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 따뜻한 남쪽 나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19] 따뜻한 남쪽 나라

0 개 2,695 코리아타임즈
김만철씨 일가가 자유 대한의 품에 안기던 날, 첫마디는“따뜻한 남쪽 나라”였다.
  그들이 당시‘따뜻한 남쪽나라로 목표한 것은 원래 대만이나 베트남인가였다'는 후문도 있었는데, 어쨌거나 그들은 그렇게 남쪽의 따뜻한 나라를 찾아 생사를 걸었던 것이다.
  나는 가끔씩 이해를 못했었다. 몇 년씩 외국 나가 살던 사람들이 오랜만에 다니러 온 고국이 오히려 어색한 듯 서둘러 떠나는 모습을 보고 이방인같은 느낌을 받아야만 했다. 또 나는 이해를 못했었다. 코 큰 사람들이 낯선 우리나라에 들어와 살면서“제2의 고향이 어떻고, 이 땅에 영원히 묻히고 싶다”면서 초연함을 보일 때 지어내는 여유가 아닌가 싶었다.
  그런데 80년대부터 시작된 해외 나들이는 해가 갈수록 내게는 거의 무의식적인 동경으로 다가 왔다. 도대체 금수강산이라는 우리나라 시골 풍경엔 그다지 흥미를 느끼지 못하면서 외국의 전원은 왜 그렇게 부러워했던가. 그러던 언제부턴가 지구가 한 마을이 되면서 꼭 한반도에서만 사는 일이 당연한 것처럼 느껴지지가 않게 되었다. ‘더 넓은 조국을 만들기 위해서'라는 수사학적인 말은 차치하고 좀 더 조용하고, 여유로운 곳이 있다면 구태여 좁은 땅덩이에 4천만이 복닥거리며 사는 것보다 낫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든 것이리라.  
  그러다가 11년전 어느 여름 막연히 그리던 조용하고, 평화로운 세상을 우연히 만나게 되었다. 긴 방황 끝에 찾은 파라다이스처럼, 발 뻗고 안주할 에뜨랑제의 마지막 휴식처 같은 느낌도 들고, 그건 아마 오래전부터 연이 닿았던 보이지 않는 끈이었는지도 모른다. 온 세상이 쾌적하고, 약속과 신뢰가 감도는 사회, 우격다짐과 속고 속이는 일이 아직은 그렇게 어울리지 않는 세상-그 이름 뉴질랜드에 둥지를 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중국 때문에 “10년이면 대륙도 변한다”로 속담조차 바뀌어 가는 사이에 이 조용한 나라도 짧은 세월 동안 무척이나 변해 버렸다. 드디어 관광객이 피살 당하는 일도 생기고, “경비행기로 스카이타워와 부딪치겠노라”는 만화 같은 협박도 나오고.  그런가하면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어느덧 추억이 되어 버린 초창기 이민 사회를 그리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호기심 속에 한가족씩 실은 차들이 줄지어서 타우랑가도 가고 코로만델도 가고, 뒷뜰에 오이 심고 깻잎 가꾸며 달팽이 약 사다 나누어 뿌려 주던 그 때가 좋았다고. 시내 한국식당으론 일미식당, 짜장면 집으로는 중국성 정도였던 그 때가 아기자기 했었노라고. 북적거리던 사람들이 어느 사이에 한국으로 돌아가기도 하고, 더러는 호주로 재이민 가고, 그래서 어느 때는 남은 우리가 초라해 보이기도 했는데….
  무섭게 모여들어 3만이 넘는다던 교민들이 또 언제부턴가 썰물처럼 빠지더니 그사이 몇 천은 줄었다고 알려지고, 유학생마저 급감하면서 교민 경제는 움츠러들고 대부분의 삶이 회색빛으로 변해 버린지 이미 오래다.
  그러나 그러나 실망하기엔 아직은 너무 빠르고, 잘못 왔다 후회하기엔 환경이, 삶의 모습이 지금도 너무나 고귀하다. 토비라는 개에게 투표용지가 나온 것도 부정이라기보단 자유로운 질서에 대한 투정으로 보이는 한낱 가십거리일 뿐이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김만철씨가 생각나는 것은 무슨 연유일까. 그는 어쩌면 혼란스러웠을지도 모른다. 따뜻한 남쪽 나라엔 행복 밖에 없을 줄 알았는데 이 세상 어디에든 행복과 불행이 공존한다는 것을 느끼고. 언젠가 젊은 탈북자 대학생이 “분명 한국은 천국인 것 같은데 북한에서처럼 생활이 쉽게 익숙해지지 않는다”던 것 같은 씁쓸함을 말이다. 때때로 뉴질랜드는 그림 속의 천국이고, 우리는 그 그림을 들여다보며 고달프게 사는 아웃사이더일 수도 있다. 그러나 아무리 강산이 바뀌었어도 뉴질랜드는 탁월한 선택이었음에 틀림이 없다.
“죽는 게 무서워 자살한다”는 아이러니를 뒤로한 채, 엽총자살로 먼저 떠난 어네스트 헤밍웨이는‘노인과 바다'를 넘어‘태양은 또다시 떠오른다'는 불후의 명작을 남기고 가면서 우리에게 말해 주었다. “내일은 또다시 내일의 태양이 떠오른다”는 진리를.
  많은 이들이 지금 힘들고, 지쳐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봄은 분명히 다가오고 있다.
  몇주 동안 그렇게 설쳐 대던 변덕스런 날씨도 어느덧 잠잠해지고 남태평양 특유의 쾌청한 날들이 다시 펼쳐지지 않았는가.  “한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하여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던 서정주 시인의 한 소절은 그래서 더욱 명언인 것이다.
이제 우리는 조금만 더 인내해야 한다. 그래야 찬란한 태양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기에.

