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병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향수병

nabi82
0 개 1,733 이정현

어쩌면 무척이나 당연한 얘기겠지만 난 늘 뉴질랜드에 대한 향수병을 달고 산다. 뉴질랜드에 관련된 것이 예능 프로그램 등의 방송에라도 나오면 반드시 본방을 챙겨보고, 뉴질랜드 기사가 포털사이트에 뜨면 반드시 클릭해서 읽어본다. 특히 요즘은 뉴질랜드가 코로나 종식 선언을 코앞에 뒀다는 뉴스가 열일 한국에서 보도되고 있는데 참 반갑고 자랑스럽다. 이뿐 아니라 잠실에 “뉴질랜드스토리”라는 유명 샌드위치 전문점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한걸음에 달려가 샌드위치를 먹으며 주인아주머니께 혹시 뉴질랜드에서 살다 오셨는지 물어보기도 했다. 심지어 대학원에 재학 중일 때에는 이런 일도 있었다. 과 특성상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하는 학회가 종종 있었는데, 주로 수백 명의 사람들이 참석해 자신의 논문을 발표하고, 그 후에는 질의응답의 시간을 갖는 형식이었다. 영어학 전공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학회였던 만큼 참석자 절반 이상이 외국인이었고, 다들 열띤 토론을 하는 동안 난 여느 때와 같이 ‘끝나려면 아직 멀었나?’ 라는 생각에 시계만 보고 있었다. 그때 발표자를 향한 한 여성의 질문이 내 귀를 사로잡았다. 그녀의 질문이 너무 훌륭해서도 아니고, 나 역시 궁금해 했던 것을 물어봐서도 아니었다. 그녀의 영어 때문이었다. 더 정확히는 그녀의 영어 발음과 영어 악센트 때문이었다. 내게 너무 익숙하고 친숙한 뉴질랜드 영어였다. 너무 넓은 공간에 있어서 그녀의 얼굴을 자세히 보지 못했는데도 학회가 끝나자마자 나는 바로 수많은 사람들을 뚫고 그 목소리의 주인공을 찾아냈다. 한국에서 뉴질랜드 사람이라도 만나면 정말이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뉴질랜드인이죠? 뉴질랜드 영어를 쓰시길래 바로 알았어요. 저도 뉴질랜드에 살다 왔어요. 한국에는 언제, 무슨 이유로 왔어요? 저는 뉴질랜드에 살 때 OOO 동네에 살았어요. 거기 아세요? 뉴질랜드에는 언제 다시 돌아가세요?” 


단지 내가 아는 뉴질랜드 영어로 고작 몇 마디 나누는 게 다지만 어떤 형태로든 뉴질랜드를 접하면 한동안은 향수병이 조금은 사그라든다.   


사실 나만 향수병에 시달리는 것은 아니다. 내가 뉴질랜드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닐 당시 그 나라에서 만났던 한국인 친구들과 한국에 와서도 종종 어울리며 친하게 지내는데, 이들도 하나같이 뉴질랜드를 그리워한다. 아마 우리가 자주 어울리는 이유 또한 이런 향수병을 달래기 위함일지도 모른다. 뉴질랜드에 가본 적도 없고, 심지어 뉴질랜드가 어디에 있는 나라인지도 모르는 친구를 붙잡고 주구장창 뉴질랜드에 대한 얘기를 쏟아낼 수는 없지 않은가. 그래서 뉴질랜드를 잘 알고, 나만큼이나 그곳을 그리워하는 친구들을 만나서 “그때 그 음식점은 아직 그 자리에 있을까?”, “그 선생님은 아직 그 학교에 계실까?”, “거기 풍경 진짜 멋졌는데...” 등의 수다를 떨고 나면 그리운 마음이 한결 나아진다.    


5941fc683cd867de0c0c2d3a69b87707_1592887629_4732.jpeg
 

그런데 나와 함께 뉴질랜드 향수병을 제일 심하게 앓던 친구가 결혼 후, 육아전쟁에 뛰어들면서 우리의 만남도 예전보다 좀 뜸해질 무렵, 이 친구에게 연락이 왔다. 자신의 아기한테 뉴질랜드의 맛을 보여주고 있다며 뉴질랜드에서 제조한 분유의 사진을 내게 보내왔다. 대형마트에서 원산지 뉴질랜드라고 써진 분유를 발견하고는 바로 구매한 모양이다. 그래서 나도 똑같이 내 요즘 근황이 담긴 사진 한 장을 보내줬다. “나 요즘 뉴질랜드 앵커버터로 만든 빵을 먹으며 잘 지내고 있다”는 글과 함께. 


