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도 독학이 된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골프도 독학이 된다

0 개 1,540 김영안

585d42738100b3bdb7cbd20543e686f8_1540503160_488.png
 

전세계가 노령화 시대로 접어들었다. 흔히들 노후대책으로 약간의 돈과 친구 그리고 취미가 있어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취미는 노후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바쁜 일상에 찌드는 중. 장년에도 필수 불가결인 것이다.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지친 육체와 정신에 휴식과 충전을 해주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취미가 주로 음악 감상 아니면 독서였다. 요즈음은 개성에 맞추어 각종 스포츠를 즐기지만 가장 무난한 것은 등산 또는 트램핑(tramping: 걷기)일 것이다. 걷기를 위해 제주 ‘올레’길을 비롯해 둘레 길, 산림욕 길 등 다양한 산책로가 개발되어 있다. 약간은 상류층의 귀족 스포츠인 골프도 즐기는 인구가 무시 못할 정도이다. 

 

우리 나라 경제인구 3,500만명 중 골프를 경험해 본 사람이 450만에 이르고 앞으로 어떤 취미 활동을 해 보고 싶으냐는 질문에 460만 명 정도가 골프를 1위로 꼽는다. 

 

그래서인지 서점에 스포츠 코너의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골프 관련 서적이다. 

 

수많은 교습서와 골프에 관한 책들이 무수히 나와 있고 계속 나오고 있다. 

 

대부분의 책이 레슨에 관한 책 아니면 골프를 통한 깨달음, 공감을 이야기하는 에세이 집이다. 교습서는 천편일률적으로 그립 셋업(set up)부터 이야기 시작한다. 

 

시쳇 말로 뭔 말인지는 알겠는데 도통 이해가 안 된다. 이러한 교습책은 ‘골프’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스윙 (swing)’을 가르치는 것들뿐이다. 골프에 있어서 swing의 기 술적인 완성도가 갖는 비중은 10-20%정도이다. 

스윙은 공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몸 동작, 즉 작대기를 휘두르는 동작이고, 샷(shot)은 그 휘두르기로 공을 치는 행위, 즉 휘둘러서 생긴 에너지를 공에게 전달하는 행위다.

 

오늘은 골프에 관련된 서적 두 권을 소개한다. 먼저 나의 졸저 ‘단숨에 100타 깨기(새빛: 2011)’은 교습서나 에세이가 아니다. 골프를 시작하고 싶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풀어 주는 책이다. 

 

골프를 시작하려 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문제는 과연 해야 할까? 이다. 

골프를 시작해야 할 것인가? 어떤 골프 채를 사야 할 것인가? 레슨을 받아야 할 것인가, 내기를 해야 할 것인가? 골프 관련 책을 읽어야 하는가? 등에 대한 10여가지 궁금증에 대한 해답을 소설 형식으로 풀어 나갔다. 그리고 중간에 골프에 관한 책들을 분야별로 정리해 소개를 해 스스로 골프를 배워 나가도록 구성한 책이다. 골프의 독학보다는 스스로 자기에 맞는 방법을 찾아 갈 수 있도록 만든 책이다.

 

585d42738100b3bdb7cbd20543e686f8_1540503174_5765.png
다음으로 소개할 책은 김 헌의 ‘골프도 독학이 된다 (양문: 2012)’이다. 그는 골프전문사이트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으며, 저서로 ‘내 안의 골프본능’, ‘스윙과 삶을 다스리는 마음골프’, ‘골프 내공’, ‘골프 천재가 홍대리’(다산북스: 2011)’등 골프관련 저서가 많다. Seri CEO에서 <마음 골프> 인터넷 강좌 개설했고 마음 골프라는 새로운 교육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골프라는 운동은 복잡한 룰과 에티켓이라고 하는 상대에 대한 배려, 골프에서 스코어를 만들어 내기 위한 전략과 전술들, 도구에 대한 이해, 멘탈 게임 등등 도무지 혼자서 알아서 하라고 내버려둘 일도 아니고, 한 사람을 가르치는 것도 가격 대비 효율 측면에서 불가능한 양이다. 그래서 체계적으로 코치를 받아 혹독한 훈련을 거쳐야만 되는 운동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리고 한국 골프 교육의 고질병은 잘못된 교육 목적, 롱 게임 중심주의, swing 만능주의, 지적질 중심 lesson, 구분 동장 lesson, 필드 골프로의 안내 부족, 사후관리의 비과학성 등으로 그 효과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잇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저자는 ‘독학’이라는 것으로 풀어 나갔다. 사실 예전에는 골프를 독학으로 배운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하지만 각종 동영상과 스크린 골프의 등장으로 독학이 가능해진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레슨을 받는 스윙은 골프 전체의 일부에 지나지 않고 그 외의 요소들이 너무나도 많아 이 모든 것을 레슨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어쨌든 스스로 터득하든, 책을 통해 배우든, 하나하나 깨우쳐 가야 한다.  

