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살뜰한 파트너쉽 영주권 상식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알뜰살뜰한 파트너쉽 영주권 상식

0 개 1,079 정동희

사랑하는 두 사람의 관계(partnership)를 뉴질랜드의 이민법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We define partnership as 2 people of the opposite or same sex, who live together in a genuine and stable relationship in any of the following:

a legal marriage or a civil union or a de facto relationship.


위의 정의처럼, 이민부가 공식적으로 정의한 “파트너쉽”과 “파트너쉽”을 통한 영주권 비자에 대한 알뜰살뜰한 정보를 모아 전해드리는 저는 뉴질랜드 정부 공인이민법무사 제200800757호 정동희 이민법무사입니다.


문 : 동성애자의 파트너쉽도 인정이 되나요?

답 : 위의 정의에 포함된 “same sex”라는 두 개의 단어가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다른 성이든 동성이든 다 인정되며 두 사람의 性에 무관하게 진실되고 안정적인 관계 속에서 함께 살고 있는 것이 관건입니다. 


문 : 반드시 법적으로 결혼 상태여야만 합니까?

답 : 법적으로 결혼상태가 아니어도 가능합니다. 다만, 이중결혼상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문 : 함께 살고 있는 상태인 “living together”의 정의는 어떻게 될까요?

답 : 이민부가 간략하게 안내하는 정의는 다음에서처럼, “같은 집”에서 당신의 파트너와 거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Living together means sharing the same home as your partner.

This does not include:

spending time in each other’s homes while you each maintain your own home

sharing accommodation while on holiday

living as flatmates in the same house.


문 : 반드시 같은 집에 거주해야만 하나요?

답 : 원칙은 그러합니다만, 동거의 방식과 형태에는 수많은 시나리오가 존재하기에 본인의 상황을 전문가에게 컨설팅 받아 보시길 권합니다.


문 : 플랫메이트 형태로 함께 살고 있습니다. 이것도 동거에 해당되지 않을까요?

답 : 위의 마지막 줄에서 보듯, 유감스럽지만 flatmates는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요즘처럼 거주비용이 크게 상승된 상황을 염두에 두면 조금은 시대에 맞지 않는 이민법 조항이 아닐까 싶습니다.


문 : 각자 렌트집의 계약기간이 많이 남아 있어서 아직은 합치지 못하고 있는 커플입니다만, 서로 왔다 갔다 하면서 실질적인 동거를 하고 있습니다.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답 : 빠르게 변하는 시대상황을 발빠르게 반영하는 이민법이면 참 좋겠습니다만, 그렇지 못해 보여서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이민부가 바라보는 living together의 의미는 오랫동안 변하지 않고 있네요. 보수적으로 본다면 그냥, 단순하게 “한 집에서 같이 사는 것”이라고 생각해야겠습니다. 


문 : 파트너쉽의 기본적인 증빙자료에 대한 가이드라인 같은 게 있을까요?

답 : 이민부는 크게 4가지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others recognise your relationship : 타인으로부터의 인정 여부

you make decisions and plans together : 중요한 결정과 계획을 둘이 함께 하는 지 여부

you spend leisure time together, and : 여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지 여부

you parent together, if you have children. : 자녀가 있을 경우 함께 양육하는 지 여부


문 : 지인들과 주변 친구들이 레퍼런스 레터를 써 주겠다고 합니다. 이 레터들이 필수 서류일까요?

답 : 필수는 아닙니다만, 다다익선이라는 차원에서는 좋은 서류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혹시라도 지인들의 이야기와 정보가 서로 모순되는 점이 있다면 오히려 득보다는 실이 될 수 있으니 레터의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이런 레터들은 사적인 문서에 속하므로 좀 더 공적이고 객관성을 담고 있는 증거자료들이 필수라면 필수겠지요?


문 : 공적인 서류의 예를 좀 들어 주실래요?

답 : 다음은 이민부의 가이드입니다.

For example, a joint tenancy agreement showing the date that you and your partner started renting a property together is better than your friend writing us a letter to tell us how long you have been living together.

