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유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윈도우 유감

0 개 1,695 조기조

857b4af401b1e0388db981035e908a50_1580184230_9722.jpg
 

마이크로소프트사(MS)가 1월 14일을 끝으로 ‘윈도우 7’에 대한 기술 지원을 중단하였다. 윈도우 7을 사용하는 PC는 앞으로 보안 업데이트(패치)를 받을 수 없어 해킹 등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새로 발견된 보안 취약점을 막는 패치 관리를 잘 해야 하는데 윈도우 7은 이제 이 패치서비스가 중단되는 것이다. 원래 출시할 때 10년간만 기술지원을 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개발자는 원래 완벽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겠지만 해킹 기술 또한 발달하기에 문제가 생길 때 마다 이에 대처하는 패치프로그램을 내 놓게 되는 것이다. 어찌 보면 이용자들은 완벽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비싼 가격으로 구입해 써 온 셈이다. 이것은 MS의 윈도우가 한국에서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OS(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는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80년대의 성능이 낮은 초기 PC에서는 메모리조차 작아서 플로피 디스크에 저장된 OS를 넣고 컴퓨터를 켜면 읽어 들이고 컴퓨터를 끄면 사라지는 방식이었다. 그래서 DOS(디스크에 담은 OS)라고 불렀고 컴퓨터의 작동에 필요한 명령문을 일일이 입력해야 일을 시킬 수 있었다. 그러다가 PC의 성능이 좋아지고 메모리가 늘어나면서 메인 메모리에 심겨 나왔고 명령문을 입력하는 대신에 그림을 보고 작업을 시킬 수 있게 된 GUI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때 DOS에서 윈도우즈라는 이름을 바꿔 달게 된 것이다. * GUI: 명령문 대신에 그림을 보고 눌러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

 

2001년 8월 24일에 발표한 윈도우 XP는 2014년 4월 8일까지 지원했다. 이후,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윈도우 8, 윈도우 8.1을 발표하였고 윈도우 9는 건너뛰고 2015년 7월 29일, 오늘날의 최신버전인 윈도우 10까지 오게 된 것이다. 그리고 2017년 말까지 이전의 버전을 무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실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즈는 애플이 먼저 만든 GUI 방식의 MAC OS를 보고 충격을 받아 만들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일단은 윈도우 7을 계속해서 쓰면 위험이 높다. 그렇다고 당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PC는 수명이 있다. 성능이 자꾸 좋아지고 가격은 내려 4~5년 된 PC는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이 가정에서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PC는 20만원이 넘는 윈도우 10을 깔고 새로 구입해도 100만 원 이하이다.(아주 싼 조립 PC도 있다.) 그 사이 윈도우 10으로 교체하지 않았다면 보호나라 홈페이지(http://www.boho.or.kr)에서 무료인 ‘구름 OS’, ‘하모니카 OS’ 등 국산 개방형 OS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지만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안 그러면 윈도우 10을 구입하거나 그것도 부담스러우면 인터넷의 사용을 가급적 줄이고 확실한 사이트, 확실한 메일만 받아야 한다. 필요 없다면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것도 좋다. 브라우저는 익스플로러보다 크롬을 사용하는 것이 낫겠다. 이는 사용해 본 경험으로 이야기 하는 것이다.

 

우려되는 것은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사진 포함)이 해커의 랜섬웨어에 걸려 몸값을 주고서야 해독되게 되는 최악의 상황인데, 모든 파일을 그때그때 USB 메모리 등에 따로 백업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PC를 교체할 때까지 그렇게 쓰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도 백신 프로그램은 반드시 설치하여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고 수시로 바이러스 검사를 해야 한다. 열 명이 지켜도 도둑하나 막기 쉽지 않다는 말이 있다. 참, 갑자기 내 PC가 윈도우 7인지 아니면 버전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모니터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 윈도우(창 모양) 버튼을 누른 후 돋보기가 보이는 검색창에 ‘winver’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된다.

