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뉴질랜드에 이민 오지 말아야 할 사람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31] 뉴질랜드에 이민 오지 말아야 할 사람들

0 개 3,185 KoreaTimes
***** 나와 다른 아이들 *****

애들과 함께 햄버거 체인점에 갔다. 작은 애가 Combo를 시키는데 주문사항 3, 4가지가 추가된다. Drink는 Rasp-berry(없어서 결국에는 다른 것으로 시켰지만)로, 얼음은 빼고, Sauce는 Spicy로 등등. 필자는 지금도 Drive-in-Thru는 하지를 않는데 그 이유가 이민 초기에는 얼굴 맞대고 하는 영어도 잘 안 들리는 판에 스피커로 왕왕거리면서 하는 영어가 잘 들어올 리가 만무하기에 뒤 차 대기하고 있는데 망신당하느니 아예 주차하고 카운터에 가서 주문해서 받아 갔고 다시 차를 타고 가는 것이 훨씬 맘이 편했던 탓이다.

어느 정도 영어가 귀에 들어오는 시점에서도 잘 이용을 안 하게 된 것은 귀찮게 자꾸 물어 보는 종업원 때문이었다. 그냥 콤보7 하면 알아서 주고 나도 알아서 먹으련만 요구도 하지 않았는데 무슨 드링크할거냐, 소스는, 얼마만 더 내면 큰 사이즈 드링크 나오는데 등등.

반면 작은 애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원하는 것이 없으면 짜증도 낼 정도이니 아버지와는 아무래도 다른 세대인 듯하다. 이는 단순히 그 애가 영어를 잘 구사해서라기 보다는 아버지와는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듯한  느낌이다. 이 아이를 데리고 중국식당 가서 빨리 나오게 하기 위해 ‘모두 자장면으로 통일'해서 일괄적으로 아버지가 주문했다가는 상당히 컴플레인이 들어올 것이다. 이제 그 애들의 시각을 내가 수용해야 할 때라는 생각을 해본다.

***** 다양한 뉴질랜드 사람들 ******

위의 아이 같은 경험을 이 곳 키위들을 접하면서 종종 한다. 2달러짜리 물건을 사면서도 이것 저것 따져 보고 그리고 산 후에도 반품을 요청하는 손님들에 대한 사례들을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고객들로부터 듣는다. 이들을 “아따! 2달러짜리 사면서 되게 말 많네!” 했다가는 당장 커뮤니티 차원에서 항의데모가 있을지 모를 일이다. 물론 이 곳 토박이 키위 업소주들도 이런 고객들을 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그 고객이 가고 나서 뒤돌아 서서 한숨을 쉬더라도 면전에서 불쾌감을 나타내지는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이 사회에는 그만큼 상대방이 나와 다르고 따라서 그 사람의 권리와 의견은 존중되어야 한다는 공통된 인식이 깔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더 나아가 뉴질랜드에 이민 온 소수민족에게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장려하기 위하여 기금까지 지원해 주는 이 사회일 정도로 나와 다른, 또 주류사 회와 다른 비주류에게도 따뜻한 시각을 견지하는 이 뉴질랜드는 열린 사회임을 느낀다.

***** 적대적으로 닫혀 있는 일부 한국인들 *****

반면 이들보다 늦게 뉴질랜드 호에 승차하는 일부 한국인 이민(희망)자들에게서는 기존 탑승객과는 다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종종 보게 된다. 뉴질랜드에 오기 전부터인지 아니면 오고 나서부터인지 모르지만 자신의 세계관만을 고 집하면서 이 뉴질랜드 사회를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 자기와 다른 남들이 함께 이 세상을 살 수 있고 실제 살고 있는 현실을 부정하는 자들이다.

몇 주전에 한 고객이 상담 차 방문해서 얘기를 나누는 도중 그 분께서 대뜸 ‘어느 교회 나가세요?’ 물어 보는 것 이다. “저 교회 안 나가는데요”라고 답하자 기가 막히다 는 듯한 표정으로 한참을 쳐다보는 것이다. 그러면서 어떻게 아직까지 교회를 안 나가느냐면서 예수 믿으라는 얘기를 시작하는 것이었다.

