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마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착한 마음

0 개 955 수선재

‘법 없어도 산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죄 짓는 사람을 도저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것도 너무 편협한 겁니다. 이쪽 저쪽을 다 보면서 ‘아, 저래서 살인을 했구나. 저래서 야반도주를 했구나’ 이해할 수 있어야 됩니다. 그런 면들을 인간이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어야 됩니다.
Some people say, “I live without any laws. I am righteous,” But these types absolutely can’t understand why others commit faults. This is too biased also. After looking in this direction and in that direction you’ll see, “Oh, so that’s why he committed suicide. Ah, that’s why she ran away.” Because we all carry these aspects, we must understand them.


착하게만 살아온 분들은 자기 기준에서 벗어난 것을 보면 도저히 이해를 못하고 상처를 입습니다. 어떤 사람하고 잘 지내다가도 어떤 한 가지가 마음에 안 들면 등을 돌리고 상대 못하겠다고 그럽니다.
If those who live life only kindly try to break out of their standard of view, for the life of them, they can’t understand others and get hurt emotionally. Even if they’re friendly with someone, if there’s but one thing they dislike, they’ll turn away and refuse to meet that person.


흔히 죄 안 짓고 법에 저촉되지 않게 사는 것을 착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착하다는 것은 어떤 상황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They think “living kindly” means merely not committing any faults. This is not necessarily so. Kindness means understanding a situation and accepting it.


‘착함’의 기준을 ‘무심’이라고 하면 적절할 것 같습니다. 악한 사람도 끌어안을 수 있고 다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즉 착하다는 것은 마음이 열렸다는 것의 또 다른 표현으로서, 걸림이 없이 받아들이는 마음을 말합니다.
It’s seems appropriate to say that the standard by which to judge ‘kindness’ is mushim, or No Mind. Mushim means to understand everyone and to help pull along even bad people. That is, kindness is another expression for having an open mind, and means being able to accept everything without mental agony.


뭐든지 일단 마음속에 담아두는 사람이 있습니다. 액면 그대로 듣지를 않고 ‘두고 보자’하고 뭔가 벼르는 것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그런 못된 면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것이 없는 것이 착한 사람들입니다.
There are those people who store things inside their heart, no matter what is said. They don’t listen to things at face value and secretly say, “I’ll get you later,” and contemplate some kind of future action. Everyone has this kind of aspect. Being without this is a ‘kind’ person.


전에 어던 여학생이 여기 왔었는데 어릴 때부터 오빠가 자기를 때렸답니다. 그런데 그냥 맞았답니다. 때리니까 도망을 가기도 하고 왜 때리느냐고는 하지만 그냥 맞아주는 겁니다. 왜냐하면 맞는 순간에 이미 상대방이 자기를 때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을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The other day a female student came by and said her father used to hit her when she was young. However, she just let it happen. Suffering, she could have run away or yelled “Why are you hitting me?” but she just let it happen. She could already understand that it was a situation where there was no way but to be hit.


그런 마음이 착한 것입니다. 맞는 사람은 본능적으로 이유를 압니다. 뻔히 알면서 오히려 더 대항하는 것은 착하지 않은 것입니다.
This mind is one of kindness. She instinctively knows the reason why he hits her. Clearly understanding but antagonizing him is not one of kindness.


‘마음을 연다’는 것은 그런 것입니다. 상대방이 어떤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해도 설사 자신을 해치는 일일지라도 그 순간에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이’착한 마음’이고, 열린 마음입니다.
This is what we call ‘opening your mind.’ Understanding someone at that moment, no matter what they say or what they do, even if they try to injure you, is a ‘kind mind’ or the state of an open mind.


그렇게 받아들여 버릇하면 오해를 하지 않아서 마음에 접어두는 면이 없습니다.
그러면 상대방도 곧 후회하고 사과합니다. 그렇지 않고 대립하면 싸움이 오래 갑니다.
If you make the habit of accepting in this way, you won’t make misunderstandings and won’t find yourself with any conflicts weighting on your mind. Then the other person too will regret and apologize. Without this mind, your quarrels will last a long time.

 

풍경보듯이 - Like Watching Scenery

댓글 0 | 조회 1,044 | 2012.08.15
어떤 일이나 사물을 볼 때는 풍경을 보듯이 보십시오.그냥 지나치면서 ‘좋구나, 아름답구나’아니면 ‘더럽구나’ 그렇게 하… 더보기

감정이입 하지마라 - Don’t Bring In Your Emotions

댓글 0 | 조회 1,236 | 2012.08.29
항상 일은 하시되 감정을 이입하지 마십시오.일할때 지치는 건 감정 때문이지 일 자체 때문은 아닙니다.일은 그냥 머리쓰면서 하면 되는데거기에 감정을 계속 이입하면서… 더보기

나 사랑해? - Do You Love Me?

