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공부습관을 들여주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좋은 공부습관을 들여주기

0 개 1,328 jj
요즘 엄마들은 스스로 자녀의 ‘매니저’라 부릅니다. 시험제도를 꿰뚫고 발빠르게 학원 정보 등을 수집해 자녀에게 최상의 학습 환경을 만들어 준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막연히 반복적으로 ‘공부하라’고 강요하거나, 학원을 억지로 보내는 식은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공부를 습관처럼 하도록 하고, 스스로 알아서 해야 효과도 배가 되기 때문입니다.
 
자녀의 성적이 오르기를 바라는 부모는 아이가 책상 앞에 앉아만 있으면 일단 마음이 놓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성적에 일희일비하고 조급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자녀의 실력을 키워주는 데 도움이 안됩니다.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자연스럽게 깨우쳐 주고 공부와 친숙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근본적인 방법입니다. 자녀들에게 좋은 공부습관을 들여주기 위해서는 동기부여와·목표설정이 매우 중요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왜 공부를 해야하는지’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좋은 대학을 나와야 출세한다.”는 식의 무조건적 동기 부여가 아니라 “네가 좋아하는 컴퓨터 게임을 잘 하기 위해서는 어떤 공부가 필요할까.” “그렇게 좋아하는 게임을 만드는 개발자가 된다면 얼마나 즐거울까.” 하는 식으로 구체적인 동기를 넌지시 알려주는 식입니다. 
 
“스스로 공부하고 싶은 마음을 갖도록 하는 ‘내적 동기’ 부여가 가장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때때로 상벌과 같은 외부 자극도 필요합니다.“칭찬”은 가장 좋은 동기유발 요소 이므로, 성과만을 놓고 다그치거나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말고 세심하게 관찰해서 적절한 칭찬을 해 주면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또 공부를 하면서 스스로 성취감과 보람을 맛보게 하면 “공부란 즐거운 것”이라는 인식을 하게 됩니다.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아이가 하고 싶어하는 것을 잘 듣고 그 목표를 실현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비행기 조립하는 일을 좋아한다면 “이런 장난감 말고 진짜 비행기를 만든다면 멋진 일이겠지. 날다가 떨어지지 않는 안전한 비행기를 만들려면 여러가지 수치 계산을 잘 해야 할거야. 그리고 사람들에게 네가 만든 비행기를 많이 알리려면 똑부러지게 말하는 연습도 필요하겠지?” 하는 식입니다. 
 
단 낮은 단계부터 차근차근 하도록 해야지, 너무 거창한 목표를 던져주는 것은 부담을 줄 수 있으니 주의 해야 겠습니다. 

예습 수준을 넘어선 선행학습은 당장은 앞서나가는 것 같지만 ‘다 아는 것이니 재미 없다.’는 생각을 불러일으켜 오히려 내적 동기를 해칠 수도 있습니다. 독서는 가장 근본적인 선행학습이므로, 책과 친해지도록 공부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하루종일 공부를 강요하라는 것이 아니라, 마치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친구와 놀듯 공부도 자연스럽게 하나의 생활로 몸에 배도록 하는 것입니다. 
 
손쉬운 방법은 책과 친하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서, 방·식탁·화장실 할 것 없이 온 집안에 책을 널려 놓고, 책이 장난감이자 친구이자 선생님이 되도록 해주는 것도 지속적인 지적 자극을 줘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방법입니다.

바른 생활습관과 시간관리 능력을 키워주는 것도 공부하는 분위기와 연결됩니다. 목표를 설정했으면 이를 잘게 나누어 월 단위, 주 단위, 일 단위로 계획을 세우고 스스로 시간을 관리하게 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먼저 계획을 짜도록 하고 ‘실제 해보니까 숙제를 다 하기에 조금 시간이 모자라던데 조금 늘려보면 어떨까.’ 하는 식으로 수정해 나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짜여진 시간표를 주고 지키도록 하는 것은 실천도도 떨어지고 스스로 공부에서 주도권을 놓게 할 수도 있습니다.

