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대학 생활,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성공적인 대학 생활,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0 개 1,229 엔젤라 김
12학년인 자녀가 “그 수업은 들어가도 별로 하는 것도 없어” 하며 수업을 빼먹는 일이 빈번해졌습니까? 지난 번 칼럼에서도 12학년 2학기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알차게 보낼 것인가 하는 말씀을 드린 바 있습니다만, 12학년 이학기를 여영부영 놀면서 보내기보다 대학생활을 준비하는 기간으로 삼았으면 하는 바램으로 앞으로 몇 주간 여러 가지 주제로 대학 생활 준비를 지금부터 하라는 내용으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가령 운동 선수가 한 달 후에 있을 세계 선수권 대회를 오늘부터 준비한다고 합시다. 그것이 과연 말이나 되는 이야기겠습니까? 몸의 컨디션을 조절하고 그것을 오래 유지해 몸에 베어 있어야지 실전에서 잘 할 수 있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일 것 입니다. 대학 생활도 다르지 않습니다. 고등학교 삼년 반동안 열심히 해온 공부, 계속 보아온 시험들, 진 빠지는 대학 지원 과정들, 그런 것들을 이제 손에서 놓아버리고 풀어진 생활을 지속하다가는 대학에 들어가서 제대로 기량을 발휘할 수 없는 것입니다. 무슨 스위치를 켰다가 껐다가 하듯이 하루 아침에 “공부 모드”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운동 선수들이 컨디션을 “유지” 하듯이 확립된 학습의 습관을 유지 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첫 째, 규칙적으로 생활하고 규칙적인 시간을 정해서 공부하십시오. 12학년 2학기는 물론 대학 입학전 여름 방학까지도 시간을 정해놓고 적어도 두 시간 이상 매일 집중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지십시오. 운동 선수들이 절대 풀어지지 않고 몸을 관리하고 규칙적인 운동 시간을 유지하듯이 학습에 있어서도 벅찬 대학의 공부 양을 미리 준비하기 위해서 계속 “공부 모드”를 유지해야 하는 것입니다. 특히 많은 학생들이 아무 때나 자고 필요할 때 일어나는 생활을 하는 데 당대의 훌륭한 인물들의 전기를 보면 모두가 아침 일찍 일어나고 일찍자는“모닝형”인간이었음을 기억하십시오. 페이스북이다 컴퓨터다 파티다 하며 새벽 거의 다 되서 잠이 들고 늦잠자는 생활을 지속하다가는 대학 생활을 제대로 하기 힘들 것입니다.

둘 째, 독서를 지속하십시오. 책을 좋아하는 학생들이라면 시키지 않아도 더 여유로와진 시간을 활용해서 책을 읽을 것입니다. 그러나 책이랑 별로 친하지 않은 학생들은 대학 생활의 성공 여부가 읽기 능력에 있음을 기억하고 시간을 정해서라도 책을 읽을 것을 권하고 싶습니다. 정 책 읽는 것이 싫다면 자신이 좋아하는 잡지나 만화나 뭐래도 계속해서 읽으십시오. 자꾸 읽다보면 여러 방면에 흥미가 생길 것이고 그러다 보면 독서의 내용도 달라질 것입니다. 계속 읽으십시오. 대학에서 소화해야할 독서량은 고등학교 공부와는 비교할 수 없습니다.

세 째, 시간 관리 연습을 하십시오. 인생 전체의 성공 여부가 이것에 달려있다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시간 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아침부터 2시까지 짜여져 있는 수업을 하고 그 이후에도 이런 저런 방과후 활동으로 이미 스케줄이 잡힌 생활을 하던 고등학교와는 달리 대학에 들어가면 수업은 하루에 서너 시간 정도, 그 나머지 시간들은 말하자면 자유 시간입니다. 그 시간들을 어떻게 분배해서 숙제하고 책읽고, 엄마가 해주던 빨래와 방 정리를 하고, 혹은 안하고는 학생 재량입니다. 최악의 경우는 그 “자유” 시간들을 놀고 즐기다가 시험 기간이 되어 밤새고 시험을 망치는 경우입니다. 아직 그런 것을 해보지 않은 학생들이라면 플래너를 하나 구입하십시오. 지금부터 시간 계획을 짜서 생활하는 것을 연습하십시오. 이것도 하루 아침에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월별 플래너, 주간 플래너, 일간 플래너에 할 일들을 적고 시간을 적절히 분배하는 연습을 지금부터 꾸준히 하십시오. 이 습관은 훨씬 생산적으로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 아니라 평생의 값진 습관이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쓰는 것을 생활화하십시오. 대학에서 써내야 할 페이퍼와 프로젝트가 많이 있다는 것은 많이 들어서 아실 것입니다. 쓰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지 않고 요즘 학생들처럼 휴대폰 문자보내기, 페이스북에 코멘트하기 댓글 달기가 하루에 글을 쓰는 전부라면 대학에 간들 갑자기 학문적인 글을 쓰는 일이 어렵기만 할 것입니다. 북저널이 되었던 일기가 되었던 장문으로 매일 규칙적으로 글을 쓰고 생각을 표현하는 연습을 하십시오.