[374] 고양이가 남긴 것

댓글 0 | 조회 3,012 | 2008.02.12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고양이는 싫어하고, 개를 좋아한다. 교민들의 성향도 비슷하다. 유독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개를 더 선… 더보기

[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댓글 0 | 조회 3,002 | 2007.02.13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다 마찬가지이다. 선진국이라해서 행복만 가득찬 것도, 못 사는 나라라고 해서 불행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세계 최강이요, 선진국 중의 선두… 더보기

[347] 씁쓸한 교민간담회

댓글 0 | 조회 2,991 | 2006.12.22
노무현 대통령과의 교민간담회는 뒷맛이 씁쓸했다. 특별한 이슈나 현안문제가 없어 큰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국가 원수의 국빈 방문이었기에 관심들이 많았다. 그… 더보기

[342] 꿈과 욕심

댓글 0 | 조회 2,975 | 2006.10.09
골프에서 “버디 하려다 보기한다”는 말이 있다.그린에서 퍼팅 할 때 ‘파’는 충분히 할 수 있는 거리인데 ‘버디’ 하려고 욕심 내다 파도 못하고 ‘보기’를 하게 … 더보기

[352] 신 뢰

댓글 0 | 조회 2,952 | 2007.03.12
민주사회에서 신의와 신뢰는 중요하고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재철 목사는 “왜 많은 집에 KAL 담요가 있습니까? 이는 절도행위입니다.”하고 탄식했다. 언제부턴가 … 더보기

[360] 적성(適性)과 적응(適應) 그리고 조화(調和)

댓글 0 | 조회 2,920 | 2007.07.09
IQ가 사람마다 다르듯 적성(適性:Aptitude)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렇게 사뭇 다른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고 사회를 만든다. 나는 살아 오면서 비교적 재… 더보기

[380] 지혜만이 살길이다

댓글 0 | 조회 2,916 | 2008.05.13
한국은 AI 확산과 광우병 논란으로 전국이 뒤숭숭하다. 페스트 이후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 되는, 가장 심각한 3대 재앙으로 에이즈와 AI(조류인플루엔자) 그리고 … 더보기

[345] 부동산은 말이 없다

댓글 0 | 조회 2,888 | 2006.11.27
부동산은 언제나 말이 없다. 하지만 그 부동산을 둘러싸고 사람들은 관심이 많다. 뉴질랜드 부동산은 그야말로 예측 불허이다. 90년대 초중반과 지금의 지도를 비교해… 더보기

[343] 공포불감증(恐怖不感症)

댓글 0 | 조회 2,874 | 2006.10.24
10월은 우리에게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을 동시에 가져다 주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의 ‘유엔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피선과 북한의 ‘핵실험… 더보기

[348] 모란꽃 피는 언덕

댓글 0 | 조회 2,870 | 2007.01.15
모란은 소담스럽고 귀티가 나지만 안타깝게도 향기가 없다. 2007년 새해가 되었다. 교민지들이나 한국 메스컴에서 ‘황금돼지해’라고 떠들썩하다. 으례 연초가 되면 … 더보기

[351] 비교는 상처를 부른다

댓글 0 | 조회 2,849 | 2007.02.26
21세기는 희망의 시대가 될 것이라 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의 미개척 분야, 불확실성의 문제들이 새천년초에는 해결 되거나 업그레이드 되리라 예측하고 기대했… 더보기