[354] 어휘력 증진방법

댓글 0 | 조회 1,554 | 2007.04.11
● 기본 단어는 별도로 공부해 둔다. 원래 사전 자체를 암기하는 것은 노력에 비해 효과가 적으며 '죽은 영어를 배우는 지름길' 이라는 말까지 있습니다. 그러나 기… 더보기

[329] 정보화 시대와 독서

댓글 0 | 조회 1,551 | 2006.03.28
오늘날을 흔히 정보화 시대라 한다. 정보화 시대란 한 마디로 정보 및 지식이 지배하는 시대라는 뜻이다. 엄밀히 말하면 정보화 시대가 아니라 정보 시대라고 하는 것… 더보기

[357] 에세이는 어떻게......?

댓글 0 | 조회 1,546 | 2007.05.23
많은 명문대학 응시자들은 고등학교때 활동한 특별 활동과 받은 상들의 화려한 리스트를 나열 할 것입니다. 또한 빛나는 점수와 학점은 기본 입니다. 그러나 개인 에세… 더보기

반기문식 영어독서 학습법이 뜬다

댓글 0 | 조회 1,542 | 2013.01.15
영어능력이 필수인 시대. 엄마들의 영어에 대한 관심은 가히 폭발적입니다. 한국 성남에 사는 6살 아들을 둔 주부 A씨도 그 중의 한 명으로, 최근 아들이 조기영어… 더보기

[356] 본인에 맞는 계획 세우기

댓글 0 | 조회 1,531 | 2007.05.09
신기하게도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은 본능적으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이 생기면 무슨 공부를 어디서… 더보기

[326] 아이의 성격이 맘에 들지 않습니다

댓글 0 | 조회 1,531 | 2006.02.14
Intermediate 2에 올라가는 아들과 성격이 전혀 맞지 않습니다. 작년까지는 아이가 제 말을 잘 들어서 부지런한 편이었고 정리정돈도 잘 하였는데, 올해부터… 더보기

[372] 꿈은 있으나 노력하지 않아요

댓글 0 | 조회 1,527 | 2008.01.15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비슷한 이유로 성공한다. 반대로, 실패하는 사람들 역시 비슷한 이유로 실패하게 된다. 각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살펴보면 공통점이 있다. … 더보기

[335] 야단치고 때린 다음 어떻게 하면 좋죠?

댓글 0 | 조회 1,520 | 2006.06.26
단순히 혼내고 때리는 것만으로 아이 행동을 바꾸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쩌다 한 번 사랑의 매를 든다 할지라도 아이는 백 번의 애정 어린 포옹보다 한… 더보기

[365]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507 | 2007.09.26
아이를 양육하는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는 아마 없을 것이다. 과연 어떻게 하는게 잘 키우는 것일까? '잘 키우는 것'에 대해 만인이 수긍할 만한 정답은 아직 없다.… 더보기

[364] 잦아지는 아이와의 의견충돌 어떻게 풀어 가야 할지....

댓글 0 | 조회 1,500 | 2007.09.12
※ 원인 ※ 갈등은 우리가 행하는 거의 모든 행위 속에서 나타날 수 있다. 부모와 아이 사이에 갈등은 왜 생기는 걸까? 그것은 부모가 원하는 것과 아이가 원하는 … 더보기

[353] 미국에서도 성적 경쟁시대

댓글 0 | 조회 1,483 | 2007.03.28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교육을 강화- 미국의 교육개혁이라고 할 수 있는 ‘열등생은 없다 (No Child Left Behind Law)’ 법안이… 더보기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주는 대화요령

댓글 0 | 조회 1,466 | 2013.07.09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중요성은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는 바입니다. 대화의 수준이나 질은 부모-자녀 관계의 수준이나 질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척도이기도 합니다. 첫째… 더보기

엄마의 행복은 최상의 자녀교육

댓글 1 | 조회 1,456 | 2012.06.26
우리는 거울을 보면 자기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거울을 보면서 자신의 모습이 맘에 들기도 하고 어느 때에는 맘에 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더보기

