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새해맞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2018년 새해맞이

0 개 1,102 박명윤

d37456d68d6fc6279f7040e2436e7a03_1516150314_6461.jpg
 

謹賀新年! 2018년 1월 1일, 새해 첫 날이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새해를 맞이하는 나라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키리바시공화국(Republic of Kiribati)이다. 키리바시공화국은 길버트제도, 피닉스제도, 라인제도로 구성되어 있는 인구 약 10만명인 작은 나라이다. 16세기 스페인 탐험가들이 키리바시를 발견했으며, 영국이 1892년 식민지로 삼았고, 1979년에 독립을 했다. 

 

세계지도를 보면 태평양위에 날짜 변경선(International Date Line)이 있다. 이 경계선을 기준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넘을 때는 날짜를 하루 늦추고, 동에서 서로 넘을 때는 하루를 더한다. 날짜변경선은 경도(經度, longitude) 0도인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Greenwich observatory)의 180도 반대쪽인 태평양 바다 위에 세로로 그은 가상의 선이다. 이 세로선은 같은 시간대 내에 속한 지역에 대해서는 날짜가 달라서 올 수 있는 혼란을 피하기 위해 사람이 사는 섬이나 육지를 피해서 기준선을 만든다. 

 

날짜변경선은 북으로는 미국의 알류샨 열도를 지나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남으로는 뉴질랜드 동쪽으로 일부 휘어져 있다. 또한 관련 국가의 결정에 따르므로 실제 정확한 직선은 아니다. 현재 날짜 변경선은 위도(緯度, latitude) 0도인 적도선(赤道線) 부근에서 갑자기 오른쪽(동쪽)으로 툭 튀어나왔다가 다시 왼쪽으로 꺾여 들어간다. 바로 그 튀어나온 곳에 30여 개 산호초 섬들로 이루어진 키리바시 공화국이 위치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전국 국립공원 중에서 ‘해맞이 ’명소로 경주 토함산, 설악산 울산바위, 한려해상 사천 초양도 등을 꼽았다. 한려해상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초양도는 사천 앞 바다에서 뜨는 해가 일품인 곳으로 1월 1일 해 뜨는 시각은 7시 35분이다. 경주 토함산은 세계문화유산인 석굴암과 불국사가 주변에 있어 역사와 문화를 함께 탐방할 수 있는 명소이며, 설악산 울산바위 전망대는 대청봉에 오르지 않고도 동해의 해돋이를 볼 수 있다. 

 

2018년 새해를 맞아 불교, 천주교, 기독교, 원불교 등 종교 지도자들은 신년 메시지를 통해 희망과 평화, 사랑을 강조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 수장들은 일제히 ‘위기’와 ‘변화’를 강조하는 신년사를 발표했다. 

 

2017년을 뜨겁게 달궜던 정유년(丁酉年)‘닭띠’해를 뒤로하고 2018년 무술년(戊戌年) ‘개띠’ 해를 맞았다. ‘개’는 12지지(地支) 가운데 11번째인 술(戌)에 해당한다. 12지지(地支)의 순서는 子(쥐)-丑(소)-寅(호랑이)-卯(토끼)-辰(용)-巳(뱀)-午(말)-未(양)-申(원숭이)-酉(닭)-戌(개)-亥(돼지)이다. 올해 戊戌년의 戊는 노란색, 戌은 개이므로 ‘황금 개띠’ 해라고 부른다. 

 

육십갑자(六十甲子)란 천간(天干)에 속한 10글자와 지지(地支)에 속한 12글자를 차례로 하나씩 맞추어서 얻은 60개의 서로 다른 맞춤을 말한다. 육십갑자로 셈을 세면 61번 만에는 같은 맞춤이 오는데 이것을 환갑(還甲)이라고 한다. 10천간(天干)의 색깔은 甲과 乙은 파란색, 丙과 丁은 빨간색, 戊와 己는 노란색, 庚과 辛은 하얀색, 壬과 癸는 검은색을 나타낸다. 

 

개띠 중에 유명한 ‘58 개띠’ 해에 출생한 사람들은 올해 회갑을 맞는다. 지난해 한국기업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100대 기업 등기임원 297명 중 58년생이 42명으로 전체 14.1%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필자가 설립한 한국파인트리클럽(Pine Tree Club of Korea)도 1958년 11월 3일에 창립되었으므로 올해 창립60주년 기념행사를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한다. 본 클럽에도 ‘58 개띠’ 해에 출생한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등 회원들이 많아 이들을 위한 ‘환갑잔치’도 11월 3일 축하행사와 함께 열리게 된다. 