 

골프는 굿 샷으로 즐기는 게임이 아니라 유효 샷으로 즐기는 게임이다. 한 번 잘하는 것 보다는 지속성을 지닌 스윙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골프의 기본인 스윙을 익히는 최소한의 레슨은 반드시 필요하다. 서점에 골프 기술에 관한 책이 즐비하다. 그 중에 하나만 선택해 기본을 익히면 된다.

 

고전적인 교습 방법에 많은 문제가 있지만 오로지 독학만을 고집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 교습을 결합한 자기만의 독특한 방법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리고 이론과 연습도 중요하지만 실전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한국에서 골프 실전 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지만 이곳에서는 너무 쉽게 그리고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새로운 취미로 골프를 권하고 싶다. 

소수점을 잘못 찍어 유명해진 시금치

댓글 0 | 조회 2,222 | 2018.09.28
세계사 오류사전경제가 어려운 것은 사실인 것 같다. 예전에 아껴 쓰고, 나눠 쓰고, 바꿔 쓰고 다 쓰자는 취지의 ‘아나바다’운동이 되살아 나고 있는 듯하다. 그 … 더보기

나는 죽을 때까지 재미있게 살고 싶다

댓글 0 | 조회 2,186 | 2018.12.21
‘베스트 엑조틱 메리골드 호텔 (Best exotic Marigold Hotel)’라는 헐리우드가 만든 영화로 노년의 영국인이 인도에서 제2의 삶을 사는 일종의 … 더보기

독도 인 더 헤이그

댓글 0 | 조회 2,159 | 2017.03.08
이 번 주는 따끈한 책이 아니라 따끈한 영화 이야기로 시작을 하려 한다.영화‘은교’는 선정적인 장면이 눈요기는 되었지만 그 보다는 박범신의 소설‘은교(:문학동네-… 더보기

한국인의 의식구조

댓글 0 | 조회 2,019 | 2017.07.25
소크라테스가‘너 자신을 알라’라고 할 정도로 우리는 우리에 대해 너무 모르고 있다. 나 자신도 잘 모르는데 우리 나라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물론 학창 시절 … 더보기

노자 잠언록

댓글 0 | 조회 1,950 | 2017.08.22
니체는 도덕경에 대해‘영원히 마르지 않는 샘물처럼 값진 보물들로 가득 차 있어서, 두레박을 내리기만 하면 그 보물을 쉽게 얻을 수 있다’라고 했다.서양의 대 철학… 더보기

추사를 넘어

댓글 0 | 조회 1,870 | 2017.05.09
요즈음 제주에는 중국의 보복으로 중국 단체관광객이 줄었지만, 그저 단순히 단체로 우르르 떼지어 몰려 다니는 관광이 아니라 가까운 친지들과 주제를 가지고 가는 테마… 더보기

21세기 손자병법

댓글 0 | 조회 1,869 | 2017.09.26
인문학 산책 (16)중국의 춘추·전국 시대에는 백가쟁명(百家爭鳴)으로 각종 사상이 난무했던 시절이다.그 당시 정립되었던 사상으로 중국의 으뜸 사상인 공자의 유교,… 더보기

웃는 남자

댓글 0 | 조회 1,844 | 2018.05.11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점이 있지만, 불행한 가정은 제각각 다른 모습으로 불행하다’.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리나>의 첫 문장이다.주인공인 한 여성… 더보기

먼 나라 이웃 나라

댓글 0 | 조회 1,842 | 2018.05.26
예전에는 만화 가게가 성행을 했을 때가 있었다. 그 당시에는 아이들이 오락을 즐기는 유일한 곳이었다. 학교가 끝나면 가방을 던져 놓고 한 걸음에 가는 곳이 바로 … 더보기

괴테의 말

댓글 0 | 조회 1,783 | 2018.04.26
세상을 살다 보면 아주 가끔 가슴에 딱 와 닿는 말이 있다. 속칭 명언들이다.그리고 짧은 한 마디가 비수가 되어 가슴에 꽂이기도 한다.그래서인지 바쁜 현대인들에게… 더보기