 

857b4af401b1e0388db981035e908a50_1580184286_7661.jpg
 

빌 게이츠의 마이크로소프트사는 OS로 큰돈을 벌었다. 돈 벌어 좋은 일에 쓰고는 있는데 한 때 위기를 맞았다. 이 위기는 어쩌면 지속될지도 모르겠다. PC와 서버용 OS에 안주하다가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용 OS를 놓쳤다. 구글이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의 대표적인 OS, 안드로이드를 먼저 만든 것이다. 데스크톱 PC의 판매는 줄고 있다. 모든 것이 스마트폰 같은 휴대기기로 옮겨가고 있다. 심지어 TV나 자동차의 지능서비스도 안드로이드용이다. 검색으로 구글이 클 때도 자만하고 있다가 뒤늦게 놀라 Windows Live Search(옛 MSN 검색)란 검색 엔진에 힘을 쏟아 빙(bing)을 만들었다. (여유)있을 때 잘해야 한다. 원컨대, MS는 아직 윈도우 10으로 갈아타지 못한 사용자들에게 아주 싸게 공급하면 좋겠다. 배려가 결국에는 득이 될 것이라 믿는다. 

언택트로 살기

댓글 0 | 조회 2,140 | 2020.04.08
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 /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이 ‘고향의 봄’을 노래한 이원수 선생이 뛰고 놀았다던 천주산에 올랐다. 창원시에서 … 더보기

엣지 컴퓨팅

댓글 0 | 조회 2,030 | 2019.10.22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로 가고 있다. 모든 길이 로마가 아닌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스마트폰으로 은행 일을 보고 증권투자를 하… 더보기

미나리꽝

댓글 0 | 조회 2,023 | 2021.04.13
술을 즐기는 사람들은 속풀이나 해장국으로 복국을 즐겨 먹는다. 요리사가 피를 뽑아 물에 잘 헹구어 해독을 한 복을 삶아 두었다가 국물에 삶은 복 덩어리를 뼈째 넣… 더보기

공인인증서

댓글 0 | 조회 1,989 | 2020.06.09
서류에는 서명 날인을 하는데 도장이 없으면 지장(指章)을 찍었다. 그러다가 어느 사이, 서명(사인이라는 signature)으로 인증이 가능했다. 그래도 중요한 문… 더보기

AESA 레이다 파동

댓글 0 | 조회 1,873 | 2020.10.13
중학생 때 광석검파기라는 것을 조립했다. 전원이 없어도 리시버를 통해 모기소리처럼 들리는 라디오 소리를 들으며 나는 전파라는 것에 고마워했다. 다른 방송 채널로 … 더보기

인간 정보시스템

댓글 0 | 조회 1,856 | 2020.04.15
정보시스템이란 말이 대단하게 먹히던 때가 있었다. 기업의 정보시스템을 경영정보시스템이라 했다. 정보시스템 앞에 단어를 붙이면 거의 다 통했다. 생산, 마케팅, 재… 더보기

OLPC로 날아라!

댓글 0 | 조회 1,822 | 2020.04.22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로 등교를 못하고 지난 4월 20일 초등학교 까지 모두 온라인 강의를 시작하였다. 입학식을 못한 신입생은 화면에서 처음 선생님을 보는 것이다… 더보기

바이러스가 무엇이 길래?

댓글 0 | 조회 1,757 | 2020.03.10
폐렴을 일으킨다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세상이 공포에 떨고 있고 그로 인하여 생활하기가 불편하고 불안하다. 방역과 소독, 치료 등으로 애를 먹을 뿐만 아니라 생활과 … 더보기

먼 나라 어느 시장의 연설

댓글 0 | 조회 1,707 | 2021.02.10
지구 반대편에 있는 말과 글, 입고 먹고 사는 것이 전혀 다른 어느 도시, 시장의 시정연설을 들었다. 다함께 잘 사는 내 고장, 다함께 잘 사는 우리나라를 넘어 … 더보기
Now

현재 윈도우 유감

댓글 0 | 조회 1,696 | 2020.01.28
마이크로소프트사(MS)가 1월 14일을 끝으로 ‘윈도우 7’에 대한 기술 지원을 중단하였다. 윈도우 7을 사용하는 PC는 앞으로 보안 업데이트(패치)를 받을 수 … 더보기

솜바지를 사고, 또

댓글 0 | 조회 1,684 | 2021.01.27
2년 전 겨울 들며 솜바지를 샀다. 거위 털, 오리털이 아닌 인조 솜이다. 10만원을 주고 3개를 사고도 돈이 남아, 이건 싸구려구나 했는데 입고 나가도 촌스럽지… 더보기

가족, 그 고귀한 선물을

댓글 0 | 조회 1,615 | 2021.02.23
지역의 한 방송에서 설날에 나갈 멘트를 해 줄 수 있겠느냐고 해서 감히 영광이라고 했다. 독후감처럼, 감명 받은 책의 구절을 소개하고 사람들에게 할 말을 덧붙이라… 더보기

페르소나(Persona)

댓글 0 | 조회 1,611 | 2020.05.27
J.C. 페니가 파산신청을 했단다. 그럴 때가 온 것이다. J.C. 페니는 텍사스 주의 근교 북부인 플레이노에 본사를 둔 미국의 백화점 체인이다. 이 회사는 미국… 더보기

5G 라고요?

