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 부과 (법안)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 부과 (법안)

0 개 2,662 박종배

$1,000 이하의 저가수입상품에 대한 GST부과에 대한 시행시기가 당초 2019년10월1일에서 12월1일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a2230506d896f58544c45d4eb67a654e_1561515842_6533.jpg
 

 

우선, $1,000 이하의 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 부과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다.  해당 법안에 따르면, 해외사업자 역시 뉴질랜드로 연 $60,000 이상의 매출이 발생한다면, 뉴질랜드 IRD에 GST 등록을 해야하고, 건당 판매액 $1,000 이하에 대해서는 15%의 GST를 가격에 포함해야하고 GST는 신고절차를 통해 IRD에 납부해야한다 (판매액이 $1,000 을 넘을 경우 GST 징수 업무는 현재처럼 세관이 담당한다).  결국, 뉴질랜드 소비자는 이런 해외사업자 (예, E-bay, Amazon, Aliexpress 등) 로부터 $1,000 이하의 상품을 구입한다면 15%의 GST가 물품대금에 포함되어 이런 해외사업자에게 지불하게 된다.

 

이번 시행시기 2개월 지연의 배경에는 예정된 국회통과시기와 시행시기 차이가 2~3개월 밖에 되지 않아, 규정에 맞게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테스트하는데 시간이 충분치 않다는데 있다.  참고로, Amazon, Alibaba (Aliexpress), eBay의 submission에 의하면, 해당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기 전에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필요한 시스템변경에 대해 투자를 하지 않겠다고 하였다.  예정상 해당 법안은 6월 이내에 국회를 통과할 것이지만, 만약 6월27일까지 통과하지 못한다면, 다음 국회일정은 7월24일로 예정시행일 10월1일과는 불과 2개월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시스템 업데이트와 테스트 하는데 시간이 충분치 않다는 얘기다.

 

구매자가 GST등록된 사업자인 경우, GST신고시에 GST 납부액을 클래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구매가격에는 차이가 없다.  그렇지만, 일반소비자는 다르다.  아래에 일반소비자 입장에서 현재의 규정과 비교하여 어떤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다. 

 

현재는 해외구입 물품가격이 $400 이 넘을 경우에만 세관에서 GST를 징수한다.  그렇지만, 12월1일부터는 모든 가격대에 GST가 부과될 수 있다. 물품가격이 $1,000를 초과할 경우 해외사업자의 GST 등록여부에 상관없이 현재처럼 세관에서의 GST를 징수하고, 물품가격이 $1,000 이하인 경우 GST등록된 해외사업자에게만 GST를 납부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가격대별로 현재와 비교하여 알아보겠다.

 

물품 가격대가 $400 에서 $1,000 인 경우, 현재는 세관에서 모든거래에 대해 GST를 징수하지만, 12월1일부터는 세관에서 GST징수 업무는 하지 않으며, 해외사업자가 뉴질랜드 GST등록업체인 경우에만 해당업체에게 GST를 납부한다.  즉, 가격대가 $400 에서 $1,000인 물품을 GST비등록업체로부터 구입한다면, GST를 납부하지 않아 현재보다 유리하다 하겠다.  그리고, 세관절차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물품을 해외업체로부터 배송받는다.

 

가격대가 $400 이하인 물품을 해외로부터 구매할 경우, 소비자는 현재 GST를 납부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12월1일부터는 해외사업자가 뉴질랜드 GST등록업체이면 15%의 부가세를 추가로 납부하게된다. 즉, eBay, Amazon, Aliexpress 등으로부터 물품을 구입한다면 12월1일 부터는 일반소비자에게는 최소한 15%의 소비자가격인상을 의미한다. 

 

주의 - 본 칼럼은 일반적인 내용으로 안내를 목적으로 쓰여졌으므로, 저희글에 의지하여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 저희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Tax Working Group (Ⅱ)

댓글 0 | 조회 1,303 | 2018.08.08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정부가 Tax Working Group ( 이하‘TWG’) 에게 구체적으로 요청한 내용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높아진 주택가격 및… 더보기

자동세금정산 법안 외

댓글 0 | 조회 1,750 | 2018.08.23
지난 6월28일 상정된 세법관련 개정법안 The Taxation (Annual Rates, Modernising Tax Administration and Reme… 더보기

GST 영세율

댓글 0 | 조회 1,919 | 2018.09.12
이번호에는 GST 영세율 (zero-rated) 활동에 대해서, 다음호에는 GST 면세(exempt)와 관련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GST 영세율과 GST… 더보기

GST 면세 활동

댓글 0 | 조회 2,441 | 2018.09.27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GST 면세 (exempt) 활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가장 대표적인 GST 면세 활동으로는 주택임대활동과 Financial Ser… 더보기

Tax Working Group - 3

댓글 0 | 조회 1,160 | 2018.10.10
지난 2018년 9월 20일에 Tax Working Group (이하 ‘TWG’)의 중간보고가 있었다. 이번호에는 TWG 중간 보고서에 포함된 당초 TWG의 고려… 더보기

할부 납부 (세금 및 ACC Levy)

댓글 0 | 조회 1,812 | 2018.10.24
이번호에는 세금 및 ACC levy 할부납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IRD에 세금을 납기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지연납부가산세 (Late payment penal… 더보기

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부과

댓글 0 | 조회 1,506 | 2018.11.14
이번호에는 지난 10월 18일에 국세청장 Stuart Nash가 공개한 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부과에 대해서 소비자 입장에서 알아보도록 하겠다.지난 5월초에도… 더보기