[319] 책 고를때부터 부모가 함께해야

댓글 0 | 조회 1,454 | 2005.10.25
◆ 왜 책을 읽어야 하나="토론은 부드러운 사람을 만들고, 독서는 완전한 사람을 만든다."프란시스 베이컨의 말이다. 인간은 책 읽기를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사람… 더보기

부모가 어른일 때 자녀를 가르칠 수 있습니다

댓글 0 | 조회 1,422 | 2012.04.24
수미아빠와 수미가 TV채널을 가지고 서로 실랑이를 하고 있습니다. 딸은 늘 재미있게 봐왔던 만화를 보고 싶어하고, 아빠는 꼭 보고 싶은 스포츠 중계방송이 있는 날… 더보기

[320] 내 아이 안에 잠들어 있는 거인을 깨우는 긍정의 힘

댓글 0 | 조회 1,422 | 2005.11.11
‘게임 하지 마라’ ‘친구하고 싸우지 마라’ ‘수업 시간에 딴 생각 하지 마라’ ‘밥 남기지 마라’ 등 아이가 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마치는 것이… 더보기

화를 다스리기

댓글 0 | 조회 1,419 | 2012.06.12
평상시 얌전하던 아이가 소위 욱하는 마음에 화를 참지 못하고 다른 아이나 형제에게 폭력을 행사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부모는 너무 놀라 … 더보기

‘카더라’식 교육법, 아이두뇌 망칠수도...

댓글 0 | 조회 1,415 | 2013.03.26
우리나라 부모 자녀 교육열은 단연 세계 최고입니다. 하지만 우리 교육현장만큼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 판을 치는 곳도 없을 것입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 더보기

나는 어떤 유형의 부모일까요?

댓글 0 | 조회 1,393 | 2012.07.24
가정에서 교육에 대한 지도자적 역할을 할 사람은 부모입니다. 어린이들은 부모의 말을 듣기보다는 부모의 행동을 더 잘 따르기 때문에 부모역할에 하는 데에는 엄청난 … 더보기

산만한 아이를 키우는 부모가 지켜야 할 10가지 원칙

댓글 0 | 조회 1,364 | 2013.06.11
1. 아이의 행동에 될 수 있는 한 빨리 반응해 주세요. 상을 주거나 가벼운 벌을 줄 때는 즉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잘 하고 있으면, 즉각 칭찬과 인정해… 더보기

질문법으로 ‘생각의 기회’ 주세요

댓글 0 | 조회 1,357 | 2012.05.08
얼마 전 딸아이와 약국에 갔다가 깜짝 놀란 적이 있습니다. 아이는 약국에 가는 걸 무척 좋아하는데 약국에 가면 자신이 좋아하는 비타민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더보기

독수리가 새끼에게 나는 법을 가르치는 방법

댓글 0 | 조회 1,348 | 2012.11.28
미국 콜로라도 협곡에 사는 독수리들은 가시가 많은 아이언우드라는 나뭇가지로 둥지를 만든답니다. 처음엔 새끼가 날카로운 가시에 찔리지 않게 둥지 안을 깃털과 풀로 … 더보기

아이 가치관 맞춰 설명해야....

댓글 0 | 조회 1,345 | 2012.03.28
“아빠, 공부는 왜 하는 거야?” “공부는 너 자신을 위해서 하는 거야, 너의 미래를 위해 엄마 아빠가 매일 공부하라는 말을 하는… 더보기

칭찬을 받으면 누구나 그 값을 한다

댓글 0 | 조회 1,331 | 2012.04.11
“칭찬은 아이를 공부하게 만든다” “사람들은 비판을 해달라고 하지만 정작 듣고 싶어하는 것은 칭찬입니다.”라는 말이 있… 더보기

현재 좋은 공부습관을 들여주기

댓글 0 | 조회 1,329 | 2013.07.23
요즘 엄마들은 스스로 자녀의 ‘매니저’라 부릅니다. 시험제도를 꿰뚫고 발빠르게 학원 정보 등을 수집해 자녀에게 최상의 학습 환경을 만들어 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