 

당시 초등학교에서는 1958년에 출생한 아이들이 너무 많아 선생님들이 학생들에게 일일이 신경 쓰기가 어려웠다고 한다. 베이비 붐 세대(baby boom generation)란 전쟁 후에 태어난 인구로 우리나라는 6ㆍ25전쟁이 끝난 후인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생한 약 712만 명이 해당된다. 이제 이들(baby boomer)은 은퇴를 하여 노후생활을 즐기고 있다. 

 

신화(神話)에서 정취보살(正趣菩薩)은 별나라의 신들이 모일 때마다 서로 흥겹도록 예술을 연출하여 심오한 신비경을 펼쳐 주는 보살이다. 정취보살은 자신의 취향에 빠져 몰두한 탓에 별나라 신들이 모두 깨어나 불평을 늘어놓고, 또 불화가 생겼다. 이에 아미타(阿彌陀)부처님에게 노여움을 사서 인간 세상에 내려와 개신(狗神)이 되었다고 한다. 

 

개띠 생은 솔직하고 명랑하며, 지적이고 일관적이다. 또한 충성심이 강하며, 정의와 공정함에 대한 강한 열정을 가지고 있다. 개띠 생들은 활기차고 매력적이어서 성적인 매력을 강하게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상냥하고 잘난 체하기 않으며, 지나친 것을 남에게 요구하지 않으므로 남들과 사이좋게 지낸다. 다른 사람과 타협할 줄 알며,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다. 

 

‘황금 개띠 해’ 기운을 잡기위하여 ‘황금색’과 ‘개’를 주제로 내세운 이색 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패션부터 문구류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품으로는 △개 무늬를 새긴 순도 99.99% 골드바(gold bar), △개 모양 18K 미아방지 목걸이, △브로치로 활용 가능한 14K 금도금 볼마크 등이다. 또한 금색 강아지 저금통, 황금강아지 퍼즐 등 개성과 위트를 겸비한 상품들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황금 개띠 해’에 태어날 아기들을 위한 황금 강아지 디자인의 ‘배냇저고리’, ‘신생아 내의’ 등도 선보이고 있다. 균일가 생활용품숍 다이소는 ‘황금 복댕이 시리즈’ 24종을 출시했다. 복댕이 시리즈는 복주머니, 용돈봉투 등 신년 용품을 위시하여 문구류, 식기류, 캐릭터 인형 등 다양한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려동물 1,000만 가구 시대에 개(dog)는 인간에게 가장 가깝고 충직한 동물이라는 점에서 관련 제품의 매출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개(Canis familiaris)는 회색늑대(Canis lupus)의 아종(亞種)으로 인류가 최초로 가축으로 삼은 동물이다.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현대의 개와 회색늑대는 약 10만 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2013년 개의 화석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33,000-36,000년 전에 분화가 이루어 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개는 사냥, 목축, 운송, 경비 등 여러 모로 유용하였기에 원시 인류 사회에서도 개를 길렀다. 개를 애완동물로 기르기도 하여, 오래 전부터 개를 다양한 품종으로 육종(育種)하였다. 개의 수명은 대개 12-16년 정도이지만, 최근에는 장수하는 개가 늘어나는 추세다. 전 세계 개의 개체 수는 10억 마리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대 로마시대, 페르시아의 왕 아리우스는 개고기와 인신 공양(供養)을 금지하는 포고령을 내렸다. 서구의 대부분 문화권에서는 개고기 먹는 것을 금기시하며, 특히 영국과 프랑스 등에서는 매우 비판적이다. 이에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 당시 우리나라의 개고기 문화가 비난 받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고기를 보신탕(補身湯)으로 먹는 사람들이 있으나, 개고기에 특별한 강장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개고기(Dog meat)에 함유된 주요 영양소(100g 당)는 단백질 19g, 지질 20.2g, 탄수화물 0.1g, 에너지 262kcal 등이다. 우리나라는 개를 식용(食用) 목적으로 도살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법이다. 한편 개를 사육하는 사람들은 이 때문에 도축(屠畜)과 조리 과정에 위생을 위한 규제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개는 러시아의 생리학자 파블로프(Pavlov, 1849-1936)의 개 실험처럼 지금까지 다양한 행동심리학 실험의 대상이 되어왔다. 개가 냄새를 맡을 때는 평소 숨을 쉴 때와는 달리 킁킁거리는 것은 콧구멍을 통해 들어온 공기를 가두어서 보다 냄새를 잘 맡기 위한 행동이다. 개는 뛰어난 후각을 사용하는 마약 탐지 등 여러 가지 일에 쓰인다. 

