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id Parental Leave FAQ - 출산 휴가기간 중 급여에 관한 FAQ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Paid Parental Leave FAQ - 출산 휴가기간 중 급여에 관한 FAQ

0 개 2,282 박종배
출산예정 직장여성은 정부에 Paid Parental Leave (이하 ‘PPL’)를 신청하여 출산 휴가기간 중 14주 동안 주급에 맞추어 매주 최고 $475.16 (세전)를 받을 수 있다. 이번호에는 고용인으로부터 ‘PPL’과 관련하여 자주 질문을 받는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노동청 및 뉴질랜드 법률자료 근거). ‘PPL’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필자의 지난 칼럼 Paid Parental Leave (2010년 11월 9일자)를 참고하길 바란다.
 
· ‘PPL’ 14주는 언제부터 시작 할 수 있는가 - 일반적으로 출산예정일 6주전 부터 시작 할 수 있다. 그렇치만, 가정의 혹은 Midwife는 산모 혹은 태아의 건강상의 이유로 조기출산휴가가 필요하다고 판단이 되면 이에 대해 진단서(certificate)를 발급할 수 있고, 출산인은 그 이전부터라도 출산휴가를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산후 8주 미만의 ‘PPL’ 기간이 남아 있게 되는데, 출산인은 출산 이후에 최소한 8주의 휴가를 신청할 수 있다 (관련규정링크 - s9(2))  예를 들어, 출산일 7주전부터 휴가를 시작했다면, 출산 후 남아 있는 ‘PPL’ 기간은 7주이다. 이 경우. 1주의 휴가를 더 신청할 수 있다. 단, 이 1주의 휴가는 무급휴가이고, 이에 대해서 ‘PPL’은 14주 기간이 끝났기 때문에 지급되지 않는다. 
 
· ‘PPL’의 기간 14주 중 일부를 남편에게 이전할 수 있는가? - 가능하다. 단, 남편 역시 ‘PPL’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추어야 하고, 실제로 14주중 남은 기간동안에 육아를 담당해야 한다. 이렇게 ‘PPL’ 기간의 일부를 남편에게 이전할 경우, 이 기간의 ‘PPL’ 금액은 남편의 소득에 의해 계산되므로, 출산여성이 받던 ‘PPL’ 금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겠다. (관련규정링크- 71E71EA).
 
· ‘PPL’ 휴가기간을 마치고 직장으로 복귀하지 않았다면, 정부로 부터 받은 ‘PPL’ 금액은 반환해야 하나? - 반환되지 않는다.  

· ‘PPL’ 기간 중 정리해고 되었을때, 받고 있는 ‘PPL’ 는 어떻게 되나? - 중지되지 않고 ‘PPL’을 계속 받을 수 있다.
 
· ‘PPL’ 기간중 태아가 유산될 경우 정부로부터 받는 ‘PPL’금액은 어떻게 되나? - 계속 지급된다.
 
· ‘PPL’ 의 신청과 직장 복귀 절차는 어떻게 되는가?
- 출산예정일 3개월 이전에 고용주에게 특정기간의 출산휴가 의사를 명시한 서신을 보낸다. 이때, Midwife로부터 출산예정일이 확인된 서신을 받아 고용주에게 보내는 서신에 동봉한다.
- IRD 웹사이트에서 Paid Parental Leave Application for an employee를 프린트하여 작성한다.  
- 고용주로부터 상기 신청 양식의 맨마지막 페이지 ‘Employer’s Declaration’을 받고 난후 IRD에 제출한다.
- ‘PPL’ 만료 21일 이전에 고용주에게 직장 복귀를 알리는 서신을 보낸다.
 

법정공휴일 (Ⅱ)

댓글 0 | 조회 2,485 | 2015.10.14
뉴질랜드 법정공휴일은 주중 특정요일을 정한 법정공휴일 (예, 6월 첫번째 월요일 - Queen’s Birthday)과 특정날짜가 정해져 있는 법정공휴일 (예, 1… 더보기

헌금에 대한 소득세환급

댓글 0 | 조회 2,472 | 2013.05.14
매년 4월에는 종교기관 등 자선단체로부터 전 세무년도 (4월1일 ~ 3월31일) 기간의 합계 헌금영수증을 받는다. 이번호에는 이런 자선단체헌금에 대한 소득세환급 … 더보기

[353] 4월1일자 변경/시행되는 내용

댓글 0 | 조회 2,467 | 2007.03.27
◎ 가족수당(Family Tax Credit) - Family Assistance로 알려졌던 가족수당이 Family Tax Credit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월 … 더보기

GST 면세 활동

댓글 0 | 조회 2,450 | 2018.09.27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GST 면세 (exempt) 활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가장 대표적인 GST 면세 활동으로는 주택임대활동과 Financial Ser… 더보기

사업의 시작- 2. 사업체 매매계약시 고려사항

댓글 0 | 조회 2,449 | 2017.01.26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사업체 구매계약시 고려되어져야 하는 부분을 소개해 보겠다.사업체 구매가격 흥정 및 결정사업체를 매매한다면 무엇을 매매한다는 것일까? 우선… 더보기

상품 및 원재료 - 사업주 개인적소비

댓글 0 | 조회 2,433 | 2014.04.08
도소매, 요식, 건축관련업 등의 업체에서는 상품, 원재료, 원자재를 구입하여 판매, 제조등 사업활동에 이용된다. 그렇다면 이렇게 사업체에서 구입한 상품 및 원재료… 더보기

하도급 (Subcontract)