5941fc683cd867de0c0c2d3a69b87707_1592887658_3564.jpg
 

우리는 예전만큼 자주 만나지는 못하지만 여전히 자신의 위치에서, 자신의 방법대로 뉴질랜드를 그리워하고, 추억하면서 하루를 보내고 있다.


화(火)를 부르는 한국식 화법(話法)

댓글 0 | 조회 1,819 | 2020.08.12
누군가 내게 한국에서 사는 데 있어 가장 어려운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난 뭐라고 답할까? 사실 이런 질문에 대한 답변은 무수히도 많이 쏟아 낼 수 있다. 입 안… 더보기

한국도 아름답다

댓글 0 | 조회 1,916 | 2020.07.29
뉴질랜드의 아름다운 자연은 전 세계에 잘 알려져 있을 만큼 유명하다. “뉴질랜드에서는 사진을 어떻게 찍어도 모두 엽서가 되고, 한 장의 포스터가 된다” 라는 말이… 더보기

저는 헝그리하지 않습니다

댓글 0 | 조회 1,638 | 2020.07.14
최근 무심코 켜놓은 TV에서 배우 서우림 씨가 인터뷰하는 것을 보게 됐다. 퇴근 후 그저 습관처럼 켜놓고 집중해서 보지도 않는 TV에 왜 그날따라 눈길이 갔는지는… 더보기
Now

현재 향수병

댓글 0 | 조회 1,734 | 2020.06.23
어쩌면 무척이나 당연한 얘기겠지만 난 늘 뉴질랜드에 대한 향수병을 달고 산다. 뉴질랜드에 관련된 것이 예능 프로그램 등의 방송에라도 나오면 반드시 본방을 챙겨보고… 더보기

한국에서 영어 잘 하는 사람으로 산다는 것

댓글 0 | 조회 2,615 | 2020.06.09
한국에 와서 보니 ‘한국만큼 영어 교육에 목숨을 거는 나라가 또 있을까?’ 싶을 정도로 한국 사람들은 영어 교육에 많은 시간과 금액을 투자한다. 실제로 대한민국은… 더보기

한국인들에게 보여지는 가치란

댓글 0 | 조회 1,732 | 2020.05.27
나는 매년 뉴질랜드에 간다. 같이 일하는 동료들이 여름만 되면 하나 둘 사라져 바닷가다 호캉스다 신나게 여름휴가를 즐기고 와도 크게 동요하지 않는다. 난 뉴질랜드… 더보기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

댓글 0 | 조회 2,188 | 2020.05.12
한국에서 사는 사람들은 듣던 대로 정말 모든 면에서 빨랐다. 행동도 빠르고, 말도 빨랐다. 늘 바삐 움직였고, 그렇다 보니 해내는 일도 정말 많았다. 대학 수업이… 더보기

한국에서의 편입 분투기 II

댓글 0 | 조회 2,010 | 2020.03.25
한국 대학으로의 편입 시험 중 필기시험과 면접은 같은 날 진행된다. 그리고 이날 마주한 흥미로운 광경을 아직도 난 기억한다.필기시험은 영어 에세이 라이팅과 한국의… 더보기

한국에서의 편입 분투기 I

댓글 0 | 조회 1,417 | 2020.03.11
뉴질랜드로 이민을 갔던 사람으로서, 그리고 또 다시 한국에 정착해 사는 사람으로서 정말 많이 받는 질문 몇 가지가 있다. 그 중 한 가지가 바로 한국 대학으로의 … 더보기

이방인에서 또 다시 이방인으로

댓글 0 | 조회 2,310 | 2020.02.25
“뉴질랜드 학교는 시험이라는 게 없어.”엄마의 이 한 마디였다. 내성적이라 변화를 싫어하고 무서워하는 내가 순순히 엄마를 따라 뉴질랜드 이민길에 올랐던 이유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