Official evidence could include:

marriage or civil union certificates / birth certificates for any children you share / a joint rental agreement or home loan / joint bank accounts / evidence you own assets together / joint credit cards or hire purchase agreements / joint utilities accounts, like power or phone bills.



문 : 두 사람 명의로 된 부동산이 있으면 좋다던데….

답 : 이민부는 두 사람이 “경제 공동체”라는 것도 중요하게 심사합니다. 공동명의의 재산은 서로의 신뢰 정도를 입증할 좋은 증거가 되겠지요?


문 : 이민부가 심사할 때 가장 중요시 여기는 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답 : 이민부는 다음과 같이 간결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When we assess your visa application, we will consider things like:

how long you have been together 동거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how committed you are to a life together 서로의 삶에 얼만큼 스며들어 있는지

any children you have together, including your arrangements for their care 자녀 여부와 양육의 역할 분담

whether other people recognise your relationship. 타인으로부터의 인정


문 : 아까 언급하신 “경제공동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안내를 부탁드려요 ^^

답 : 이민부는 living and financial arrangements에 대해서 다음처럼 안내하네요.


how long you have been living together as a couple 동거 기간

your living arrangements 동거에 이르는 전 과정

whether you share common household tasks 가사노동에 대한 역할 분담

whether you support each other financially 경제적으로 서로를 서포트하는지

how you share financial responsibilities 서포트한다면 서로 얼만큼 하고 있는지

whether you own property together or share your property. 부동산을 공동소유하고 있는지


문 : 저희 커플은 서로가 처한 개인적인 사유로 인해 “항상” 함께 살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런 경우도 진실한 파트너쉽으로 인정받을 수 있나요?

답 : 모든 케이스는 다 다르기에, 인정된다 안된다는 한마디로 말씀드릴 수는 없으나 이민부는 다음처럼 조언하고 있습니다.

If you and your partner have spent time living apart, you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your separation, including:

the reasons you were living apart

how long you were living apart

how you kept in touch while you were not living together.

We will use the information you provide to assess how living apart affected your partnership.


문 : 영주권이 아닌, 파트너쉽 워크비자의 심사기간은 어떠한지요?

답 : 파트너쉽 워크비자라고 한다면 크게 2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영주권자나 시민권자의 파트너로서 신청하는 비자와 비영주권 비자 소지자의 파트너가 신청하는 비자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그에 따라 심사기간 또한 달라진답니다. 최근 이민부의 전언에 따르면 국경재개방 이후 family-based temporary visa(자녀의 비자도 포함) 신청이 폭증하여 기존의 심사기간을 훨씬 뛰어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네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보다 많은 이민관을 투입하여 심사기간의 단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는 합니다만, 기존의 안내보다는 대기시간이 더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문 : 심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묘수풀이는 없을까요?

답 : 우리가 일반적으로 “상식적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이민부는 다음처럼 조언하고 있습니다.  


Include all the required evidence when you apply. This includes mandatory forms and may include police certificates and medical information. If we have to ask you for any extra information, a decision on your application may be delayed.


Check and apply for the right visa category. If you apply under the wrong category, this will delay the processing of your application.


If you are applying online, upload any additional evidence to your original account. Please do not email it to an immigration officer, as this slows down processing.


Include evidence that shows the full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We need a good mix of evidence that demonstrates a genuine partnership for the full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If you are applying for a subsequent temporary partnership visa, do not resubmit only the same evidence you used for the first application. We need to see new evidence that shows us that you or your customer their relationship from the time between when their last visa was approved and when you apply for a new one.


Please be responsive to any requests for information. Please reply to our request for information. The quicker you can reply and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the sooner we can decide your application. If you require an extension, please tell us that early.


