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뀌지 말았으면 하는 것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바뀌지 말았으면 하는 것들

0 개 1,308 한얼
누구에게나 삶의 패턴은 있다고 생각한다. 일종의 규칙, 루틴, 어겨선 안 될 불문율, (이런 조잡한 표현을 사용해도 좋다면) 징크스.
 
나는 두 말 할 것도 없고, 주변 사람들만 봐도 그렇다. 우리 모두에겐 각자 나름대로 인생을 사는 법칙이 있다. 매일마다 운용하여 벗어나지 않는 틀이, 쳇바퀴의 일부가. 그것은 아주 중요하다. 특정한 무변화와 일상의 반복은 어떤 개인에게 있어서는 의지할 수 있는, 의지할 수밖에 없는 벽이 되기 때문이다. 때때로 필수적인.
 
한결 같다는 것은 마음의 쉼터가 되므로 아주 중요하다. 그리고 기댈 만한 한결 같은 사람이 없다면- 글쎄, 그럼 적어도 정신적 도피처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건 모든 개개인에게 허락된 일종의 자유이자 권리라는 것이 내 지론이다.
 
그 머릿속 한 구석의 안락한 쳇바퀴가 어떤 것인진 사람마다 다르리라. 누구는 절대로 하루의 한 끼도 거르지 않는 것이겠고 (우리 엄마), 적어도 하루에 한 시간 정도는 악기 연습을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아빠의 경우) 무조건, 무슨 일이 있던 매일매일 운동을 빠뜨리지 않고 해야 안심이 된다던가 (내 동생이 이렇다). 일종의 미신이라고도 하겠지만, 우리가 그것을 믿고 따르면 그건 미신이 아닌 우리의 일부가 된다.

특히 나. 변화에 잘 버티지 못하는 나란 사람에겐 반복으로 인해 유지되는 질서가 아주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 

가령, 약속 장소에 항상 먼저 오는 것. 지각에 아주 치를 떠는 나는 어떤 약속이던 상관없이 최소한 10분은 먼저 와야 직성이 풀리고 안심이 된다. 언제나. 혹여 무슨 일이 생겨서 다른 사람을 기다리게 했다면 죄책감에 몸서리를 친다. 아무리 상대가 괜찮다고 해도, 내가 괜찮지 않으니까. 
 
이유는 잘 모르겠다. 시간이 금이라던가 하는 그런 고사적인 이유뿐만이 아닌, 다른 복합적인 까닭도 있는 것 같지만 그걸 분석해내기가 쉽지 않아, 혹시 묻거나 하는 사람에겐 ‘그냥 늦는 게 싫다’고 답하곤 하지만. 실제로 난 학교에서도 수업 시작 15분 전에 먼저 와서 기다리거나 - 심지어는 - 아예 한 시간쯤 전부터 미리 찾아와서는 강의실 앞에서 도시락을 까먹거나 책을 읽으며 기다리곤 했으니까. 절대 늦을 일은 없다는 것, 여태까지 흠 없이 진행되어온 하루의 일정이 망쳐지지 않았다는 안도감에 사로잡힌다.
 
그러니까 결국, 이렇게 철저하게 자신의 법칙에 집착하는 이유는 발단적으로도, 궁극적으로도 자기 자신을 위해서이다. 부정의 여지가 없다. 당연한 일이다.
 
법칙이라기엔 좀 뭣하지만, 내겐 또 다른 불문율(?)이 있다. 징크스라는 표현이 더 옳을 법한데, 숫자 2에 관련되기만 하면 운수가 지독히도 없어지는 게 그것이다. 정말이다. 2와 얽혀서 좋은 꼴을 본 적이 거의 없었다. 내가 두 번째로 뽑힌 스포츠 팀마다 지는 것에서부터, 매달 두 번째 주의 첫날마다 소소한 고통들을 겪게 되는 등. 하도 자잘해서 일일이 늘어놓을 순 없지만, 하나같이 세세하고도 쓸데없이 섬세해서 작아도 꽤 심적으로 괴로운 불행들만 잔뜩이었다. 지금도 그렇다. 숫자 2만 나오면 그래서 나는 등골이 오싹해진다. 아니라며 부정해보려 해도 또 2와 관련되어서 안 좋은 일이 생기면 아, 또, 하고 탄식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황의 흐름에 따른 변화는 물론 피할 수 없고 그것 또한 생존을 위해선 당연한 것이지만, 난 그래도 가급적이면 우리 자신은 변하지 않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관심사, 나라는 자아를 형성하는 그것까지 크게 뜯어고칠 필요는 어느 때도 없다. 아무리 바뀌더라도 핵심 속의 핵심만은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언젠가는 그것들이 우리를 구원해주리라 믿기 때문이다.

