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Office 경비 - 1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Home Office 경비 - 1

0 개 1,903 박종배

알려져 있듯이 가정집의 일부를 사업용도로 사용한다면, 집관련 비용의 일부를 사업경비로써 클레임이 가능하다.  최근 발표된 IRD자료에서는 새로운 Home Office 경비 계산방법인 ‘평방미터당 인정비용 (Square meter rate)’ 옵션을 소개하면서 사업용도 전용면적 계산 절차를 예를 들면서 다루었는데, 이번 호에는 ‘평방미터당 인정비용’ 옵션에 대해서 소개하고 다음 호에는 사업용도 전용면적 계산절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간단하게 ‘평방미터당 인정비용’에 의해 어떻게 사업경비가 계산이 되는지 알아보겠다. 우선, 사업용도 전용면적 (평방미터) 을 계산하고 여기에 ‘평방미터당 인정비용’을 곱한다. (2019세무년도의 ‘평방미터당 인정비용’은 $41.70) 그리고, 임대료, 모게지 이자, 지방세(rates) 합계액에 사업용도 %를 곱하여 추가로 경비를 계산 포함한다.

 

= (사업전용면적 x 평방미터당 인정비용) + (임대료/모게지이자/rates합계액 x 사업용도%)


예를들어, 전체 200평방미터인 집에 30평방미터를 사업용도로 사용하고 있으며, 모게지이자와 rates 합계액이 연$25,000 이라 하자.  이 경우 ‘평방미터당 인정비용’ 옵션에 의한 2019년도 Home Office 경비 계산은 = (30 x $41.70) + ($25,000 x 15%) = $5,001.00 이 된다.

 

상기 계산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평방미터당 인정비용’은 엄밀히 말하면 집경비 (Premises Costs)를 제외한 나머지 유틸리티 경비 (전기, 전화, 가스, 보험 등)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인정비용’ 이다. 이는 통계청자료를 근거로 계산했는데, 집경비 (Premises Cost)를 ‘인정비용’에 포함할 수 없는 이유는 유틸리티 경비와는 달리 평균값을 계산하기에는 개별 변동폭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경비 (Premises Cost)에 대한 인정비용은 사업용도%를 근거로 별도로 계산해야 한다.

 

이번에 IRD에서 소개한 ‘평방미터당 인정비용 (Square meter rate)’ 옵션을 선택할 경우에 각종 유틸리트비용 (전기, 전화, 인터넷, 보험료, 가스 등) 증빙자료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집경비 (Premises Cost)계산은 비교적 간단하다. 예를들어, 렌트인경우 주 $000 * 52주 이렇게 쉽게 계산이 되며, 본인 주택일 경우 매년 은행에서 발행하는 Loan summary에서 연 대출이자를 쉽게 확인 가능하며, Rates 역시 rates 고지서에 연 Rates 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존의 Home Office 경비 계산방법보다 절차가 간소화 되었고, 계산이 쉬워졌다는 얘기다.

 

그렇지만, 집의 일부를 사업용도로 사용하는 모든 사업주에게 ‘평방미터당 인정비용 (Square meter rate)’ 옵션이 유리하지는 않는다.  다소 복잡하기는 하겠지만 기존의 Home Office 경비 계산방법으로 직접 계산/비교하여 본인이 유리한 옵션을 선택할 것을 권장한다.  매년 유틸리티 비용은 큰 차이가 없으므로, 한해의 계산/비교로 옵션을 선택하고 매년 선택된 옵션으로 Home Office 경비를 계산하면 되겠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의뢰회계사를 통하여 정보를 얻기를 바란다.

 

주의 - 본 칼럼은 일반적인 내용으로 안내를 목적으로 쓰여졌으므로, 저희글에 의지하여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 저희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Tax Working Group (Ⅱ)

댓글 0 | 조회 1,307 | 2018.08.08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정부가 Tax Working Group ( 이하‘TWG’) 에게 구체적으로 요청한 내용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높아진 주택가격 및… 더보기

자동세금정산 법안 외

댓글 0 | 조회 1,753 | 2018.08.23
지난 6월28일 상정된 세법관련 개정법안 The Taxation (Annual Rates, Modernising Tax Administration and Reme… 더보기

GST 영세율

댓글 0 | 조회 1,924 | 2018.09.12
이번호에는 GST 영세율 (zero-rated) 활동에 대해서, 다음호에는 GST 면세(exempt)와 관련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GST 영세율과 GST… 더보기

GST 면세 활동

댓글 0 | 조회 2,448 | 2018.09.27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GST 면세 (exempt) 활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가장 대표적인 GST 면세 활동으로는 주택임대활동과 Financial Ser… 더보기

Tax Working Group - 3

댓글 0 | 조회 1,164 | 2018.10.10
지난 2018년 9월 20일에 Tax Working Group (이하 ‘TWG’)의 중간보고가 있었다. 이번호에는 TWG 중간 보고서에 포함된 당초 TWG의 고려… 더보기

할부 납부 (세금 및 ACC Levy)

댓글 0 | 조회 1,817 | 2018.10.24
이번호에는 세금 및 ACC levy 할부납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IRD에 세금을 납기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지연납부가산세 (Late payment penal… 더보기

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부과

댓글 0 | 조회 1,510 | 2018.11.14
이번호에는 지난 10월 18일에 국세청장 Stuart Nash가 공개한 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부과에 대해서 소비자 입장에서 알아보도록 하겠다.지난 5월초에도… 더보기