댓글 0 | 조회 1,598 | 2019.07.09
1990년대 중반에 공개된 인터넷은 전 세계를 연결하므로 월드 와이드 웹이라고 불렀다. 인터넷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1)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더보기

10가지 전략 기술

댓글 0 | 조회 1,573 | 2019.12.10
80년대 후반에 ‘end-user computing의 효과성 제고 방안’ 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했다. end-user란 자기 업무를 스스로 처리하는 … 더보기

데이터 댐

댓글 0 | 조회 1,570 | 2020.07.15
그랜드 캐년을 보고 남쪽에서 라스베이거스로 오는 길엔 후버 댐을 건넌다. 콜로라도 강을 막은 후버 댐의 콘크리트 둑이 바로 길이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댐 아래로 … 더보기

홍합 우려먹기

댓글 0 | 조회 1,532 | 2020.11.24
손님이 북적이는 한 중국집은 얼큰한 짬뽕을 시키면 홍합을 껍데기 채 수북이 얹어 준다. 알을 까서 넣었다면 별로 표가 안 날 것이 인심 좋고 넉넉해 보여 사람들이… 더보기

아마존의 서비스 정글

댓글 0 | 조회 1,525 | 2020.05.12
봉이 김선달이 대동강 물을 팔아먹었다더니 책도 서점도 없이 책을 팔아먹은 최대의 인터넷 서점, 아마존 닷컴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새 책은 물론 헌책도 사고 팔 수… 더보기

쑥떡 쑥떡

댓글 0 | 조회 1,464 | 2021.06.09
한반도에는 ‘쑥’이란 글자가 들어가는 식물이 40여 종이나 있단다. 쑥떡을 해 먹는 일반 쑥(princeps)을 중심으로 개똥쑥(annua), 인진쑥(사철쑥 ca… 더보기

디지털이 기가 막혀!

댓글 0 | 조회 1,408 | 2020.03.24
코로나 바이러스로 새로운 흐름이 생겨났다. 어쩌면 자연스럽고 당연한 산물이기도 하다. 비말(飛沫)을 막으려니 서로 간에 멀리 떨어지거나 마스크를 해야 하는 것이다… 더보기

아프다니스탄!

댓글 0 | 조회 1,402 | 2021.09.14
미국이 철수하자 탈레반이 접수하고 IS가 한 발을 들여 놓은 아프가니스탄은 산스크리트어로 ‘동맹부족들의 땅’이라는 뜻인 우파가나스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고대엔 … 더보기

어느 일간지의 자살을 보며

댓글 0 | 조회 1,401 | 2020.12.08
이 1896년이다. 이 보다 25년 전인 1871년에 처음 생긴 일간신문 솔트레이크 트리뷴(The Salt Lake Tribune)이 150년 만에 2021년부터… 더보기

젓가락 예찬

댓글 0 | 조회 1,393 | 2020.08.11
조그마한 몸뚱이 위에 철길 같아 보이는 긴 두 줄이 있어 그게 무어냐고 물으니 젓가락이라 하더란다. 그림을 잘 그리는 어떤 사람이 한 스님의 인상을 스케치해서 준… 더보기

헤어질 결심, 떠나갈 작정

댓글 0 | 조회 1,375 | 2022.06.15
나 비싼 재료로 하라할까 싶어 경계한다. 사진을 보니 신경치료를 했다는 부분이 선명치 못하다. 그래서 문제가 생겼고 그것 때문에 잇몸이 붓고 아프다는 것. 다시 … 더보기

레몬과 멜론

댓글 0 | 조회 1,367 | 2020.10.29
나이 탓인지 어떤 물건이나 이름, 단어가 가물가물하면서 떠오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독립영화제로 유명한 선댄스 영화제를 만든 사람, 로버트 레드포드는 입에 돌기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