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1] 천국도 지옥도 내 마음 속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41] 천국도 지옥도 내 마음 속에

0 개 2,678 KoreaTimes
뉴질랜드의 봄은 목련과 함께 피어난다.

< LA에 자식들 따라 이민 온 경상도와 전라도 출신 할머니가 있었다. 늘 붙어 다니던 어느 날 경상도 할머니가 화장실에 갔는데  한참 지나도 오지 않아 걱정스레 찾아가 노크한다.
.경상도할머니:후꼬?(who꼬?)(번역:누구세요?) /.전라도할머니:미랑께.(me랑께.)(나라니까.)
.경상도 할머니:화이카노?(why카노?)(왜그래?)/.전라도할머니:빨랑컴(빨랑come!)(빨리나와!)>

이민 온 지 20년이 넘었건만 여전히 영어도 아니고 한국어도 아닌 국적불명의 언어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실제 상황이고, 이민 1세대의 어쩔 수 없는 ‘슬픈 우리 자화상’인 것이다.

Pilgrim Fathers들이 1620년 May Flower호를 타고 플리머스항에 도착했을 때 그들을 기다리고 있던 세가지 극한 상황은 기근과 풍토병과 인디언들의 배척이었다. 하지만 미래를 향한 강한 의지와 불굴의 개척정신은 그 모든 역경을 극복하고 오늘 날 세계 최고선진국 미국을 만들어 냈고 그게 바로 문화사적으로 볼 때 문명인들의 가장 성공한 이민이 되었다. 거기 비하면 우리의 뉴질랜드 이민은 지극히 평화롭고 소박하고 낭만적이기까지 하다.

처음 이땅에 왔을 때 뉴질랜드는 그런 우리들의 바램에 적당히 어울리는 그림이었다. 은행에서 돈을 셀 때 여왕의 얼굴을 일일이 맞추는 할머니 텔러들의 손동작에서 한 없는 여유로움을 느꼈다. 행여 길이라도 물으면 마치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이 신나게 안내해 주는 키위들의 모습에서 친절하지 않으면 벌금이라도 무는 나라인가 의심이 날 정도였다. 그러나 본격이민 15년만에 상황은 많이 바뀌었다. 친절한 인상은 경계의 모습으로, 타인종에 대한 호기심은 배타적 태도와 돈벌이의 대상 정도로만 생각할만큼 무섭게 변화 된 느낌이다. 최근 새삼스럽게 뉴질랜드 이민에 대한 찬반 양론이 심심찮게 일고 있다. 인터넷에 올라온 한 교민의 자조적인 생각은 이를 잘 나타내 준다. <91년 최초의 점수제이민법에 의해 영주권을 얻었습니다. 사람들이 뉴질랜드를 ‘후질랜드’라면서 깔보곤 했는데 한 3년 사이에 저도 그에 동조하게되고 작년부터는 이민 온 것이 후회 되기 시작한 자신을 보고 매후 당혹스럽습니다. 교민 매체들은 하루가 멀다하고 이민법이 개정되어야 한다고 쓰지만 여기 이민 오려는 사람들에게는 말리고 싶습니다. 부동산 가격도 많이 올랐지만 현재의 집이 60만불이라해도 한국 돈으로 3억 6천인데 서울에서 어느 정도의 아파트를 살 수 있을런지.(후략)>

그런가하면 뉴질랜드에 거주하다 떠난 사람의 다음 이야기 또한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
<한국의 국민소득이 1만불도 못되던 시절, 당시 뉴질랜드는 2만불에 근접하고 있었다. 그러니 당시의 한국과 비교하면 뉴질랜드는 한국보다 두배이상 부자였다. 그런데 어느 교민집에 갔을 때 주부들끼리 ‘에이 거지 같은 나라 뉴질랜드’하는 말을 듣고 황당했다. 국민소득으로 따지면 뉴질랜드 국민들이 한국을 향해 ‘거지 같은 나라 한국’이라 해야할 판인데 거꾸로였던 것이다. 돈 많은 사람을 귀빈으로 대접해주는 한국과는 달리 내돈을 가지고도 흥청망청 쓸 곳도 없고, 개나 소나 다 골프쳐서 자기들과 별로 차별이 안 되니 기분 나쁘고 거지 같은 나라라는 거였다. 하지만 뉴질랜드는 더불어 살아가는 나라였던 것이다.>

