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과 웰빙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명상과 웰빙

0 개 1,555 수선재

웰빙(Well being)이라고 하면 잘 있다는 얘기죠. ‘잘 있다…….’ 어떻게 잘 있느냐? 마음이 편해야 되고, 몸이 건강해야 되고, 정신은 맑아야 됩니다. 그것이 웰빙입니다. 

 

명상을 하는 우리들은 웰빙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어떤 방법으로 하느냐? 호흡을 통해서 합니다. 어떤 호흡이냐? 깊은 호흡입니다. 맑고 청량한 우주기운으로 호흡을 합니다. 우주기운이란 어떤 기운이냐? 지혜를 밝혀주고, 비워주는 기운입니다. 

 

명상이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일정한 자세를 취하고 호흡을 하면서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입니다. 방법으로는 한 가지 생각에 깊이 몰두하는 방법이 있고, 생각을 안 하는 방법이 있는데,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방법은 후자입니다. 그런데 그냥 무심으로 가는 방법은 참 어려워서 이제는 열심히 뭔가를 생각하는 쪽으로 좀 재미있게 명상을 하고자 합니다. 

 

가만히 앉아있지만 마음속으로는 엄청난 움직임이 있는 것입니다. 명상이 ‘정중동’이라고 하는 이유가, 아주 정한 상태로 하는데 안에서는 엄청나게 혁명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가만히 앉아있는데 땀도 흘립니다. 그것이 명상입니다. 

 

구체적으로 명상, 즉 호흡을 통해서 몸의 건강을 도모하고 마음을 편안히 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방법으로 웰빙을 하는 것입니다. 

 

나라마다 웰빙의 형태가 조금씩 다르지만, 말하자면 인간답게 살겠다는 얘기입니다. 그 태동은 2~30년 전쯤이라고 봅니다. 70년대에 유럽에 갔더니 ‘자연으로 돌아가자, 인간답게 살자’ 그런 얘기들을 하더군요. 우리는 그때 새마을 운동 하고 있을 때라 그런 생각은 꿈에도 못했을 때입니다. 보릿고개 넘기고 먹고사는 일에 바빠서 ‘인간답게 살자’ 이런 얘기는 꿈도 꾸지 못했을 때였는데, 유럽에 갔더니 그런 얘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인간이 궁극적으로 해야 될 것은 자연으로 돌아가는 건데, 그 전에 인간답게 살자는 겁니다. 어떻게 인간답게 사느냐? 

 

우선 너무 매어있는 것에 대해 그러지 말자. 국가에 매어서, 하라는 대로 다 해야 되고 세금 내야 되고 국가가 발전하려면 일을 많이 해야 되니까 새벽부터 밤까지 일합니다. 

 

또 직장에 매여서 허덕허덕합니다. 자기 자신은 온데간데없어지고, 직장의 누구, 무슨 사장, 과장 이런 것이 커다랗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 가정이라는 것도 그래요.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 편안하기 때문에 가정을 가지는 건데, 거꾸로 가정에 매어서 직분이라든가 의무에 허덕허덕하는 거예요. 아버지, 남편, 아들 그런 것이 크게 비중을 차지해서 자기가 없어졌습니다. 

 

자기가 진짜 원하는 게 뭔지, 그건 꿈일 뿐이지 현실이 아니에요. 노예처럼 일벌레처럼, 가정을 부양해야 되는 나귀처럼 매어서 정신 없이 돌아가다 보니까 자기가 없어졌습니다. 그래서 ‘나를 찾아야겠다’ 해서 벌어진 운동입니다. 

 

늦었지만, 그래도 살만큼 된 나라에서는 생존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해집니다. 문화라든지 그런 곳까지 생각이 미칩니다. 

 

그렇게 태동이 되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왔는데, 아직 ‘괴짜’ 이런 식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결혼 안 하고 동거하는 커플들 있죠. 결혼에 따르는 짐이 너무 크니까 매이지 않겠다는 거죠. 또 결혼을 해도 아이는 갖지 않는 커플들,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나오고 있습니다.  

