습을 보고있자니 감정이 북받쳐 오른다. 다 집어던지고 달그락거리는 완행열차에 몸을 싣고 춘천으로 향한다. 기다려주는 이도 특… 더보기

거품(Bubbles)에 취하다

댓글 0 | 조회 1,904 | 2014.12.09
천정부지로 오르는 집값을 두고 거품일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거품 하면 왠지 부정적인 이미지가 떠오른다. 하지만 와인에서의 거품(Bubbles)은 기쁨을 함께… 더보기

말(馬)이야 막걸리야

댓글 0 | 조회 1,906 | 2020.08.11
구불구불한 골목의 끝에 다다라서야 간판도 없는 피맛골의 전봇대집에 다다를 수가 있었다. 자리에 앉으면 투박한 양푼에 담긴 막걸리와 이면수구이 한 접시가 자동으로 … 더보기

돈으로 고상함을 사지말라

댓글 0 | 조회 1,949 | 2012.01.31
‘비쌀수록 잘팔린다’는 귀족배짱마케팅이 시장에 적용된지는 오래다. 심지어 수십만원하는 네모난 수박이 없어서 못팔정도이고 천문학적 숫자의 금띠 두른 속옷코너를 싹쓸… 더보기

슬기로운 와인생활

댓글 0 | 조회 1,951 | 2020.06.10
슈퍼마켓 완전정복 (2)이태리 베네치아를 여행하다가 터미널에서 마셨던 에스프레소의 맛을 잊을 수가 없다. 버스기사가 장담하는 최고의 커피라는 말을 그땐 믿지 않았… 더보기

개천용(龍)들의 소울푸드, 라면의 정석

댓글 0 | 조회 1,953 | 2020.11.11
영화 ‘넘버 3’의 삼류킬러 송강호는 부하들에게 헝그리 정신을 강조하면서 홍수환이 챔피언이 되고 임춘애가 금메달을 딴 것이 라면을 먹고 운동한 덕분이라고 강조한다… 더보기

짜파구리와 피 맛의 추억

댓글 0 | 조회 1,971 | 2020.01.15
영화 ‘기생충’에 등장하는 짜파구리는 짜장라면 짜파게티와 국물라면 너구리가 합쳐진 결과물이다. 뭐니뭐니 해도 부잣집 사모님에게 어울리는 한우 채끝살을 소금, 후추… 더보기

광화문에서 나는 숲을 보았다

댓글 0 | 조회 1,975 | 2016.12.06
세상 모든 것이 모두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이 아니겠냐고 들 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다. 굶을 때면 제일 무서운 것이 그 목구멍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먹을 수만… 더보기

심장(心臟)도 근육이다

댓글 0 | 조회 1,988 | 2014.06.11
문제는 두뇌(頭腦)가 아니고 심장이다. 심장은 온몸에 피를 돌게 하는 엔진이다. 인간의 몸이든 국가(國家)든 심장부가 있게 마련이다. 애당초 병약한 심장을 가지고… 더보기

악마의 유혹, 샴페인(Champagne)

댓글 0 | 조회 1,990 | 2012.06.12
거품이 나는 음료는 다양하다. 소풍날 싸가던 김밥에도 소화제를 대용해 사이다와 콜라가 함께 있었다. 수 많은 거품 방울들이 목을 간질거리며 트림을 만들어내고 식사… 더보기

쉐리(Sherry)와 포트(Porto)의 추억

댓글 0 | 조회 2,047 | 2012.05.22
가정의 달, 5월이 간다. 한 방송사의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가족’의 의미를 되새겼다. 경제위기로 붕괴되어 가는 가정, 그속에서 무한경쟁의 불안감으로 흔들리는 아… 더보기

빈티지(Vintage), 타이밍의 미학

댓글 0 | 조회 2,110 | 2015.02.11
8090년대 거대한 문화복고의 열풍이 한국을 휩쓸었다. 쇼 프로그램에서 시작된 옛 가수들의 콘서트가 불씨가 되어 영화, 음식까지 청년세대뿐 아니고 장년층까지 어려… 더보기

창업노트(Ⅱ) 베껴라 그리고 창조하라

댓글 0 | 조회 2,112 | 2014.11.11
창업을 한다고 누구나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아이템을 독특하게 포장해야만 한다. 그래서 벤치마킹의 일환으로 시장조사가 매우 중요… 더보기

테루아, 다르다는 것의 가치

댓글 0 | 조회 2,147 | 2012.02.29
빨간라면국물의 통념을 깨고 성공을 거둔 이경규의 꼬꼬면을 두고 사람들이 이유를 주목하고 있다. “늘 배고프고, 늘 어리석어라(Stay Hungry. Stay F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