 

개는 짠맛, 단맛, 신맛, 쓴맛을 모두 느끼지만 미각(味覺)세포 수가 1천7백여개로 다른 감각에 비해 둔한 편이다. 인간의 미각세포는 9천여개이다. 개는 고기 맛과 단 맛을 가장 잘 느끼며, 짠맛은 거의 느끼지 못한다. 색상의 구분은 눈의 망막에 있는 원추세포에서 담당하는데 개들도 색상을 구분할 수 있다. 개의 눈에는 원추세포(圓錐細胞, cone cell)가 적어 색상 분별력이 떨어지지만, 대신 간상세포(桿狀細胞, rod cell)가 많아 어두운 곳에서 물체의 윤곽을 쉽게 구분한다. 

 

사람은 오래전부터 개의 품종개량을 진행했다. 품종 분류는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영국애견협회는 개의 품종을 크게 사냥개와 일반 개로 나누었다. 미국애견협회는 하운드, 스포팅, 테리어, 논스포팅, 워킹, 허딩, 토이, 미설레니어스 등 8개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품종 구분에 진도개, 풍산개, 삽살개 등 한국종을 추가로 넣어 분류하고 있다. 

 

개에 관한 속담(俗談)에는 서당 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개도 먹을 때는 안 때린다,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쓴다, 개꼬리 삼년 묵어도 황모 못 된다, 개는 사람을 따르고, 고양이는 집을 따른다, 개도 꼬리를 친 다음에 먹는다, 개밥에 도토리, 산개가 죽은 정승보다 낫다, 겨 뭍은 개가 똥 뭍은 개 나무란다, 개도 제 주인을 안다, 개 팔자가 상팔자 등이 있다.   

 

2018년 무술년, 황금 개띠의 해를 맞아 행복한 한 해 되시기를 바라오며, 소망하시는 일을 모두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Happy New Year!  

 

Now

현재 2018년 새해맞이

댓글 0 | 조회 1,103 | 2018.01.17
謹賀新年! 2018년 1월 1일, 새해 첫 날이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새해를 맞이하는 나라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키리바시공화국(Republic of Kiribat… 더보기

집단면역(集團免疫)

댓글 0 | 조회 1,091 | 2021.05.22
오늘이 4월 마지막 주일이므로 6개월이 지나면 11월이 된다. 11월에 문재인정부가 발표한 코로나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있을까? 엠브레인ㆍ케이스탯ㆍ코리아리서치ㆍ한… 더보기

전립선암(前立腺癌)

댓글 0 | 조회 1,069 | 2022.06.11
김지하(金芝河) 시인이 1년여의 전립선암 투병 끝에 지난 5월 8일 원주시 자택에서 향년 81세로 별세했다. 유족 측에 따르면 시인은 7일부터 죽조차 먹기 힘들었… 더보기

환절기 불청객, 알레르기

댓글 0 | 조회 1,057 | 2023.05.20
알레르기(allergy)란 우리 몸의 면역계(免疫界)가 특정 알레르기 유발 항원(抗原)에 반응하여 과도한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즉, 알레르기란 … 더보기

수면장애(睡眠障碍) 불면증(不眠症)

댓글 0 | 조회 1,053 | 2021.05.08
인간은 평생의 약 3분의 1을 잠자는 시간으로 사용한다. ‘잠’은 활력 있는 삶을 위한 기본 조건이며, 뇌의 휴식상태인 잠은 깨어있는 시간 동안의 ‘삶의 질’을 … 더보기

쾌면(快眠) 건강법

댓글 0 | 조회 1,041 | 2023.02.24
동양의학에서는 건강을 자연과의 조화로 판단하고 쾌식(快食), 쾌면(快眠), 쾌변(快便)을 건강의 척도로 삼고, 이 세 가지를 삼쾌(三快)라 하여 매우 중시했다. … 더보기

환절기 심·뇌혈관 질환자 증가

댓글 0 | 조회 1,041 | 2022.09.24
정부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지난 2014년부터 매년 9월 첫째 주(1-7일)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으로 지정하고 대국민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 더보기

웰에이징(Well-Aging)

댓글 0 | 조회 1,040 | 2022.03.05
사람은 부모님의 사랑으로 잉태되어 엄마의 따뜻한 자궁 속에서 10개월(280일) 동안 태교(胎敎)를 받고 이 세상에 태어난다. 출생 후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더보기

품위 있는 죽음(Well-dying)

댓글 0 | 조회 1,020 | 2024.03.22
지난주 아내와 함께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1층 소재 메가박스에서 영화 <소풍>(러닝타임 114분)을 관람했다. 지난 2월 7일 개봉한 <소풍>… 더보기