하도 기분이 나빠 상담하고 싶지 않으니까 사무실을 나가 달라고 요청한 적이 있었다.
필자가 다른 종교를 믿고 있는 신자일 수도 있는데 어떻 게 무턱대고 그러한 태도를 취할 수 있는지 지금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 사실 그 전에도 이와 유사한 경험을 한두 번 더 했었다. 만약 필자가 그 분들에게 이민컨설팅 하다 말고 개신교말고 다른 종교를 믿지 왜 교회를 나가느냐고 말한다 면 과연 어떻게들 생각했을까? 참으로 남이 자기와 다를 수 있음을 그리고 그러한 공존이 존재함을 배우지 못했음이 아닐 수 없다.

*****  단군상의 목을 자른 자들은 뉴질랜드 오지 말라 *****

몇 달 전 뉴스를 통해 한국의 어느 도시에 있는 단군상의 목이 하루아침에 잘라진 뉴스를 본적이 있다. 이런 유사한 사건이 이전에도 있었고 그 배후가 단군의 존재를 우상시 여기면서 계속적으로 부정해온 특정 종교집단 소속의 소행 임을 추정할 수가 있었다.

정말로 야만적 집단/개인이 아닐 수 없다. 자신의 신념과 주장이 다르다 하여 물리적인 폭력을 그것도 무엇이 찔리는지 남이 보지 않는 야밤에 실행하는 그런 집단……….

필자는 개인적으로 이런 집단소속의 한국사람들은 절대로 이 곳 뉴질랜드에 오지 말아야 한다고 믿는다. 이들은 뉴질 랜드가 다양한 인종, 종교 그리고 문화의 이민자를 받아 들이면서 같은 뉴질랜더라는 공통분모를 통해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로 나아가려는 것에 암적인 요소로 작용할 부류들이다.

이런 사람들보다는 자신을 싫어하는 것을 알고 있더라도 아시안커뮤니티에 나아가 자신이 왜 아시안 이민을 반대하는지 당당히 연설하는 윈스턴 피터스가 이 뉴질랜드 사회에 도움이 되고 기존 한국인 이민사회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이슬람을 믿는 사람들에 의해 테러가 런던에서 행 해졌을 때 이 곳 뉴질랜드 이슬람 사원에서도 반달리즘과 같은 행태가 벌어졌는데 이는 곧 통제력없는 10대 백인 청소년 들에 의해 행해진 것이 드러났다.

***** 세상의 다원성에 대한 인정여부를 조회하자 *****

이들은 어리기에 그렇다 치더라고 조직적으로 이런 행태를 자행하는 집단들은 도무지 이 사회가 다원주의 사회라는 것을 인정치 않으려는 자들의 조직된 집단이기에 심각성이 크다고 본다. 자신이 믿는 신만이 유일한 선이고 그렇지 않은 자들은 절대 악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가진 자들은 절대로 뉴질랜드에 발을 들여놓아서는 안된다는 것이 필자의 신념이다. 우스갯소리이지만 범죄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경찰신원조회만 할 것이 아니라 다원주의적 사고를 가지고 세상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고의 소유자인지도 가능하다면 조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비단 이들뿐 아니라 한국인들 중에 이러한 다양하고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지 못한 자들이 적지 않은 것같다. 지난 번 황우석 파동 때도 가족간에도 어느 편이냐를 가르고 이에 따라 황빠, 황까하면서 나중에는 왜 논쟁을 하는지도 잊다시피 그저 상대방에 대한 증오만 남은 상태에서 완승을 위해 상대를 전적으로 부정하려는 태도로 일관하는 사람들, WBC 야구 대회가 가진 의미를 망각한 채 일개 일본 야구선수에 불과한 이치로를 대한민국의 공공의 적으로 죽이고 싶도록 증오하는 광적인 사람들, 또 이와 다른 측면에서 몇 주전 팔 레스타인 국민을 모두 테러리스트라고 규정하는 주한 이스 라엘 대사의 강연회를 역설적으로 학문과 발표의 자유라고 하면서 옹호한 한국의 모 대학(사고의 다양성을 옹호한 다는 명분이지만 실제로는 세계의 다원성을 전면 부정하는 태도이다) 등등.

*****  같이 사는 사회, 뉴질랜드 *****

얼마 전 노스쇼어 시에서 주최한 아프리카 난민 초청강연에 참석할 기회가 있었다. 말 그대로 난민은 이민자와 달리 이 나라에 도움되는 것이 없다. 돈과 기술을 가져오지 못함은 물론 오히려 그들의 정착에 돈과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받아들이고 이웃으로 정착시키려는 뉴질랜드인들의 노력은 어디에서 기인할까?