2주전 시내에서 일식당을 경영하던 L사장이 호주로 떠났다.  여러 분야에서 열심히 살아왔고 최근까지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사회활동에서도 비교적 성공했다고 알려졌기에 그의 떠남은 어느 정도 충격이었다. 호주에서 취업중인 장남과 합치기 위해서라는 충분한 이유가 있었음에도 막상 떠난다하니 섭섭하고 착잡한 심정을 부인할 수가 없었다. 남은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자칫 비행기 타고 떠나는 사람이 무조건 부러워 보일 수도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흔히 이민자수가 5만명쯤이면 자생력이 생겨 살만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호주, 캐나다 그리고 일본이나 미국은 행복한 교민 사회일까? 아무도 그렇다고 자신 있게 대답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나는 뉴질랜드가 좋다고 자랑하거나 부추길 생각은 추호도 없다. 그렇다고 뉴질랜드가 나쁘다고 부정적인 생각을 확대재생산하는 데에 동의할 생각은 더욱 없다. 하지만 한국, 미국, 영국, 중국, 불란서등 내가 살았거나, 다녀 본 30여 국가중 뉴질랜드만큼 ‘영어 쓰면서 덜 오염 되고, 만만한 나라’는 발견하기 힘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지금이 뉴질랜드 교민들에게 무척 어려운 시기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도 새로운 봄 기운에 밀려 결국은 사라지게 될 것임을 믿는다. 천국도 지옥도 오직 내마음 속에 있음을 우리는 알기에 견디어 낼 수 있는 것이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와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라는 금언은 언제나 진리이다.

[374] 고양이가 남긴 것

댓글 0 | 조회 3,009 | 2008.02.12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고양이는 싫어하고, 개를 좋아한다. 교민들의 성향도 비슷하다. 유독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개를 더 선… 더보기

[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댓글 0 | 조회 2,998 | 2007.02.13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다 마찬가지이다. 선진국이라해서 행복만 가득찬 것도, 못 사는 나라라고 해서 불행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세계 최강이요, 선진국 중의 선두… 더보기

[347] 씁쓸한 교민간담회

댓글 0 | 조회 2,987 | 2006.12.22
노무현 대통령과의 교민간담회는 뒷맛이 씁쓸했다. 특별한 이슈나 현안문제가 없어 큰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국가 원수의 국빈 방문이었기에 관심들이 많았다. 그… 더보기

[342] 꿈과 욕심

댓글 0 | 조회 2,972 | 2006.10.09
골프에서 “버디 하려다 보기한다”는 말이 있다.그린에서 퍼팅 할 때 ‘파’는 충분히 할 수 있는 거리인데 ‘버디’ 하려고 욕심 내다 파도 못하고 ‘보기’를 하게 … 더보기

[352] 신 뢰

댓글 0 | 조회 2,950 | 2007.03.12
민주사회에서 신의와 신뢰는 중요하고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재철 목사는 “왜 많은 집에 KAL 담요가 있습니까? 이는 절도행위입니다.”하고 탄식했다. 언제부턴가 … 더보기

[360] 적성(適性)과 적응(適應) 그리고 조화(調和)

댓글 0 | 조회 2,912 | 2007.07.09
IQ가 사람마다 다르듯 적성(適性:Aptitude)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렇게 사뭇 다른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고 사회를 만든다. 나는 살아 오면서 비교적 재… 더보기

[380] 지혜만이 살길이다

댓글 0 | 조회 2,910 | 2008.05.13
한국은 AI 확산과 광우병 논란으로 전국이 뒤숭숭하다. 페스트 이후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 되는, 가장 심각한 3대 재앙으로 에이즈와 AI(조류인플루엔자) 그리고 … 더보기

[345] 부동산은 말이 없다

댓글 0 | 조회 2,884 | 2006.11.27
부동산은 언제나 말이 없다. 하지만 그 부동산을 둘러싸고 사람들은 관심이 많다. 뉴질랜드 부동산은 그야말로 예측 불허이다. 90년대 초중반과 지금의 지도를 비교해… 더보기

[343] 공포불감증(恐怖不感症)

댓글 0 | 조회 2,869 | 2006.10.24
10월은 우리에게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을 동시에 가져다 주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의 ‘유엔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피선과 북한의 ‘핵실험… 더보기

[348] 모란꽃 피는 언덕

댓글 0 | 조회 2,861 | 2007.01.15
모란은 소담스럽고 귀티가 나지만 안타깝게도 향기가 없다. 2007년 새해가 되었다. 교민지들이나 한국 메스컴에서 ‘황금돼지해’라고 떠들썩하다. 으례 연초가 되면 … 더보기

[351] 비교는 상처를 부른다

댓글 0 | 조회 2,846 | 2007.02.26
21세기는 희망의 시대가 될 것이라 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의 미개척 분야, 불확실성의 문제들이 새천년초에는 해결 되거나 업그레이드 되리라 예측하고 기대했… 더보기