오늘 드린 조언들은 사실상 12학년 이학기를 보내는 학생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어려서부터 습관들일 수록 훨씬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사실상 다 아는 이야기이고 새로울 것도 없는 말들입니다. 문제는 듣기는 쉽지만, 알기는 하지만, 실천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천하는 학생은 분명히 성공할 것입니다.

올바른 학습 습관과 대학 생활

댓글 0 | 조회 1,055 | 2013.03.26
대학에 가서 학생들이 습득하고 배워야 할 중요한 일 중에 하나는 훌륭한 학습 습관을 기르는 일입니다. 아니 중요한 정도가 아니라, 대학 생활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 더보기

대학에서의 과외 활동

댓글 0 | 조회 1,066 | 2013.09.24
- 강의실에서 배울 수 없는 것들을 배우는 기회입니다 - 대학에 가는 목적은 교육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어떤 사람은 특정 직업을 염두에 두고 그것에 관한 훈련과 … 더보기

공동 지원서 에세이 문제(2)

댓글 0 | 조회 1,097 | 2019.01.31
“살면서 만나는 각종 어려움으로 부터 우리가 배우는 교훈은 후에 성공의 초석이 될 수 있다. 어려움, 장애, 실패등을 경험한 때를 기억해 보라. 그러한 경험이 학… 더보기

공동 지원서 에세이 문제(3)

댓글 0 | 조회 1,105 | 2019.02.26
몇 주전부터 대학 지원을 위한 공동 지원서의 에세이 문제들을 하나 하나 분석하고 있습니다.에세이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문제는 작년에 약간 수정된 바 있습니… 더보기

대학에서의 전공선택(Ⅲ)

댓글 0 | 조회 1,167 | 2013.06.25
지난 주 기사를 통해서 학생이 무엇을 공부하고 싶은 지 잘 모르는 경우 어떻게 전공을 선택할 수 있을지 몇 가지 방법을 함께 나눈 바 있다. 대학 졸업 후 어떤 … 더보기

대학에서의 전공 선택(Ⅱ)

댓글 0 | 조회 1,168 | 2013.05.28
지난 칼럼에서는 대학에서 전공이란 무엇이며 미래의 직업과 관련하여 어떤 중요성이 있는지 말씀 드린 바 있다. 전공은 미래에 학생이 가지게 될 직업에 필요한 특정 … 더보기

보딩 스쿨에 대한 사회적 통념

댓글 0 | 조회 1,182 | 2012.12.21
보딩 스쿨이라고 하면 우리 모두가 가진 기존 관념들이 다 있다. “죽은 시인의 사회(Dead Poet’s Society)”와 같은… 더보기

대학에서의 과외 활동

댓글 0 | 조회 1,217 | 2017.06.27
대학에 가는 목적은 교육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어떤 사람은 특정 직업을 염두에 두고 그것에 관한 훈련과 기술을 얻기 위해 대학에 갑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리버럴… 더보기

현재 성공적인 대학 생활,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댓글 0 | 조회 1,230 | 2013.02.26
12학년인 자녀가 “그 수업은 들어가도 별로 하는 것도 없어” 하며 수업을 빼먹는 일이 빈번해졌습니까? 지난 번 칼럼에서도 12학년 2학기를… 더보기

지원서 접수와 후속조치

댓글 0 | 조회 1,232 | 2015.04.29
조기 지원 결과에 대하여 취해야 할 조치와 마음 가짐등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때쯤 상담하시는 것을 들어보면 충분히 합격하리라고 믿었는데, 학교 … 더보기

공동 지원서 에세이 두 번째 프람트

댓글 0 | 조회 1,233 | 2016.05.25
지난 주에는 대학 공동 지원서의 첫 번째 에세이 프람트를 어떻게 답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 프람트를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두 번째… 더보기