댓글 0 | 조회 1,050 | 2012.09.12
왜 자꾸 감정이 이입되느냐?이유는 단 한가지. ‘나를 알아달라’는 겁니다. 나를 알아 달라는 얘기를 하고 싶은데 상대방이 안 알아줍니다.그래… 더보기

몸은 자동차, 마음은 짐

댓글 0 | 조회 1,167 | 2012.09.26
우리 몸을 자동차에 비유해 보시고 마음은 짐이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태어날 때 어떤 이유에 의해 내가 티코같은 자동차를 부여 받았을 수도 있고 벤츠 같은 차를 부… 더보기

콧노래 부르면서

댓글 0 | 조회 1,127 | 2012.10.09
먹고 살기 위해 하는 일의 비중은 아무리 많아도 20-30%를 넘으면 안됩니다. 시간이 아니라 마음의 비중을 말씀드리는 겁니다. No matter how much… 더보기

너무 바쁜 사람들

댓글 0 | 조회 1,011 | 2012.10.24
지나치게 바쁜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곰곰이 생각해봐서 자신이 필요 이상 일에 에너지를 쓰는 건 아닌지 생각을 해 봐야 됩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그렇… 더보기

무엇을 위하여 자신을 바치나

댓글 0 | 조회 1,043 | 2012.11.14
제가 전에 알던 분 중에 대기업의 이사를 하는 분이 계셨습니다. 회장에게 상당히 신임을 얻어서 경리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새로 부임해 온 사장과 뜻이 안 맞아서 … 더보기

일단 보류하기 - Put It Aside

댓글 0 | 조회 896 | 2012.11.28
어떤 사안이 자신에게 다가오면 거기에 맞서서 해결을 하거나, 보류하거나, 아니면 아예 포기하여 잊어 버리거나 그 세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When a situat… 더보기

세상에 바라는 바 없으니

댓글 0 | 조회 963 | 2012.12.12
갈등의 요인은 문제가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는 데 있습니다. 내가 강하게 서있으면 주변의 모든 것들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그렇지 않으면 산들바람… 더보기

마음이 열리면

댓글 0 | 조회 870 | 2012.12.24
마음이 열린다는 건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입니다. 우주의 입장이 되어 걸림이 없이 다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생각이 없어서가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기… 더보기

다른 세계가 있다.

댓글 0 | 조회 990 | 2013.01.16
마음을 어떻게 여는가? 생활 속에서 실천 가능한 방법을 말씀 드립니다. How can we open our mind? I’ll tell you a me… 더보기

우주의 심정

댓글 0 | 조회 1,066 | 2013.01.29
거기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궁극적으로 가고자 하는 상태는 타인의 입장, 내 입장 이렇게 상반된 입장이 아니라 하늘에서 바라보는 입장입니다. 우주의 심정이 되면 &… 더보기

현재 착한 마음

댓글 0 | 조회 956 | 2013.02.13
‘법 없어도 산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죄 짓는 사람을 도저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것도 너무 편협한 겁니다. 이쪽 저쪽을 다 … 더보기

바닷물에 잉크 한 방울

댓글 0 | 조회 886 | 2013.02.27
덕이 많다는 것 또한 마음이 열렸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말입니다. 나와 다른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입니다. 나와 다르다고 해서 수용하지 못하면 덕이 없는 상… 더보기

감동을 주어야

댓글 0 | 조회 805 | 2013.03.13
자기 자신을 돌아보셔서 뭐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고 누가 뭐라고 해도 거리낌이 없다면 “아, 나는 그래도 괜찮은 사람이구나” 하셔도 됩니다.… 더보기

나는 소인이로소이다

댓글 0 | 조회 859 | 2013.03.27
사람을 대인, 중인, 소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소인은 내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보면서 ‘저 사람 생각이 틀… 더보기

중용이란 - The middle way

댓글 0 | 조회 1,271 | 2013.04.09
동물은 한 가지의 특성만 가지고 있습니다. 여우는 여우의 특성만을, 뱀은 뱀의 특성만을 가집니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두 가지 마음이 공존합니다. 선한 마음과 악한… 더보기

성격은 운명

댓글 0 | 조회 975 | 2013.04.24
대인관계를 잘 안하고 자기 안으로 파고드는 사람들은 늘 만나는 사람들이나 만나니까 부딪칠 일이 없습니다. 반면 외부 지향적이고 적극적인 사람들은 밖으로 경험을 많… 더보기

나의 기준이 옳은가

댓글 0 | 조회 1,334 | 2013.05.14
중용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남의 일에 함부로 참견할 수가 없습니다. “자기의 생각이 옳으냐?”가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동성연애자에 대해서… 더보기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023 | 2013.05.29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는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주장이 정말 옳지 않다고 여기기 때문에 반대하는 경우가 있고, 또 하나는 상대방… 더보기

남의 일에 상관 말기

댓글 0 | 조회 1,218 | 2013.06.12
혼자 있을 때는 편안해하고 일 처리도 잘 하는데 남과 함께 일할 때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분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혼자 할 수 있는 일을 주로 하는 것이 좋… 더보기

내가 먼저 꿰어 드리죠

댓글 0 | 조회 920 | 2013.06.25
옛날 직장에서 상관이 어느 날 그러더군요. 여성 개발원이 누구 코를 꿰면 잘 돌아갈지 생각해 봤더니 제 코를 꿰면 돌아가겠더랍니다. 그런데 꿰기가 좀 어렵겠다는 … 더보기

우주 - The Universe

댓글 0 | 조회 878 | 2013.07.10
한국사회에서는 일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인간관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서로 마음이 안 맞으면 상대를 안 하면 되지만, 그러다 보면 무대가 좁아집니다. 만만한 사람들… 더보기

먼저 손을 내밀어야

댓글 0 | 조회 1,001 | 2013.07.23
일이 꼬여 있고 어렵겠다고 생각되더라도 본인의 마음가짐에 따라 풀립니다. 인간관계를 풀면서 가야 됩니다. 수동적으로 하지 마시고 먼저 악수를 청하고 푸십시오. E… 더보기

멤버십과 리더십

댓글 0 | 조회 1,084 | 2013.08.13
마음에 안 드는 일이 있으면 반대세력을 형성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지 마십시오. 보이지 않게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기여하면 됩니다. 그러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