댓글 0 | 조회 2,427 | 2013.02.26
원청(原請)업자로부터 하청을 받아 원청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하도급 (또는 Subcontract) 이라고 한다. 이번호에는 이런 하도급에 대해서 간… 더보기

IRD 부과 벌금(Shortfall Penalties)

댓글 0 | 조회 2,415 | 2013.12.24
이번호에는 IRD에서 부과하는 벌금 중의 하나인 Shortfall Penalt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Shortfall Penalty는 일반적으로 납세자가… 더보기

[358] 키위세이버 (KiwiSaver)

댓글 0 | 조회 2,399 | 2007.06.13
지난 5월 17일 정부예산 발표에 키위세이버(KiwiSaver)와 관련한 보완정책을 발표했다.오는 7월 1일 키위세이버 시행일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갑작스런 발표… 더보기

“사업은 잘 되는데, 돈이 없다”

댓글 0 | 조회 2,384 | 2016.09.27
“사업은 잘 되는데 돈이 없다” 사업주로부터 자주 듣는 얘기 중의 하나다. 실제로 사업은 흑자를 보이면서, 현금 부족으로 인한 채무불이행으로 인해 사업운영상 어려… 더보기

2020총선공약 - 세금감면

댓글 0 | 조회 2,381 | 2020.02.26
알려져 있듯이, 올해는 총선의 해로 9월19일에 국회의원 선거일정이 잡혀있다. 앞으로 언론을 통해 정당에서 분야별 정책 및 공약들이 직간접적으로 소개될 것으로 보… 더보기

IRD의 납세자 방문 - Ⅱ

댓글 0 | 조회 2,379 | 2011.11.09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예고했던데로, 이번호 부터는 IRD 방문수색 및 자료압수와 관련한 오클랜드 고등법원 case ‘Tauber v CIR’의… 더보기

학자금 대출 상환

댓글 0 | 조회 2,360 | 2013.11.26
이번호에는 학자금대출 상환에 대해 학자금대출자 입장에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자금대출 잔액이 있는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납세자는 연소득이 기준소득을 초과할 경우, … 더보기

세법 및 고용관련 변경 내용

댓글 0 | 조회 2,354 | 2018.04.13
이번호에는 IRD 및 세금과 관련하여 최근에 변경된 내용과 앞 으로 수정될 여지가 있는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PAYE 공제액 (2018년 4월1일 이후… 더보기

세금할부납부신청 및 기타

댓글 0 | 조회 2,353 | 2013.04.10
세금할부납부신청 매해 4~5월에는 이전 세무년도 최종소득세, 당해년도 중간예납 및 GST납부를 납부하게 되어 일부 사업자는 상당한 재무부담을 받는다. 올해에도 지… 더보기

ACC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Ⅲ

댓글 0 | 조회 2,348 | 2012.02.29
이번호에는 사업주가 납부하는 ACC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업주에게 부과되는 ACC Levy는 고용주, 자가사업자(Self-employed), 주주급여수령자… 더보기

2020 정부예산 & Covid19 정국

댓글 0 | 조회 2,316 | 2020.05.23
이번 2020년도 예산에는 $50 billion 을 별도로 Covid19 에 대응하기 예산으로 책정한 것 이외에는 사실 특별한 내용이 없으며, Covid19 확산… 더보기

세무년도말 및 연시 일정 및 4월1일 변경내용

댓글 0 | 조회 2,305 | 2012.03.27
1년중에 3월~5월 사이에 사업주의 신고 및 납세의무가 많이 편중되어 있다. 아래 일정별로 소개해 보도록하겠다. · 3월 31일 - 재고조사 및 외상… 더보기

ACC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Ⅳ

댓글 0 | 조회 2,303 | 2012.03.14
이번호에는 사업주로부터 자주 문의를 받는 내용 중 ACC Levy와 관련하여 소개하고 요약된 답변을 달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아래의 질문과 답변은 Self-e… 더보기

세법상 영구거주지 (Ⅰ)

댓글 1 | 조회 2,294 | 2014.12.23
언뜻 차이를 느끼기 어렵겠지만, 뉴질랜드의 세법상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소득세신고 의무에는 상당히 큰 차이가 있다. 뉴질랜드의 세법상 거주자는 세계의 모든 소득을 … 더보기

현재 Paid Parental Leave FAQ - 출산 휴가기간 중 급여에 관한 FA…

댓글 0 | 조회 2,283 | 2012.09.12
출산예정 직장여성은 정부에 Paid Parental Leave (이하 ‘PPL’)를 신청하여 출산 휴가기간 중 14주 동안 주급에 맞추어 매… 더보기

Bright-line Test (양도소득세) - 7

댓글 0 | 조회 2,275 | 2016.03.09
<<지난호 이어서 계속>>지난 6회에 걸쳐 이번에 개정된 세법 ‘Taxation (Bright-line Test for Residential… 더보기

4월1일자 변경내용 - Employee

댓글 0 | 조회 2,258 | 2013.02.13
이번호에는 오는 4월1일자로 변경되는 내용 중 고용인(Employee)관련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키위세이버 – 고용인 최저부담분 인상 현재 키… 더보기

ACC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Ⅰ

댓글 0 | 조회 2,251 | 2012.01.31
이번호를 시작으로 앞으로 3~4회에 걸쳐 ACC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에 대한 내용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우선, 뉴질… 더보기

학자금대출(국내/국외거주 날짜계산 외)-2

댓글 0 | 조회 2,248 | 2019.11.13
<이전호 이어서 계속>예2) ‘B’는 뉴질랜드에 183 이상 거주하다 해외에 170일 동안 거주하였다. 그후 영구귀국하여 현재 200일 뉴질랜드에 거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