성인ㆍ소아 신장암(腎臟癌)

댓글 0 | 조회 1,018 | 2021.04.19
신장(콩팥, Kidney)은 크게 신실질(腎實質)과 신우(腎盂) 두 부분으로 나뉜다. 신실질(renal parenchyma)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오줌(… 더보기

탄소중립(炭素中立)

댓글 0 | 조회 1,004 | 2021.06.19
지난 일요일(6월 6일) 오후 EBS-TV를 통해 2004년에 제작된 재난(災難)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를 시청했다… 더보기

장수의 비결

댓글 0 | 조회 998 | 2023.06.10
조선일보가 설문조사기관(틸리언 프로)에 의뢰해 우리나라 20-60대 성인 남녀 5023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에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50.1%가 ‘100세까… 더보기

눈(目)의 날

댓글 0 | 조회 998 | 2022.11.18
“몸이 1000냥(兩)이면 눈은 900냥(兩)”이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눈은 우리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이다. 인간은 다른 감각에 비해 시각에 대한 의존… 더보기

걷기 운동

댓글 0 | 조회 996 | 2022.11.04
‘2022 서울 걷자 페스티벌’이 지난 9월 25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출발해 흥인지문(興仁之門, 동대문)을 거쳐 종묘(宗廟)와 창덕궁(昌德宮) 사이를… 더보기

세계 암의 날

댓글 0 | 조회 987 | 2021.02.20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수명까지 생존할 경우 암(癌, cancer)에 걸릴 확률은 37.4%로, 남자는 5명 중 2명(39.8%), 여자는 3명 중 1명(34.2%… 더보기

국민 행복(國民幸福)

댓글 0 | 조회 984 | 2017.11.07
《필자가 ‘靑松 건강칼럼’ 집필을 지난 2010년 8월 27일에 시작하여 오늘(2017년 10월 30일) 600회를 맞게 되었습니다. 재능기부의 일환으로 본 칼럼… 더보기

췌장암(膵臟癌)

댓글 0 | 조회 968 | 2023.03.24
<73세에 시작한 마라톤 88할(세)때까지 달린다>란 제목의 책자를 발간한 필자의 고등학교 동창생 L박사(행정학)가 지난 2월에 췌장암(膵臟癌) 말기 … 더보기

‘코로나19’ 징비록(懲毖錄)

댓글 0 | 조회 946 | 2023.07.07
“악마(惡魔)는 잠들지 않는다”는 소설 제목과 같이 재난(災難)은 반복해 일어난다. 예를 들면, 지난 1918년 스페인 독감(Spanish flu)에 이어 202… 더보기

검은 호랑이의 해

댓글 0 | 조회 920 | 2022.01.22
2022년 임인년(壬寅年) 호랑이의 해가 힘차게 솟아올랐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호랑이를 두려워하면서도 의로운 이를 수호하고 잡귀를 물리치는 영물(靈物)로 여겨… 더보기

외로움 유행병

댓글 0 | 조회 862 | 2024.01.26
시인 정호승(鄭浩承, 1950년 경남 하동 출신)이 1998년에 발표한 ‘수선화에게’라는 시는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로 시작된다. 그러면서 사람이 살아… 더보기

휘청이는 식량안보

댓글 0 | 조회 862 | 2022.05.10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전쟁의 장기화 등으로 식량안보가 세계 여러 나라의 현실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식량자급률(食糧自給率)이 50%를 밑도는 … 더보기

건강수명, 제자리걸음

댓글 0 | 조회 858 | 2022.08.20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인간의 최대 욕망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다. 창조주는 인간에게 삶은 허락했지만 죽음을 피할 능력은 주지 않았으므로 이 세상에서 생명을… 더보기

21세기 만병통치 노리는 mRNA

댓글 0 | 조회 853 | 2023.11.10
스웨덴 노벨위원회(Novel Committee)는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커털린 커리코(64•Katalin Kariko, 헝가리인) 미국 펜실베이니아… 더보기

지구의 아픔을 함께 나눈다

댓글 0 | 조회 850 | 2023.03.10
사순절(四旬節, Lent)이란 기독교인들이 하나님과 더 가까워지기 위해 절제하는 생활, 기도, 금식에 초점을 두는 교회력(敎會曆)의 한 절기이다. 올해 사순절은 … 더보기

이밥과 고깃국

댓글 0 | 조회 826 | 2023.05.06
우리나라 사람들은 옛날부터 아이가 태어나 첫돌을 맞으면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뜻으로 ‘쌀’을 ‘실’과 함께 돌잡이 용품으로 돌상에 올리곤 했다. 또 “쌀밥 한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