2019년 4월1일 이후의 직원급여신고

댓글 0 | 조회 3,496 | 2018.11.29
Payday Filing이번호에는 현재 선택적으로 시행되고는 있지만, 2019년 4월1일부터 모든 고용주의무에 해당되는 Payday Filing 에 대해서 알아보… 더보기

Tax Code (택스 코드) - FAQ

댓글 0 | 조회 3,136 | 2018.12.19
사업운영여부 상관없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중의 하나는 택스코드(Tax Code)와 관련한 내용이다. 택스코드는 원천과세(PAYE)를 결정짓는 코드로써, 일반적으로… 더보기

연구개발 세금감면 (R&D Tax Credit) 법안 - 1

댓글 0 | 조회 1,469 | 2018.12.21
지난 10월에 연구개발 세금감면 관련한 법안인 Tax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ax Credit) Bill 이 국회에 상정되었다.… 더보기

연구개발 세금감면 (R&D Tax Credit) 법안 - 2

댓글 0 | 조회 1,065 | 2019.01.16
<지난호 이어서 계속>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법안내용 중 R&D Tax Credit 신청가능한자 및 필수요건의 주된내용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 더보기

연구개발 세금감면 (R&D Tax Credit) 법안 - 3

댓글 0 | 조회 1,151 | 2019.01.31
<지난호 이어서 계속>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연구개발 (R&D) 활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번 법안에 연구개발활동은 핵심활동(Core… 더보기

연구개발 세금감면 (R&D Tax Credit) 법안 - 4

댓글 0 | 조회 1,260 | 2019.02.12
<지난호 이어서 계속>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R&D Tax Credit 대상이 되는 R&D 활동 경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To… 더보기

임대주택 과세손실에 대한 처리변경 - 법안

댓글 0 | 조회 1,523 | 2019.02.27
이번호에는 2018년 12월 5일에 상정된 임대주택에 대한 임대손실을 다른 소득에 상계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 (Taxation(Annual Rates for 2… 더보기

Tax Working Group 최종보고서

댓글 0 | 조회 1,489 | 2019.03.14
지난 2월21일 Tax Working Group (이하 ‘TWG’)의 최종보고서가 공개되었다. 이번 TWG 에서는 환경세, 회사법인세, 개인소득세, GST 등에 … 더보기

4월1일 이후 변경내용

댓글 0 | 조회 2,717 | 2019.03.27
Payday Filing오는 4월1일이후 지급되는 직원급여신고는 PAYE신고대신 Payday Filing으로 대체된다. Payday Filing 이란 ‘직원급여 … 더보기

Payday Filing

댓글 0 | 조회 1,761 | 2019.04.09
지난 4월1일부터 직원 임금을 지급하는날 IRD에 보고하는 Payday Filing이 모든 고용주에게 적용되었다. 이번호에는 Payday Filing 과정에서 발… 더보기

세금 납부 방법

댓글 0 | 조회 2,224 | 2019.04.24
이번호에는 최근 IRD자료를 참고하여 세금납부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각 세금납부 방법별로 유의해야 할 부분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다.인터넷뱅킹최근 몇년사이에 납세자… 더보기

자주 받는 질문

댓글 0 | 조회 1,761 | 2019.05.15
이번호에는 최근 자주 받는 질문과 이슈가 되는 내용에 대해 요약,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Payday Filing매월초에 전월기간에 대한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이… 더보기

소득세 자동정산

댓글 0 | 조회 2,636 | 2019.05.28
알려져 있듯이, 일부 급여생활자의 소득세 자동정산이 시작되었다. 여기서 자동정산은 IRD에 신고된 소득자료를 근거로 소득세를 계산하고 납부된 PAYE를 비교하여 … 더보기

PIE 소득

댓글 0 | 조회 2,186 | 2019.06.12
최근 언론 기사(코리아포스트 웹에서 여기​) 에 의하면 IRD는 45만명이 키위세이버를 포함한 특정 투자자산으로부터 발생한 소득에 대해 잘못된 세율에 의해 소득세… 더보기

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 부과 (법안)

댓글 0 | 조회 2,670 | 2019.06.26
$1,000 이하의 저가수입상품에 대한 GST부과에 대한 시행시기가 당초 2019년10월1일에서 12월1일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우선, $1,000 이하의 저가… 더보기

키위세이버 가입 - 60세 이후

댓글 0 | 조회 3,360 | 2019.07.10
이번호에는 최근에 변경된 60세이상인자의 키위세이버가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키위세이버 가입자가 60세~65세 인 경우 가입후 5년동안 인출할 수 없도록 하… 더보기

신고 지연에 대한 벌금

댓글 0 | 조회 2,824 | 2019.07.23
기한내에 신고를 하지 않고 늦게 세금을 납부할 경우 세금 이외에 신고 지연에 대한 벌금, 세금 지연납부에 대한 벌금 그리고 이자가 부과될 수 있다. 이번호에는 최… 더보기

현재 Home Office 경비 - 1

댓글 0 | 조회 1,904 | 2019.08.14
알려져 있듯이 가정집의 일부를 사업용도로 사용한다면, 집관련 비용의 일부를 사업경비로써 클레임이 가능하다. 최근 발표된 IRD자료에서는 새로운 Home Offic…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