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기(Ⅴ)-패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작업기(Ⅴ)-패

0 개 1,965 박지원
우선 너무 기쁜 나머지 바로 답 메일을 보냈다. 보낸 답장은 내가 찍었던 단편영화가 첨부된 채였다. 그 의도는 “나는 이러이러하게 쓸모가 있으니 투자 대비 괜찮을 겁니다”의 의미였다. 사장에게 메일이 직접 왔으니 사장에게 직통으로 메일이 갔을 터였고, 그것은 단번에 “읽음”으로 표시가 되었다. 나는 전문가에게 들려주지 못했었던 내 음악이 그래도 대형 인디 기획사 사장의 눈에 띄었다는 사실- 메일을 읽었다는 것조차도- 그 자체가 기뻤다.

첫 번째 답변 메일까지는 괜찮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지나치게 조바심이 난 나는 두 달 이상을 기다릴 수가 없었다. 분명 많은 양의 데모음악들이 매일매일 기획사로 보내지고 있을 터였고, 두 달 정도 뒤에는 잊혀질 수 있다는 예상을 하게 되었다. 잊혀지지 않게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첫 번째는 내가 한국에 있는 기획사로 찾아가 얼굴도장을 찍고 오는 방법. 하지만 나는 뉴질랜드에 산다. 물리적으로 조금 벅찬 일이었다. 두 번째는 발매할 음악 외에 지금까지 만든 음악들을 2주에 하나씩 보내는 방법. 나름 센세이셔널하고 소재가 좋은 곡들을 선별해서 평가를 물어보는 겸해서 다시 한번 내 음악의 평가에 대해 도전하는 것이었고, 무엇보다도 잊혀지지 않게 만들게 할 좋은 물 밑 작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이 작업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었다. 하나는 내 음악이 검증되지 않은 음악이라는 점. 기획사 한 군데에서 좋다고 했다지만 내 음악들은 기본적으로 장르파괴 지향적이었기에 음악별로 호불호가 많이 갈릴 것은 분명한 일이었다.(당시 제출 앨범은 컨셉 앨범이었기에 그나마 통일성 있는 음악으로 만든 것이었다) 또한 음악을 배워본 적이 없다는 점은 당연히 큰 약점이 될 터였다.

또 다른 하나는 그 음악이 내 “패”라는 점이었다. 패를 감추고 있는 것이 좋을지, 패를 조금씩 내보이는 것이 좋을지 당시에는 판단이 잘 서지 않았다. 평소에 협상을 꽤 잘하는 편이라고 생각을 해왔는데, 이런 “음악가”와 “기획사” 입장은 처음이었기에 더욱 그러했다.

결국 이런 많은 생각들이 거대한 조바심이 되어 스스로를 짓누르기 시작했고, 나는 내가 갖고 있는 패가 좋다고 믿기로 했다. 좋은 패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자신이 쥔 패를 누구에게 보여준다 한들 크게 상관없다고 생각하기로 한 것이다.

7월, 8월. 두 달 정도를 마지노로 잡고 2주에 한 곡씩 보내며 나름의 영업을 했다. 그리고, 그들은 답장이 없었다. 9월, 10월. 마침내 나는 포기라는 단어가 몸에 스며드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다음은 상황과 심리의 정리다.

처음 곡을 만들 때는 재미로 만들었던 것이, 곡이 쌓이다보니 앨범을 내고 싶어졌다. 원래는 돈을 주고 내려던 앨범을 재미삼아 기획사들에게 돌렸고 그 중 가장 거물급 기획사가 내게 연락이 왔다. 그들은 나를 향해 기다리라 했다. 그리고 답이 없다. 돈을 주고 내려던 장난 같았던 앨범은 이미 때 아닌 스카웃 제의를 받았다. 당연히 마음속에서는 그 가치가 한없이 높아져있었다. 끌어내리기는 힘든 일이었다. 끝내 나는 완전히 끌어내리기 위해 “마지막 메일”이라는 제목의 글을 보냈고, 곡은 첨부하지 않았다. 다만 신문기사 하나를 첨부했다. <불친절한 채용전형…기업들, 불합격 통보 안 해> 라는 제목의 기사였다.