완벽과 자기 만족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493 | 2012.09.11
나는 그다지 여성스러운 편이 아니다. 외모를 가꾸는 것도 그다지 좋아하지 않을뿐더러, 관심도 없다. 학교에 츄리닝을 입고 가거나 하는 일은 일상다반사다. 화장도 … 더보기

Keep Calm and Carry On

댓글 0 | 조회 2,383 | 2012.09.25
좋아하는 문구 중에 이런 말이 있다. . 원래 영국에서 세계 2차 대전 동안에 국민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프로파간다로 쓰이던 슬로건이었는데, 재발견되어 새롭게 … 더보기

레몬 나무 - 행복의 상징

댓글 0 | 조회 2,023 | 2012.10.09
보기만 해도 기분 좋아지는 것들 중에 레몬 나무가 있다. 물론 빈약한 나무는 안 된다. 적어도 몇 년은 묵어서 완전히 크게 자란 것, 해마다 한 번은 열매가 주렁… 더보기

내 마음의 든든함

댓글 0 | 조회 1,812 | 2012.10.24
<강철의 연금술사>의 작가인 아라카와 히로무는 자신의 단행본에서 소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국립 도서관을 가지고 싶다고 말했다. “책! 원 … 더보기

엘더플라워 - 향과 맛

댓글 0 | 조회 10,165 | 2012.11.13
누구에게나 사람을 옴짝달싹 못하게 하는 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어떤 플레이버(flavour) 보다도 단박에 자신을 사로잡는, 무슨 맛을 제일 좋아하세요? 라… 더보기

회색 도시 - 향수(Ⅰ)

댓글 0 | 조회 1,122 | 2012.11.28
2008년, 나는 가족 방문을 위해 한국에 와 있었다. 겨울이었고, 매우 추웠다. 눈은 오지 않았지만 금방이라도 그럴 것처럼 흐린 날씨였다고 기억한다. 예전에 살… 더보기

회색 도시 - 향수(Ⅱ)

댓글 0 | 조회 1,089 | 2012.12.11
그렇게 안간힘을 다해 겨우 오르막길을 올라왔건만, 그 위에 있던 풍경은 나를 허탈케 했다. 언덕 위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잠시 내가 잘못 찾은 건 아닌가 싶었다… 더보기

Going Out

댓글 0 | 조회 1,175 | 2012.12.24
나는 바깥을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사람을 만나는 것도 즐기지 않는다. 내향성인 것이다. 여러모로 훌륭한 히키코모리의 기질을 타고 났다며 빈정거릴 지도… 더보기

동물들 - 우리의 친구

댓글 0 | 조회 1,258 | 2013.01.16
동물 애호 사상이 강한 서양권 국가에 살고 있는 만큼, 거리를 걷다 보면 동물을 데리고 있는 사람들이 눈에 자주 띈다. 주로 개나 고양이들이다. 크고 작고, 털이… 더보기

스마트폰 - 디지탈과 아날로그

댓글 0 | 조회 1,211 | 2013.01.31
디지털의 복잡하고 변화무쌍한 변화를 거부하고 ‘전화는 통화와 메시지만 보낼 수 있으면 장땡’이라고 여기던 내게, 얼마 전 커다란 변화가 일어… 더보기

시네마 - 은막의 마력

댓글 0 | 조회 1,047 | 2013.02.12
언제 가도 즐거운 장소 중엔 영화관이 있다. 동네의 비교적 작은 영화관도, 시골 구석의 박물관 같은 시네마도, 최신형 기계들과 대형 스크린을 갖춘 번화가의 영화관… 더보기

어느 해 겨울, 등교길

댓글 0 | 조회 1,328 | 2013.02.27
겨울의 등교길은 언제나 머릿속에 남아 있다. 매일매일의 시작이 똑같기에 한 덩어리로 엉겨 거대한 공이 되어 버린 식으로, 겨울 아침들은 그렇게 일체화되어 구분할 … 더보기