[356] ‘키다리 아저씨’의 긴 다리

댓글 0 | 조회 2,832 | 2007.05.08
긴다리는 저력이었다. '진 웹스터(Jean Webster)’ 의 ‘키다리 아저씨Daddy-Long-Legs)’ 는 1912년 작품이다. 그녀가 30대 중반에 쓴 … 더보기

[344] 꽃구름과 한국환상곡

댓글 0 | 조회 2,821 | 2006.11.13
해금 선율은 압권이었다. 11월인데도 여전히 밤낮의 기온 차가 심하고 밤이면 의례껏 전기 장판을 켜 놓아야만 한다.하지만 이제부터 5개월 정도는 따뜻하고, 쾌적한… 더보기

[353] 지와 사랑

댓글 0 | 조회 2,820 | 2007.03.27
요즈음은 ‘지와 사랑’이 아쉽다. ‘헤르만 헤세(Herman Hesse)의 대표작이라할 ‘지와 사랑’을 한글로 만 써 놓으면 인터넷 세대들은 ‘G씨와의 사랑’으로… 더보기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댓글 0 | 조회 2,704 | 2007.04.11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아름다웠다. 지난 3월 모 법률회사가 주관하는 선상 파티에 초대 받아 간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잠실 선착장에서 멀지 않은 … 더보기

현재 [319] 따뜻한 남쪽 나라

댓글 0 | 조회 2,696 | 2005.11.22
김만철씨 일가가 자유 대한의 품에 안기던 날, 첫마디는“따뜻한 남쪽 나라”였다. 그들이 당시‘따뜻한 남쪽나라로 목표한 것은 원래 대만이나 베트남인가였다'는 후문도… 더보기

[339] 지도자

댓글 0 | 조회 2,688 | 2006.08.21
국가 지도자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안정과 성장, 국민의 행복을 이끌어 내는 리더쉽이다.세종대왕은 안정과 성장과 행복이라는 3박자를 이끌어 낸 성군이었다. 그는 총… 더보기

[341] 천국도 지옥도 내 마음 속에

댓글 0 | 조회 2,681 | 2006.09.25
뉴질랜드의 봄은 목련과 함께 피어난다. < LA에 자식들 따라 이민 온 경상도와 전라도 출신 할머니가 있었다. 늘 붙어 다니던 어느 날 경상도 할머니가 화장… 더보기

[333] 더불어 사는 지혜

댓글 0 | 조회 2,679 | 2006.05.22
조조에 쫓기던 초라한 유비가 융중 초당으로 제갈공명을 삼고초려(三顧草廬))했을 때이다. 공명은 이른바 ‘천하삼분(天下三分)책’을 역설하면서 “천하를 경영하기 위해… 더보기

[330] 튀는 한국인, 왕따 코리아

댓글 0 | 조회 2,673 | 2006.04.10
지난 해 TV3에서 밤11시에 방영하던 ‘Sports Tonight’라는 프로를 즐겨 보곤 했다. 지금은 우리 ‘현대’의 협찬으로‘Hyundai Sports To… 더보기

[336] 오클랜드의 겨울나기

댓글 0 | 조회 2,662 | 2006.07.11
오클랜드의 겨울은 삭막하다.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라는 김종서 시조가 떠오른다. 인간이 살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도시라는 오클랜드-여름엔 사실 그말이… 더보기

[334] 싸이먼 효과와 코리언 열풍

댓글 0 | 조회 2,655 | 2006.06.12
2002년 한국에서 월드컵이 열리던 때 우리는 뉴질랜드의 겨울 속에 울고 있었다. 엘림교회의 체육관에 특설된 대형화면을 통해서도 200여명의 교민들이 모여 목이 … 더보기

[331]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댓글 0 | 조회 2,637 | 2006.04.24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부인 ‘엘리너 루즈벨트’는 오늘을 사는 코리언뉴질랜더들에게 참으로 필요한 명언을 선물로 남겨 주었다. 엘리너는 “ Yesterday is hi… 더보기

[329] 파리 목욕탕

댓글 0 | 조회 2,570 | 2006.03.27
‘스티브(Steve)'라는 평화봉사단원이 있었다. ‘평화봉사단(The Peace Corps)'은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창설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의 저… 더보기

[337] 정말 가난한 사람

댓글 0 | 조회 2,550 | 2006.07.24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박사를 만난 것은 1990년 7월 루브르 박물관에서였다. 우연히 마주쳤다는 게 바른 표현이겠는데 호킹박사는 그해 한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