답장이 왔다. 아주 예의바르고 친절한 답장이었다. 좋은 회사다. 회사의 사정 등을 설명하며 지원 씨 음악의 콘텐츠 발매는 조금 힘들 것 같다는 내용이었다. 패를 너무 많이 보여준 나의 실수라는 생각이 우선은 크게 들었고, 어찌되었든 확실한 정리였다. 예상을 하고 있었던 낭패감 위에 패배감, 짜증, 고마움 등 온갖 감정이 곧이어 나를 감쌌다. 다른 기획사에 보내자니 그것도 싫고(내게 기다려달라고 했던 곳이 워낙 거물이었다), 돈 주고 내자니 그것도 마음이 잘 가지 않았다.

일단은- “앨범을 내보자”라는 장난스러웠던 초심이, 명확하게 기억나지 않았다. 초심을 찾는 데에는, 그 후로 한참의 시간이 걸렸다. (계속)

江(Ⅰ)

댓글 0 | 조회 1,614 | 2015.01.29
등산이 인생이다, 라는 말을 이해하지 못했었다. 때때로 나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혐오하는 습성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등산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산을 못 … 더보기

침몰

댓글 0 | 조회 1,632 | 2014.11.12
“도” 음정이 맞지 않는 “도”가 또 한 번 울렸다. 청색 지붕, 처마 밑에 자리한 일곱 개의 검은색 확성기가 하늘 아래 햇살을 반사시키며 나란히 설치되어 있었다… 더보기

반뼘

댓글 0 | 조회 1,640 | 2014.12.09
새벽 6시 30분에 일을 시작했다. 오후 2시쯤 퇴근해서 밥을 먹고 멍 때리다가 친구가 의뢰한 영화음악 작업을 했다. 작업을 했다가 밥을 먹었다가 작업을 했다가 … 더보기

너의 스위치였다

댓글 0 | 조회 1,684 | 2013.08.14
딸깍. 열리는 암실의 문. 외면하고 싶은 현실은 때때로 순간을 아름답게 포착해내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아름다운 포착은 시간을 초월한 채 머리 한 켠에 걸어지는 … 더보기

벙어리 장갑

댓글 0 | 조회 1,728 | 2016.05.26
너는 장갑이 싫다고 했다. 장갑이 왜 싫으냐, 물었더니 장갑은 다섯손가락 모두를 만들어야 해서 어렵다고 했다. 그렇다면 장갑이 싫은 것이 아니라 장갑을 만들기가 … 더보기

오이

댓글 0 | 조회 1,731 | 2012.11.28
그는 지금 웰링턴에서 가장 바쁘다는, 조그만 식당에서 일을 하고 있었다. 12평 남짓한 그 식당엔, 17명의 사람들이 있었다. 모두 일본,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더보기

피곤한 고양이

댓글 0 | 조회 1,734 | 2013.10.08
영화학과 출신이라는 것은 좋은 일이다. 대학시절, 학과 공부는 잘 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영화와 관련된 종합예술에 있어서만큼은 -조금 편협하긴 해도- 나름대로 공부… 더보기

칼럼

댓글 0 | 조회 1,742 | 2013.09.24
칼럼. 칼럼이란 것을 쓴 지 1년이 되었다. 그 뜻은 내가 여기 온지 1년이 조금 넘었다는 뜻일 것이다. 2012년 6월 초순, 워킹홀리데이라는 비자로 뉴질랜드로… 더보기

江(Ⅱ)

댓글 0 | 조회 1,754 | 2015.02.11
배에 배럴들을 묶는 법을 확인한 후, N과 나는 대머리 아저씨의 낡은 버스를 타고 숙소로 이동했다. 버스에서는 강 냄새가 났다. 비린 버스였다. 거리를 달리는 동… 더보기

서바이벌

댓글 0 | 조회 1,767 | 2014.02.12
지금은 묻혀버렸지만, 작년 11월쯤 한국의 엠넷에서 작곡가 서바이벌을 주제로 프로그램을 한 적이 있었다. 티비를 안 보아서 홍보의 여부는 모르겠지만, 4회 만에 … 더보기

기대

댓글 0 | 조회 1,783 | 2014.09.24
내가 나에게 갖는 기대가 나를 미치게 한다. 기대는 구름처럼 내 머릿속을 횡횡하고 있었다. 심해 속에 가라앉는 돌덩이처럼 무겁고 무서운 까만 재 같은 것들이 구름… 더보기

한국에서

댓글 0 | 조회 1,797 | 2014.01.30
2년 만에 한국에 다녀왔다. 인천공항의 분위기는 여전했다. 부산스럽지만 깔끔한, 이용자의 동선을 최대한 고려하여 만든 회색빛의 거대한 이동체. 사람들은 세포처럼 … 더보기