Piano - about music

댓글 0 | 조회 1,254 | 2013.03.13
다섯 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다. 거의 이십 년에 가까운 시간이 지난 지금도 그렇게 잘 치는 것은 아니지만, 처음 듣는 노래도 악보를 두고 꾸준히 연습하면 썩 들… 더보기

Tea - the drink of my heart

댓글 0 | 조회 1,153 | 2013.03.26
매일매일 즐기는 날마다의 일과 중에 차를 마시는 것이 있다. 다도라는 이름을 붙일 정도로 거창하거나 엄숙한 것은 아니다. 말 그대로 ‘티타임&rsquo… 더보기

종이에 대고 외치기

댓글 0 | 조회 1,005 | 2013.04.10
코리아 포스트에 450자짜리 수필을 연재하기 시작한 것도 벌써 10개월이 지난 것 같다. 1년이 된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데, 잘 모르겠다. 시간 관… 더보기

우정과 허망 사이

댓글 0 | 조회 1,103 | 2013.04.23
가끔 생각하곤 한다. 이십 대를 갓 넘긴 주제에 사람 관계가 하루살이의 하루만큼이나 덧없다는 사실을 아는 건 좋은 것일까 나쁜 것일까. 그렇다고 해서 물론 내가 … 더보기

차근차근, 우주적으로

댓글 0 | 조회 1,177 | 2013.05.14
주말에 시간이 남아, 모처럼 브라우니를 만들기로 했다. 나는 아주 신이 났다. 계란과 버터는 미리 꺼내두어 냉기를 제거해 두고, 양철 그릇과 주방용 저울과 재료들… 더보기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과시적 고통

댓글 0 | 조회 1,126 | 2013.05.28
약 두 달 전부터 허리가 아팠다. 처음엔 그저 욱신거리는 정도였지만 이제는 평소에도 지끈거린다. 특히 앉았다 일어날 때. 으으윽! 그 짜릿한 통증이라니. 이루 말… 더보기

음악에 관한 (아마도) 첫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1,344 | 2013.06.12
없인 살 수 없는 몇 가지 중에 음악이 있다. 물론 누구나 음악을 듣고 즐기긴 하겠지만, 내 경우엔 음악은 조금 더 특별하다고 자부하고 싶다. 음악은 마치 산소처… 더보기

Scars, scars into stars

댓글 0 | 조회 1,165 | 2013.06.26
덜렁거려서인지 또는 둔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자주 다치는 편이다. 하다못해 계단을 올라갈 때도 발을 헛디뎌서 미끄러지거나, 책을 읽으면서 모퉁이를 돌다가 허… 더보기

떠난다는 것과 머무는 것

댓글 0 | 조회 1,425 | 2013.07.09
6월의 끝자락에 도착한 한국은 매우 후덥지근하고 더웠다. 입국 심사를 마친 후 가방을 찾기 위해 걸어가면서 가장 먼저 느낀 감상은 그것이었다. 생각보다 더 덥네.… 더보기

무하전

댓글 0 | 조회 1,297 | 2013.07.23
정말 좋아하는 화가의 전시전이 있어 다녀왔다. 화가의 이름은 들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법한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로, 대표작으로는 <… 더보기

머리카락 - 내 것이면서 내 것이 아닌 것

댓글 0 | 조회 1,614 | 2013.08.14
한국에 와서 한 달이 지난 후, 머리를 잘랐다. 2년만이었다. 목까지 오지도 않도록, 귀 아래에서 찰랑거리도록 단칼(가위?)에 싹둑. 내 잘린 머리를 두고 많은 … 더보기

현재 바뀌지 말았으면 하는 것들

댓글 0 | 조회 1,309 | 2013.08.28
누구에게나 삶의 패턴은 있다고 생각한다. 일종의 규칙, 루틴, 어겨선 안 될 불문율, (이런 조잡한 표현을 사용해도 좋다면) 징크스. 나는 두 말 할 것도 없고,… 더보기

예쁜 것과 아픈 것

댓글 0 | 조회 1,583 | 2013.09.11
모든 여자들은 원하는 만큼 근사한 신발들을 가질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자니까. (물론 그렇다고 해서 내가 남성들의 자유로운 신발 소유권(?) 및 선택의 폭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