[356] ‘키다리 아저씨’의 긴 다리

댓글 0 | 조회 2,829 | 2007.05.08
긴다리는 저력이었다. '진 웹스터(Jean Webster)’ 의 ‘키다리 아저씨Daddy-Long-Legs)’ 는 1912년 작품이다. 그녀가 30대 중반에 쓴 … 더보기

[344] 꽃구름과 한국환상곡

댓글 0 | 조회 2,818 | 2006.11.13
해금 선율은 압권이었다. 11월인데도 여전히 밤낮의 기온 차가 심하고 밤이면 의례껏 전기 장판을 켜 놓아야만 한다.하지만 이제부터 5개월 정도는 따뜻하고, 쾌적한… 더보기

[353] 지와 사랑

댓글 0 | 조회 2,817 | 2007.03.27
요즈음은 ‘지와 사랑’이 아쉽다. ‘헤르만 헤세(Herman Hesse)의 대표작이라할 ‘지와 사랑’을 한글로 만 써 놓으면 인터넷 세대들은 ‘G씨와의 사랑’으로… 더보기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댓글 0 | 조회 2,701 | 2007.04.11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아름다웠다. 지난 3월 모 법률회사가 주관하는 선상 파티에 초대 받아 간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잠실 선착장에서 멀지 않은 … 더보기

[319] 따뜻한 남쪽 나라

댓글 0 | 조회 2,691 | 2005.11.22
김만철씨 일가가 자유 대한의 품에 안기던 날, 첫마디는“따뜻한 남쪽 나라”였다. 그들이 당시‘따뜻한 남쪽나라로 목표한 것은 원래 대만이나 베트남인가였다'는 후문도… 더보기

[339] 지도자

댓글 0 | 조회 2,685 | 2006.08.21
국가 지도자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안정과 성장, 국민의 행복을 이끌어 내는 리더쉽이다.세종대왕은 안정과 성장과 행복이라는 3박자를 이끌어 낸 성군이었다. 그는 총… 더보기

현재 [341] 천국도 지옥도 내 마음 속에

댓글 0 | 조회 2,679 | 2006.09.25
뉴질랜드의 봄은 목련과 함께 피어난다. < LA에 자식들 따라 이민 온 경상도와 전라도 출신 할머니가 있었다. 늘 붙어 다니던 어느 날 경상도 할머니가 화장… 더보기

[333] 더불어 사는 지혜

댓글 0 | 조회 2,675 | 2006.05.22
조조에 쫓기던 초라한 유비가 융중 초당으로 제갈공명을 삼고초려(三顧草廬))했을 때이다. 공명은 이른바 ‘천하삼분(天下三分)책’을 역설하면서 “천하를 경영하기 위해… 더보기

[330] 튀는 한국인, 왕따 코리아

댓글 0 | 조회 2,671 | 2006.04.10
지난 해 TV3에서 밤11시에 방영하던 ‘Sports Tonight’라는 프로를 즐겨 보곤 했다. 지금은 우리 ‘현대’의 협찬으로‘Hyundai Sports To… 더보기

[336] 오클랜드의 겨울나기

댓글 0 | 조회 2,659 | 2006.07.11
오클랜드의 겨울은 삭막하다.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라는 김종서 시조가 떠오른다. 인간이 살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도시라는 오클랜드-여름엔 사실 그말이… 더보기

[334] 싸이먼 효과와 코리언 열풍

댓글 0 | 조회 2,650 | 2006.06.12
2002년 한국에서 월드컵이 열리던 때 우리는 뉴질랜드의 겨울 속에 울고 있었다. 엘림교회의 체육관에 특설된 대형화면을 통해서도 200여명의 교민들이 모여 목이 … 더보기

[331]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댓글 0 | 조회 2,634 | 2006.04.24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부인 ‘엘리너 루즈벨트’는 오늘을 사는 코리언뉴질랜더들에게 참으로 필요한 명언을 선물로 남겨 주었다. 엘리너는 “ Yesterday is hi… 더보기

[329] 파리 목욕탕

댓글 0 | 조회 2,566 | 2006.03.27
‘스티브(Steve)'라는 평화봉사단원이 있었다. ‘평화봉사단(The Peace Corps)'은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창설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의 저… 더보기

[337] 정말 가난한 사람

댓글 0 | 조회 2,544 | 2006.07.24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박사를 만난 것은 1990년 7월 루브르 박물관에서였다. 우연히 마주쳤다는 게 바른 표현이겠는데 호킹박사는 그해 한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