2019년 4월1일 이후의 직원급여신고

댓글 0 | 조회 3,491 | 2018.11.29
Payday Filing이번호에는 현재 선택적으로 시행되고는 있지만, 2019년 4월1일부터 모든 고용주의무에 해당되는 Payday Filing 에 대해서 알아보… 더보기

Tax Code (택스 코드) - FAQ

댓글 0 | 조회 3,122 | 2018.12.19
사업운영여부 상관없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중의 하나는 택스코드(Tax Code)와 관련한 내용이다. 택스코드는 원천과세(PAYE)를 결정짓는 코드로써, 일반적으로… 더보기

연구개발 세금감면 (R&D Tax Credit) 법안 - 1

댓글 0 | 조회 1,467 | 2018.12.21
지난 10월에 연구개발 세금감면 관련한 법안인 Tax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ax Credit) Bill 이 국회에 상정되었다.… 더보기

연구개발 세금감면 (R&D Tax Credit) 법안 - 2

댓글 0 | 조회 1,062 | 2019.01.16
<지난호 이어서 계속>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법안내용 중 R&D Tax Credit 신청가능한자 및 필수요건의 주된내용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 더보기

연구개발 세금감면 (R&D Tax Credit) 법안 - 3

댓글 0 | 조회 1,149 | 2019.01.31
<지난호 이어서 계속>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연구개발 (R&D) 활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번 법안에 연구개발활동은 핵심활동(Core… 더보기

연구개발 세금감면 (R&D Tax Credit) 법안 - 4

댓글 0 | 조회 1,255 | 2019.02.12
<지난호 이어서 계속>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R&D Tax Credit 대상이 되는 R&D 활동 경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To… 더보기

임대주택 과세손실에 대한 처리변경 - 법안

댓글 0 | 조회 1,521 | 2019.02.27
이번호에는 2018년 12월 5일에 상정된 임대주택에 대한 임대손실을 다른 소득에 상계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 (Taxation(Annual Rates for 2… 더보기

Tax Working Group 최종보고서

댓글 0 | 조회 1,487 | 2019.03.14
지난 2월21일 Tax Working Group (이하 ‘TWG’)의 최종보고서가 공개되었다. 이번 TWG 에서는 환경세, 회사법인세, 개인소득세, GST 등에 … 더보기

4월1일 이후 변경내용

댓글 0 | 조회 2,712 | 2019.03.27
Payday Filing오는 4월1일이후 지급되는 직원급여신고는 PAYE신고대신 Payday Filing으로 대체된다. Payday Filing 이란 ‘직원급여 … 더보기

Payday Filing

댓글 0 | 조회 1,755 | 2019.04.09
지난 4월1일부터 직원 임금을 지급하는날 IRD에 보고하는 Payday Filing이 모든 고용주에게 적용되었다. 이번호에는 Payday Filing 과정에서 발… 더보기

세금 납부 방법

댓글 0 | 조회 2,213 | 2019.04.24
이번호에는 최근 IRD자료를 참고하여 세금납부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각 세금납부 방법별로 유의해야 할 부분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다.인터넷뱅킹최근 몇년사이에 납세자… 더보기

자주 받는 질문

댓글 0 | 조회 1,755 | 2019.05.15
이번호에는 최근 자주 받는 질문과 이슈가 되는 내용에 대해 요약,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Payday Filing매월초에 전월기간에 대한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이… 더보기

소득세 자동정산

댓글 0 | 조회 2,630 | 2019.05.28
알려져 있듯이, 일부 급여생활자의 소득세 자동정산이 시작되었다. 여기서 자동정산은 IRD에 신고된 소득자료를 근거로 소득세를 계산하고 납부된 PAYE를 비교하여 … 더보기

PIE 소득

댓글 0 | 조회 2,179 | 2019.06.12
최근 언론 기사(코리아포스트 웹에서 여기​) 에 의하면 IRD는 45만명이 키위세이버를 포함한 특정 투자자산으로부터 발생한 소득에 대해 잘못된 세율에 의해 소득세… 더보기
Now

현재 저가 수입상품에 대한 GST 부과 (법안)

댓글 0 | 조회 2,663 | 2019.06.26
$1,000 이하의 저가수입상품에 대한 GST부과에 대한 시행시기가 당초 2019년10월1일에서 12월1일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우선, $1,000 이하의 저가… 더보기

키위세이버 가입 - 60세 이후

댓글 0 | 조회 3,354 | 2019.07.10
이번호에는 최근에 변경된 60세이상인자의 키위세이버가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키위세이버 가입자가 60세~65세 인 경우 가입후 5년동안 인출할 수 없도록 하… 더보기

신고 지연에 대한 벌금

댓글 0 | 조회 2,820 | 2019.07.23
기한내에 신고를 하지 않고 늦게 세금을 납부할 경우 세금 이외에 신고 지연에 대한 벌금, 세금 지연납부에 대한 벌금 그리고 이자가 부과될 수 있다. 이번호에는 최… 더보기

Home Office 경비 - 1

댓글 0 | 조회 1,901 | 2019.08.14
알려져 있듯이 가정집의 일부를 사업용도로 사용한다면, 집관련 비용의 일부를 사업경비로써 클레임이 가능하다. 최근 발표된 IRD자료에서는 새로운 Home Offic…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