▲ 위의 정보는 이민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필자 개인의 견해와 해석을 밝힌 것이므로,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Mobile phone : +82 10 32859490(한국)

https://blog.naver.com/ajikdo69

Kakao ID : nz1472

뇌과학이 알려주는 중독 (알코올, 마약, 도박 그리고 게임)의 이유

댓글 0 | 조회 1,060 | 2023.08.08
중독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을 보고 의지가 약하다거나 정신차리지 못한 한심한 실패자로 보고 있는 경향이 있는데, 뇌과학자들은 중독을 뇌의 보상체계에 이상이 생… 더보기

마음으로 맑아지려는 노력

댓글 0 | 조회 573 | 2023.08.08
선명하지 않은 사람이 있습니다. 남들이 볼 때 속으로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고, 뭔가 삐져있는 사람입니다. 본인도 자기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를 정도로… 더보기

5500만 치매 환자에게 희소식

댓글 0 | 조회 1,825 | 2023.08.05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환은 치매(Dementia)이다. 물론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癌, Cancer)도 무섭지만, 말기 암 환자는 사랑하는 가족들을 … 더보기

먹을 복도 자랑해야 하나?

댓글 0 | 조회 1,318 | 2023.07.26
동생이 집에 간 후 나는 몸살을 앓았다. 올 한 해의 반을 여행으로 다 보냈으니 몸살이 안 나고 배길 수 있었을까? 어제부터 몸이 조금 괜찮아지고 있음을 느꼈으나… 더보기

2023 시험비책

댓글 0 | 조회 770 | 2023.07.26
얼마전 한 학생이 거의 울상을 한 채 교실로 들어섰습니다. 이유를 물었지만 딱히 대답하지 않고 얼버무리는걸 보아하니 바로 견적이 나옵니다. 시험을 망친거겠죠. 성… 더보기

사이드 힐 업•다운(Sidehill Up•Down)

댓글 0 | 조회 780 | 2023.07.26
정의발 앞쪽이 발뒤꿈치보다 높은 경사도의 샷어드레스평상시와 같거나 스탠스의 폭을 넓게 해야 한다. 볼이 자신의 발보다 위에 위치해 있으므로 조금 더 멀리서며 상체… 더보기

우버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인가 (3)

댓글 0 | 조회 1,258 | 2023.07.26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버(Uber) 그룹의 우버 드라이버들을 독립계약자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피고용인으로 봐야 하는지의 여부가 전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인… 더보기

언제 터질지 모르는 숨겨진 블랙 파이프 덕스 퀘스트

댓글 0 | 조회 1,053 | 2023.07.26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Nexus Plumbing)의 김도형입니다. 이번에는 최근 많은 집주인들을 괴롭혀 온 검은 파이프, 바로 덕스 퀘스트(Dux Quest… 더보기

초보자도 할 수 있는 하루 3분 운동!

댓글 0 | 조회 705 | 2023.07.26
아침 공복 운동이 체중감량에 좋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그런데 말처럼 아침 일찍부터 운동하는 걸 실천으로 옮기는 게 쉬운 일은 아닌데요,저도 5분만 일찍 일어나… 더보기

아내의 햇저녁상

댓글 0 | 조회 759 | 2023.07.26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제 때에 난 햇감자로뜨끈한 감자옹심이가 올려 진저녁 밥상밥상 물리기도 전에제 때에 난 옥수수라며쪄서 반 뚝 잘라 건네주는 아내오늘만큼은 나를… 더보기

워크비자와 영주권의 열쇠는 잡(오퍼)

댓글 0 | 조회 1,809 | 2023.07.25
일반워크비자가 에센셜 워크비자를 거쳐 현재는AEWV(Accredited Employer Work Visa)-고용주인증 워크비자(이하, 워크비자)-라고 명명되어 시… 더보기

남명 조식

댓글 0 | 조회 632 | 2023.07.25
남명 조식은 세 차례나 관직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단 한 번도 취임하지 않았고, 사례의 인사를 올리지도 않았다. 그랬던 그가 그동안 자신이 왜, 벼슬을 마다하였는… 더보기

알레그로

댓글 0 | 조회 460 | 2023.07.25
시인: 토마스 트란스트뢰머암울한 하루가 가고 하이든을 연주한다손에 따스함이 느껴진다건반들은 흔쾌하고, 망치들은 경쾌하다소리는 푸르고 생기있고 차분하다자유는 존재한… 더보기

그들 마음의 온도는 몇 도 일까요?