나와 종교, 피부색, 문화 그리고 언어도 다르지만 한 하늘 밑에서 같이 숨쉬고 살아가는 나와 같은 사람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 아닐까 생각한다.  

[356] 한국 고졸 출신자의 뉴질랜드 이민 방법은?

댓글 0 | 조회 6,554 | 2007.05.08
<사례 1> 현지 뉴질랜드 직장에 취업비자를 가지고 일을 하고 있는 홍 길동씨. 한국에서 상고를 졸업한 30대로서 나이 점수 25점에 경력점수 30점(… 더보기

[373] 신청자도 이민절차에 대한 이해를 가지자

댓글 0 | 조회 6,248 | 2008.01.30
이민신청은 일생에 있어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일임과 동시에 인생의 향방을 좌우할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가능한 완벽한 일 처리를 요한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접 하… 더보기

[335] 자주 묻는 배우자 초청이민 관련 문답

댓글 0 | 조회 4,872 | 2006.06.26
◆ Q. 저는 6개월 전에 기술이민으로 영주권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곧 여자친구와 결혼할 예정입니다. 누가 그러는데 2년간 같이 살지 않으면 배우자 영주권이 나오… 더보기

[366] 영주권 받은 이후 고려할 사항들

댓글 0 | 조회 4,530 | 2007.10.09
<진짜 영주권?> 뉴질랜드에서 받았든 한국에서 받았든 최초 받은 영주권은 어떤 분들 표현대로 이후 신경을 전혀 쓰지 않아도 되는 완벽한 영주권이 아닌 … 더보기

[314] 탈렌트 비자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4,460 | 2005.09.28
***** 탤런트 비자, 과연 마이다스의 손인가? ***** 뉴질랜드 이민에 관심은 많으나 영어장벽으로 인해 또는 적정한 자격(학력)이나 경력의 미비로 인해 고민… 더보기

[341] 뉴질랜드 영주권을 취득하는 가장 빠른 길은?

댓글 0 | 조회 3,864 | 2006.10.09
90년 대초 영어시험이 없던 시절에는 영주권 하면 당연히 일반이민(현재 기술이민)을 생각했었다. 그러던 것이 조금씩 영어조항이 강화가 되면서 현재와 같이 모든 카… 더보기

[365] 취업비자(Work Visa)에 대한 이해

댓글 0 | 조회 3,673 | 2007.09.25
<취업비자와 취업허가의 상관관계> 한국 말로 '취업비자'라고 하지만 좀더 들여다보면 다양한 용어와 개념들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취업비자는 '… 더보기

[354] 재 입국 비자(Returning Resident's Visa) 문답…

댓글 0 | 조회 3,340 | 2007.04.11
Q : 안녕하세요? 저는 금번 기업이민을 통하여 영주권을 받았습니다. 그동안 너무 힘들었기 때문에 가게를 팔고 당분간 쉬고 싶습니다. 사업을 통하여 영주권을 받았… 더보기

[371] 뉴질랜드 이민, 2007년 변경사항들

댓글 0 | 조회 3,324 | 2007.12.20
2007년에 변경된 이민법 조항 중 신청자에게 직접적으로 해당하는 부분들을 발췌하여 요약해본다. 1. 새로운 기술이민 점수배정표 적용 (2007년 7월 30일 시… 더보기

[372] 2008년 뉴질랜드 이민을 준비하는 분들께

댓글 0 | 조회 3,319 | 2008.01.15
<영어의 준비> 모든 이민 카테고리에 있어 영어 요구조항이 있는 현 뉴질랜드 이민법이므로 이민 희망자 분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소프트 랜딩을 위해서 한국… 더보기

[369] 한국인 3,40대의 유학 후 이민, 어려워지는가?