스스로 돌아보세요

댓글 0 | 조회 1,477 | 2014.03.12
단체, 조직에는 항상 흐름을 어긋나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다 이 쪽으로 가고 있는데 툭툭 반대 방향으로 끄는 사람이 있어요. 노골적으로 그러는 사람이 있고 은… 더보기

인연

댓글 0 | 조회 1,480 | 2018.05.08
결혼을 하면 짐은 무겁지만 발걸음은 가볍고, 결혼을 안 하면 자기 혼자 가니까 짐은 없는데 발걸음이 무거워요. 왜냐하면 아무래도 우리 사회에서 결혼을 안 한다는 … 더보기

사람다운 사람

댓글 0 | 조회 1,483 | 2016.01.27
요즘 제가 자주 하는 말이 ‘사람다운 사람이 보고 싶다’ 입니다. 그런 사람이 보고 싶어요. 다들 언젠가는 사람다운 사람으로서, 스스로 생각해도 괜찮은 사람, 멋… 더보기

고정된 것 바꾸기

댓글 0 | 조회 1,483 | 2015.03.10
나이가 들수록 가치관을 바뀌기가 어렵습니다. 김용옥 교수가 TV 나와서 강의하는데 보니까 자기는 나이든 사람은 싫다고, 젊은 사람만 제자로 받겠다고 그러더군요. … 더보기

돈에 관한 이야기 둘

댓글 0 | 조회 1,500 | 2015.09.09
하나. 몇 년 전 아는 분이 위암에 걸려 6개월의 시한부 인생을 선고 받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제게 내의 한 벌을 사 들고 와서는 ‘이제부터 남은 인생은 먹고… 더보기

인간 관계

댓글 0 | 조회 1,503 | 2018.10.26
수련생들의 인간 관계나 가족간의 관계는 시소를 타는 관계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시소 탈 때 유능한 사람은 항상 상대방에 맞춰 줍니다. 두 사람이 탈 경우 상대가… 더보기

마음의 세계

댓글 0 | 조회 1,511 | 2014.02.25
마음의 세계란 아주 유능한 전문가가 다뤄야 되는 분야입니다. 말 한마디 해줄 때 아주 적시에 할 수 있어야 됩니다. 그러려면 그 사람의 상태를 다 파악하고 있어야… 더보기

무늬만 경찰 2

댓글 0 | 조회 1,513 | 2019.05.28
모두들 안타까운 심정으로 발만 동동 구르고 있을 바로 그 때, 옆에서 나와 함께 지켜보고 있던 한 아저씨가 멈칫 멈칫 하더니 이내 자석에 끌리듯 트럭 옆으로 다가… 더보기

첫날 마음

댓글 0 | 조회 1,522 | 2014.09.23
새해 첫날 마음가짐이 어떠냐에 따라서 일 년이 좌우됩니다. 새해 첫날은 각별한 의미가 있는 날이므로 준비를 해야 합니다. 그 날 기분이 일 년을 좌우해요. 새해 … 더보기

견공의 원망을 듣다 - Listen to the Grudge of a Dog

댓글 0 | 조회 1,529 | 2011.11.10
어떠십니까? 우리에게 한이 맺히고 하실 말씀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How are you? It seems you have many pent-up pains yo… 더보기

너무 많이 요구하는 사회

댓글 0 | 조회 1,534 | 2015.11.11
팔방미인이란 말처럼 사실 불명예는 없습니다. 아무 것도 못한다는 얘기거든요. 에너지라는 건 어떤 한 쪽으로 집중해서 쓸 때 파워도 실리고, 계발도 되는 것입니다.… 더보기

다운쉬프트(Ⅴ)

댓글 0 | 조회 1,547 | 2016.11.23
명상을 통해서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것은 쉽게 말씀 드리면 사랑스러움입니다. 사랑스러움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정성스러움에서 나옵니다. 또 정성스럽고 사랑스러움은 … 더보기