모자이크(Ⅲ)

댓글 0 | 조회 1,857 | 2013.12.24
호텔의 방. 창가 태양의 광선이 대기를 통과하고, 산란된 빛의 파장은 곧게 흩어져 호텔의 창가에 곱게 내려앉아있다. 먼지들이 빛의 언저리를 떠돌고, 창틀에 반쯤 … 더보기

江(Ⅷ)

댓글 0 | 조회 1,870 | 2015.07.29
일어났다. 4일 째. 아침. 강 위에서의 마지막 숙박지로 이동을 시작했다. 이제는 중류에서 하류로 접어들고 있었다. 배를 타고 오는 동안, 강의 흐름은 조금씩 조… 더보기

江(Ⅵ)

댓글 0 | 조회 1,885 | 2015.06.24
오후 네 시. 눈을 떴다. 천둥이 치고 있었고, 하늘은 말라있었다. 정말 바짝 마른 파란 하늘 위에 구름이 금방이라도 떨어질 듯 건조하게 붙어있었다. 오래된 페인… 더보기

江(Ⅶ)

댓글 0 | 조회 1,926 | 2015.07.15
짐을 모두 싣고 난 후 우리는 무릎까지 차오르는 강변의 물에 바지를 적셔가며 배에 올랐다. 강 위에서의 3일차. 하루도 물에 들어가지 않았던 날이 없었다. 우리는… 더보기

상류

댓글 0 | 조회 1,926 | 2014.11.26
내가 일하는 곳의 사장은, 돈을 아주 잘 버는 사람이다. 지금하는 일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과를 나와, 이것저것하며 돈을 모은 뒤 지금은 40명에 가까운 직원을 … 더보기

이사

댓글 0 | 조회 1,939 | 2013.09.10
저번 주였다. 내가 사는 플랫의 인터넷이 일주일 남짓 먹통상태일 때였다. 일주일 내내 플랫메이트들을 볼 때마다 얘기를 했다. 난 인터넷이 없으면 살 수 없다고. … 더보기

영어

댓글 0 | 조회 1,947 | 2015.01.13
생각해보면, 어릴 때부터 외국인에게 크게 거부감 같은 것은 없었던 것 같다. 다른 학원은 거의 다니지 않았지만 영어회화학원만큼은 꾸준히 다녔던 것이 비결 아닌 비… 더보기

운동은 사람을 순수하게 만든다

댓글 0 | 조회 1,965 | 2014.07.08
태어나서 처음으로 근육이란 것을 키워봤다. 펑크에 빠져있던 고등학교 무렵에는 비쩍 마른 몸을 좋아했다. 44사이즈를 입을 수 있는 상체에 디올옴므 모델과도 같은 … 더보기

현재 작업기(Ⅴ)-패

댓글 0 | 조회 1,966 | 2015.04.30
우선 너무 기쁜 나머지 바로 답 메일을 보냈다. 보낸 답장은 내가 찍었던 단편영화가 첨부된 채였다. 그 의도는 “나는 이러이러하게 쓸모가 있으니 투자 대비 괜찮을… 더보기

江(Ⅴ)

댓글 0 | 조회 1,986 | 2015.06.09
다음 날 아침. 아직도 마르지 않은 축축한 항해용(?) 옷을 입고 텐트 밖으로 나와보니, 평상 위에 올려놓았던 종이컵의 밥이 사라졌다. 은박지가 제멋대로 뜯어져 … 더보기

신해철

댓글 0 | 조회 2,001 | 2015.05.13
오랜만에 글을 쓴다. 뭔가 오랜만이라는 느낌이다. 시리즈 아닌 시리즈물을 쓰다보니 어렵다. 분량조절에 실패한 탓에 자꾸 사골처럼 우려먹는 기분이다. 사골은 그래도… 더보기

단편영화를 보는 시간

댓글 0 | 조회 2,003 | 2014.08.13
영화제의 분위기는 항상 나를 매료시킨다. 특히 단편영화 섹션이 그렇다. 상기된 표정의 감독들과 스텝들, 그리고 무슨 일이 일어나길 기다리는 듯한 표정들. 평소 영… 더보기

카페

댓글 0 | 조회 2,010 | 2013.07.23
17살. 나는 카페에 자주 갔었다. 스타벅스, 카페베네 등의 프랜차이즈 카페가 들어오기 전이었던 시절 이야기다. 가게의 이름은 생각나지 않지만, 2층에 있었던 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