댓글 0 | 조회 546 | 2023.07.25
찬란하던 해가 서산마루로 기울어간다. 황금빛 노을로 불타던 하늘이 서서히 검푸르게 변해가면서 어둠이 내려앉는다.기다렸다는듯 검은 장막속에서 남십자성이 아주 가깝게… 더보기

우리 애가 너무 불안해해요

댓글 0 | 조회 970 | 2023.07.25
평소에 특별한 이유 없이도 쉽게 긴장되거나 짜증이 나고, 혹은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불안신경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소… 더보기

구름 밟듯 걷는 천년고찰

댓글 0 | 조회 457 | 2023.07.25
등운산 고운사 (騰雲山 孤雲寺)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고운사는 지방도 79호선을 따라가다 고운사길로 접어들어 끝까지 이르면 다다를 수 있다. 고르게 난 왕복 2… 더보기

새로운 트러스트의 최고 세율

댓글 0 | 조회 937 | 2023.07.25
이것은 당신에게 무엇을 의미합니까?2023년 예산에는 몇 가지 놀라운 점들이 있었지만, 트러스트 세율의 변경은 그 중 하나가 아니었습니다. 몇 번 암시되었듯이, … 더보기

헷갈리는 자동차 용어들 총 정리!

댓글 0 | 조회 787 | 2023.07.25
오늘은 자동차 용어와 기능에 대해서 많이 알고들 계시겠지만, 모르는 것은 알고 주행을 한다면 도움되는 자동차용어 영어약자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ABS(자동… 더보기

미션 임파서블

댓글 0 | 조회 607 | 2023.07.25
최근에 내년도 최저임금이 결정되었다. 수 차례 합의가 안 되다가 표결로 결정 난 것이다. 시급 1만원을 넘기느냐로 모두들 촉각을 곤두세웠는데 넘기지는 않았다. 물… 더보기

다제약물 복용 113만명

댓글 0 | 조회 1,474 | 2023.07.22
우리나라는 상당히 약을 좋아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본인은 왜 약을 먹는지 알지 못하고 습관처럼 복용하는 사람도 있다. 약을 복용하는 것은 기존 질환을 잘 조… 더보기

신규 주택보험 가입 중단

댓글 0 | 조회 3,260 | 2023.07.20
캘리포니아주의 GDP는 2021년 기준 3.35조 달러로 미국 50개주중에 가장 높으며 세계 5위인 영국, 7위인 프랑스보다 높다. 참고로 세계 10위인 한국의 … 더보기

부동산 다시 오른다.

댓글 0 | 조회 1,977 | 2023.07.18
2년전부터 이자율 인상으로 많은 영역에서 스트레스가 커지고 있다. 물론 가파른 물가 인상에 따른 대응책 중, 가장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긴 하나 그 시점과… 더보기

아름다운 너무나도 아름다운 여행

댓글 0 | 조회 1,254 | 2023.07.12
지난 주 토요일 저녁부터 시작 된 웰링턴여행은 오클랜드에서 파미까지 기차여행 연장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너무나도 편안하고 아름다웠고 즐거우면서도 뿌듯한 여행이었… 더보기

나로 하여금

댓글 0 | 조회 626 | 2023.07.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무엇이 욕심인지 알게 하옵소서더 경건한 척 하고 더 아는 척하는 것에더 가지려 하고 더 높아지려는 것에부끄러워하는 나를 잃지 않겠습니다가슴이… 더보기

뜨끈한 국물 한 모금

댓글 0 | 조회 767 | 2023.07.12
나이를 한 살, 두 살 더 먹어갈수록 건강에 대한 염려가 조금씩 커집니다. 병원에 들르는 횟수도 많아지고 예전 같으면 그냥 물음표 하나 찍고 지나쳤을 증상에도 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