댓글 0 | 조회 3,269 | 2007.11.28
<Form time to time의 의미는?> 2007년 11월 26일부터 발효되는 기술이민을 주로 한 이민법 변경이 발표된 지 2주가 지났는데 직접적… 더보기

현재 [331] 뉴질랜드에 이민 오지 말아야 할 사람들

댓글 0 | 조회 3,186 | 2006.04.24
***** 나와 다른 아이들 ***** 애들과 함께 햄버거 체인점에 갔다. 작은 애가 Combo를 시키는데 주문사항 3, 4가지가 추가된다. Drink는 Rasp… 더보기

[360] 뉴질랜드 기술이민 skilled employment 개념이 변한다

댓글 0 | 조회 3,045 | 2007.07.09
<ANZSCO의 도입> 지난 2007년 6월 6일 발표된 기술이민 영주권 신청 카테고리의 수정 계획안에는 보다 투명하고 객관적인 기술고용(Skilled… 더보기

[333] 한국인 기술이민 신청, 기각율 너무 높다

댓글 0 | 조회 3,013 | 2006.05.22
<기술이민 의향서 접수 현황, 5월 10일> 의향서 신청건수국내해외 합계 140점 이상 30969 378 잡오퍼 있는 경우 30849 357 잡오퍼 없… 더보기

[353] 뉴질랜드 이민 현장에서

댓글 0 | 조회 2,967 | 2007.03.28
<이민은 준비된 자의 몫> 고국 TV의 해외이민자 성공기를 다룬 프로그램들 중에는 소위 적수공권, 무일푼으로 이민 가서 경제적으로 크게 성공한 사례들도… 더보기

[363] 뉴질랜드 언론 그리고 교민지에 대한 단상

댓글 0 | 조회 2,926 | 2007.08.28
Made in China가 유죄? 지난 몇 일간 연이어 장난감에서부터 의류에 이르기까지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의 결격성이 신문지상을 장식하고 있다. 중국에서 만든… 더보기

[367] 소리없이 강하다, 필리핀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2,894 | 2007.10.24
<재미없는 2007년> 지난 6월 스페인에서 열렸던 어메리카 컵 결승전에서도 팀뉴질랜드가 접전이라 할 수 없는 성적으로 스위스 알링기팀에게 져 컵 탈환… 더보기

[368] 11월 변하는 NZ 이민법 조항들

댓글 0 | 조회 2,893 | 2007.11.12
1. 부모초청 관련 이민법 이미 지난 11월 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부모초청 영주권 신청 시 스폰서가 되는 자녀(배 우자 포함)의 연간 소득이 NZ$29,897… 더보기

[343] 영주권이 뭐길래…

댓글 0 | 조회 2,878 | 2006.10.24
***** 검게 타 들어가는 속***** 다른 비즈니스 하시는 분들도 여러 형태의 고객들을 만나시겠지만 필자 역시 다양한 고객들을 접하게 된다. 특히 이민컨 설팅… 더보기

[348] 뉴질랜드 이민을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댓글 0 | 조회 2,872 | 2007.01.15
***** 크리스마스 선물은 없었다 ***** 변경의 필요성이 계속 회자되던 가운데 작년 7월 공개 세미나 석상에서 이민부 장관이 투자이민법 변경을 골자로 한 관… 더보기

[352] 장기사업비자, 다시 부활 하는가?

댓글 0 | 조회 2,845 | 2007.03.12
자극적 제목? 사실 필자는 이 글을 적는 시점까지 장기사업비자 제도가 부활할지 어쩔지에 대한 답을 할만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미리 말씀드린다. 그럼에도 불… 더보기

[323] 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십니까?

댓글 0 | 조회 2,845 | 2005.12.22
***** 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십니까? ***** 얼마전 회사를 찾아온 고객이 있었다. 올해 신법하에서 장기사업비자를 받고 최초 주어진 9개월 동안 해야 할 … 더보기

[355] 뉴질랜드에 있어 한국인 이민자의 의미는?

댓글 0 | 조회 2,833 | 2007.04.24
<한국이민자는 아직도 아웃사이더? > 몇 일전 미국 버지니아 주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의 범행인이 한국출신 학생으로 밝혀졌다. 이… 더보기

[345] 유학 후 이민을 생각한다 (유학, 그리고 취업후 이민)(Ⅱ)

댓글 0 | 조회 2,827 | 2006.11.27
*****무엇이 유학 후 이민을 망설이게 하는가?***** 다른 나라 사람들은 모르겠지만 같은 한국인으로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영주권은 가능한 빨리 받으려는 … 더보기

[361] 유학 후 이민에 암운이 드리우는가

댓글 0 | 조회 2,813 | 2007.07.23
<7월 30일부터 변경되는 내용들> 7월 10일 발표되어 7월 30일부터 시행될 예정인 이민법의 부분적 변경 내용의 골자는 대략 아래와 같다. -기술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