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되었다

댓글 0 | 조회 1,780 | 2018.11.15
나의 주말의 일과는 영화로 시작된다. 최근 개봉하는 헐리우드 영화가 그 대상이다.영화를 보면서 줄거리도 중요하다. 하지만 번역에 대해서도 관심도 많다. 원어를 번… 더보기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댓글 0 | 조회 1,751 | 2017.10.11
우리는 지금 종교 다원주의 속에 살고 있다. ‘종교 다원주의(religions pluralism)’는 말 그대로 특정 종교의 절대성보다는 다양한 종교의 동시적 존… 더보기

열국지(列國誌)와 삼국지(三國志)

댓글 0 | 조회 1,740 | 2017.11.08
인문학 산책 (18)소설로 중국 역사를 알린 책은 삼국지와 열국지이다.나의 독서 취향을 각인시킨 책이 바로 열국지였다. 그 이유는 내가 번 돈으로 처음 사서 읽은… 더보기

일본은 없다

댓글 0 | 조회 1,716 | 2018.01.17
전 세계가 영토 문제로 시끄럽다. 어떻게든 자국에 유리하게 주장을 하고 있다.그 중에서도 특히 일본은 유난하다.일본은 우리와 독도, 중국과 센가꾸 열도, 필리핀과… 더보기

우리가 몰랐던 세계 문화

댓글 0 | 조회 1,662 | 2018.06.16
그래도 좋은 책을 만나면 그 주제에 대해 뭔가 내 생각을 남고 싶은 것이 이제는 습관이 되어 버린 것 같다. 수 많은 책들 중에서 이번주는 조금 색다르고 참신한 … 더보기

명필....

댓글 0 | 조회 1,638 | 2017.05.23
우리는 서예의 원조는 중국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서체(calligraphy)의 원조는 아랍어이다. 아랍어 글 자체가 예술이고, 모든 이슬람 예술의 근간이 … 더보기

생로병사의 비밀

댓글 0 | 조회 1,632 | 2018.10.11
인간은 누구나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은 욕망이 있다. 웰빙(well-being) 시대에 점점 노령화 되는 과정에 건강에 관심이 높아졌다. 비단 노인뿐만 아니라 누… 더보기

이슬람

댓글 0 | 조회 1,619 | 2018.03.15
전세계 17억 신도를 가진 이슬람은 기독교, 불교와 더불어 세계 3대 종교 가운데 하나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슬람에 대해 그다지 많은 것을 알고 있지 않다.그나… 더보기

서양은 '차 더 마실래?', 동양은 '더 마실래?'

댓글 0 | 조회 1,618 | 2018.06.28
동과 서이제 세계는 하나다. 국경이라는 물리적인 경계가 사라진지 오래다.이러한 변화 속에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이제는 무한 경쟁 시대가 되… 더보기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댓글 0 | 조회 1,597 | 2018.11.28
세상은 항상 정(正). 반(反). 합(合)의 과정을 순환하면서 발전해 나간다.그리고 다시 이런 순환의 과정을 겪으면서 사회는 한 발짝씩 앞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더보기

전형필

댓글 0 | 조회 1,578 | 2017.06.14
이 번주는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숨은 애국자 두 분을 소개하고자 한다.우리 역사 속에 수많은 구국의 영웅들이 많이 있다. 두 분은 그런 시대의 사람이 아… 더보기

유대인 이야기

댓글 0 | 조회 1,570 | 2019.02.22
두꺼운 책이라 오래 걸렸다. 무려 662 페이지에 달한다. 이런 책들은 서울에서는 좀처럼 엄두가 안 난다. 통상 서울에서는 이동간에 휴대해서 읽고 있는데 너무 부… 더보기
Now

현재 골프도 독학이 된다

댓글 0 | 조회 1,541 | 2018.10.26
전세계가 노령화 시대로 접어들었다. 흔히들 노후대책으로 약간의 돈과 친구 그리고 취미가 있어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취미는 노후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바쁜 일상… 더보기

탈무드(Talmud)

댓글 0 | 조회 1,517 | 2018.02.28
종교문제는 다분히 논쟁을 일으킬 소지가 많은 주제이지만 한 번쯤은 짚고 넘어 가야 할 주제이기도 하다. 그 첫 번째로 유대인을 택했다.유대인은 자타가 공인하는 지… 더보기

사자소통, 네 글자로 끝내라

댓글 0 | 조회 1,487 | 2017.12.06
인문학 산책 (20)서양의 격언이나 잠언과는 달리 동양에는 4자로 압축한 사자성어(四字成語)라는 독특한 글이있다. 서양의 문자는 표음 문자라서 단어가 깊은 뜻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