대입 공동 지원서 에세이

댓글 0 | 조회 1,249 | 2017.07.26
이 번호에는 에세이 프람트를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에세이의 주제는 “실패는 후에 성공의 초석이 될 수 있다. 실패를 경험한 때나 사건을 기억해 보라. 그 실패가… 더보기

중학교 생활 - 숙제

댓글 0 | 조회 1,249 | 2012.11.27
숙제 하기를 즐기는 학생이 있을까요? 이 글을 읽는 독자 분이나 그 자녀분 들이나 숙제가 좋아서 했던, 혹은 하는 사람은 그리 흔치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 숙제의… 더보기

과중한 수강 신청은 금물

댓글 0 | 조회 1,261 | 2013.07.23
많은 학생들이 흔히 범하는 실수 중에 하나는 일단 대학에 합격하고 나면 늘 수강해 보고 싶었던 과목들을 신청하고, 수업에 들어가고, 그러고 나면 A를 다 받게 될… 더보기

미국 고삼병을 아시나요?

댓글 0 | 조회 1,279 | 2017.10.10
지금쯤이면 거의 모든 12학년 학생들이 대학 입시에 대한 압박감으로부터는 이미 벗어나 있을 것입니다. 대학 지원을 마쳐놓고 이제 입학 결정의 결과만 기다리고 있는… 더보기

상식

댓글 0 | 조회 1,281 | 2016.01.27
이번 주에는 그 동안 다뤄오던 주제의 마지막으로서 대학을 다니며 수업 중에 가르치는 교과 과목 외에 습득해야 하는 기술중에 하나로서, “상식” 이라는 주제 하에 … 더보기

시간의 주인이 되자

댓글 0 | 조회 1,297 | 2017.09.27
엔젤라 김의 미국 교육 이야기 (59)대학 생활에 성공하기 위한 방법을 몇 가지 말씀드리는 중에 시간 관리에 대해 언급한 바 있습니다.오늘은 시간 관리에 대하여 … 더보기

대학에서의 전공 선택 (I)

댓글 0 | 조회 1,312 | 2013.04.23
대학에서, 아니 인생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선택 중의 하나는 전공을 선택하는 문제일 것이다. 대학을 졸업하기 위해서는 한 전공을 선택해서 그 필수과목을 다 이… 더보기

Why this school? 에세이

댓글 0 | 조회 1,329 | 2017.10.26
엔젤라 김의 미국 교육 이야기 (61)공동 지원서를 작성하는 학교의 보충 지원 서류(supplement application)이든 학교 고유의 지원 양식이 있는 … 더보기

조기 지원 결과

댓글 0 | 조회 1,337 | 2014.06.25
지금쯤이면 대학에 지원을 하는 학생들 중 조기 지원을 한 학생들이 합격 여부를 알리는 통지를 우편메일이든지 이멜, 혹은 온라인을 통해 확인을 했거나 며칠 내에 알… 더보기

공동 지원서 에세이 첫 번째 프람트

댓글 0 | 조회 1,342 | 2016.04.28
몇 주전에 공동 지원서와 에세이 문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 드린 바 있습니다. 이제 조기 지원을 한 달도 남겨놓지 않고 있는 시점에서, 상담하는 학생들의 에세이를… 더보기

공동 지원서 에세이 세 번째 프람트

댓글 0 | 조회 1,373 | 2016.06.23
세 번째 에세이의 주제는 “어떤 신조나 사고방식에 대해 도전을 했던 때를 돌이켜보라. 무엇이 그런 행동을 하도록 만들었는가? 같은 상황이 또 와도 다시 같은 결정… 더보기

대학에서의 학습 기술

댓글 0 | 조회 1,429 | 2017.03.21
대학에 입학하는 많은 학생들이 고등학교 때 공부했던 대로 특별한 기술이나 방법 없이 똑같이 공부해도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아니면 그런 생각조차 하지 않은 채 대학… 더보기

대학에서의 인간관계

댓글 0 | 조회 1,440 | 2013.08.27
이번 주에는 오늘날의 대학생활에 있는 사교 활동의 기회들과 사람을 만나고 사귀는 문제에 대하여 말씀 드리고자 한다. 미국 대학에도 우리나라에서 동아리라고 부르는 … 더보기

대입 지원 마무리

댓글 0 | 조회 1,443 | 2017.08.23
지난 번 칼럼에서 조기 지원 결과 발표 후 취해야 할 조치와 마음 가짐등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많은 분들이 이 때쯤 상담하시는 것을 들어보면 충분히 합격하리라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