고달픈 글쟁이 시절

댓글 0 | 조회 1,548 | 2014.10.29
다음은 제 희곡을 추천해 주신 선생님의 이야기입니다. 연극계에서는 존경 받는 작가이신데, 한 때 이분이 너무나 가난해서 이가 아픈데도 치과를 못 가고 계셨답니다.… 더보기

인생은 드라마

댓글 0 | 조회 1,554 | 2018.09.14
“인생은 드라마다.”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개운법은 스스로 자신의 운을 개척할 수 있는 명상법입니다. 오늘 개운법 명상을 하시면서 “이제부터는 내 인생을 … 더보기

배추와 두더지에게서 그들 생활이야기를 듣다

댓글 0 | 조회 1,554 | 2011.11.10
Listen to the Cabbage and the Moles About Their Lives Hello lovely cabbage! 사랑스러운 배추님! 안녕하… 더보기

정 이 품 소나무의 고통을 듣다

댓글 0 | 조회 1,555 | 2011.11.10
Listen to the Pains of an Old Pine Tree in the Town of Boeun How are you? 안녕하신지요? This pla… 더보기

현재 명상과 웰빙

댓글 0 | 조회 1,556 | 2016.09.28
웰빙(Well being)이라고 하면 잘 있다는 얘기죠. ‘잘 있다…….’ 어떻게 잘 있느냐? 마음이 편해야 되고, 몸이 건강해야 되고, 정신은 맑아야 됩니다. … 더보기

여기서 선계를 이루어야

댓글 0 | 조회 1,559 | 2021.03.10
매일 저녁 하루의 생활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내가 나를 드러내려고 했는가? 남을 깔아뭉개려고 했는가?” 그런 것을 점검해 주십시오. 소리 없이 남의 결점을… 더보기

넉넉한 마음

댓글 0 | 조회 1,565 | 2015.07.29
사람들은 돈을 어디다 낼 때는 근사하게 명분이 있는 데만 냅니다. 그리고 이 돈으로 뭘 해라, 조건이 붙습니다. 그런데 돈을 쓰는 방법은 그런 게 아닙니다. 그냥… 더보기

세종대왕께서도 선인이셨는데 후궁들이 많았다고...

댓글 0 | 조회 1,566 | 2018.02.15
세종대왕께서도 선인이셨는데 후궁들이 많았다고 들었습니다. 어떻게 생각을 해야 할지?세종대왕의 경우는 저도 이상했어요. 팔십 몇 명이나 여자가 있었다고 해서 처음에… 더보기

돈을 버는 능력

댓글 0 | 조회 1,586 | 2015.06.09
누구든지 돈을 버는 능력을 한두 가지 정도는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돈을 벌 줄 몰라서 못 버는 거하고, 벌 줄 아는데 지금은 내가 다른 거 하는 시기여서 안 버… 더보기

지구에게 듣다 - Listen to the Earth

댓글 0 | 조회 1,595 | 2011.11.10
들어가기 전에 - Before entering 이세상의 모든 것들은 살아있는 생명체라고 합니다. 우리는 삶에 너무 바빠 우리 인간을 제외한 다른 것들의 목소리를 … 더보기

내 마음은 내 마음대로

댓글 0 | 조회 1,601 | 2013.12.11
자기 마음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내 마음이 내 마음대로 되나요 라는 말들을 합니다. 그것은 기분이 안 된 것입니다. 자기 마음을 자기 마… 더보기

환경은 마음의 표현

댓글 0 | 조회 1,601 | 2015.11.26
환경은 자기 마음의 다른 표현입니다. 자기가 불러들이는 겁니다. 우리가 뭘 본다 할 때 다 보지 않죠. 삼라만상이 있는데 그게 다 보이지 않아요. 자기가 보는 것… 더보기

어떻게 살아야 되는가? (Ⅰ)

댓글 0 | 조회 1,611 | 2016.05.25
그러면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되는가? 인간관계는 어떻게 해야 되는가?우리 교육에서도 그렇고 사회에서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이 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