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림의 미학 - 솔베이지의 노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기다림의 미학 - 솔베이지의 노래

0 개 1,037 한일수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10) 


여자의 변신(變身)이 무죄라면 여자의 변심(變心)도 무죄이던가? 여자의 마음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때 남자는 비로소 철이 들 수 있는 것이리라. 어떤 사람이 하느님한테 가서 소원을 빌었다. “하느님, 소원 하나 들어 주십시오. 하느님이 말해 보아라고하자 LA에서 하와이까지 다리하나만 놓아 달라고 주문했다. 몇 차선을 원하느냐고 하자 2차선이면 충분합니다. 다리가 놓아지면 하와이와 미국 본토의 왕래가 얼마나 편해질 것이며 관광산업 발전에도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입니다. 하느님이 잠시 생각하더니 그건 좀 곤란하겠다. 말이 그렇지 LA에서 하와이까지 다리 건설하는데 얼마나 많은 철근과 시멘트가 소요될 것이며 그 많은 인력을 충원하는 데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 텐데 차라리 다른 소원을 빌면 어떻겠니? 하시자 그럼 여자의 마음을 읽는 기술을 알려주십시오. 그것은 돈이 전혀 안 드는 일입니다. 하니 하느님이 대뜸 그것만은 불가능하다. 차라리 내가 LA에서 하와이까지 8차선을 놓아주겠다.”      


여자가 변심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경우가 얼마나 될까? 흔하지 않은 일이니 문학의 소재가 되고 있으리라. 1971년경에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게재됐던 ‘Going Home’ 이라는 글이 크나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를 ‘노란 손수건’ 이라는 제목으로 오천석님이 번역하여 월간 『샘터』지에 발표한 후 한국 사람들에게도 잔잔한 감동을 선사한 바 있다. 형무소에서 3년을 보내다가 가석방돼 고향으로 돌아가는 주인공이 가석방이 결정되자 아내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을 용서하고 받아들일 생각이면 마을 어귀 참나무에 노란손수건을 매달아 달라고 적었다. 손수건이 보이지 않으면 버스를 타고 지나쳐 가겠다는 암시였다. 그런데 버스가 마을 어귀에 다다르자 버스 안에서는 일제히 함성이 터져 나왔다. 참나무에는 온통 노란 손수건의 물결로 뒤덮여 있었던 것이다. 사실은 이런 편지 내용을 전해들은 동네사람들이 너도나도 노란 손수건을 매달아 주었다. 노란손수건이 걸려 있기를 기대하는 버스에 탄 모든 사람들이 숨죽여 기다리는 중에 전개된 노란 손수건의 물결은 주인공은 물론 마을 사람들과 버스에 탄 모든 승객들에게 가슴 뭉클한 순간이 되었다.


모든 사물에는 스토리가 가미될 때 그 가치가 증폭된다. 음악만 해도 그렇다. 그냥 듣거나 연주하는 것보다 곡의 스토리를 알고 작곡가의 내면세계에 들어가 연주자의 기교를 음미하면서 감상하면 감동이 다르다. 성악(聲樂) 작품은 작사자와 작곡가, 연주자가 한 몸이 되어 탄생하는 예술이라고 말 할 수 있다. 학교 다닐 때부터 흔히 들어왔던 ‘솔베이지의 노래(Solveig’s Song)’는 멜로디가 좋은 외국 가곡으로서만 알고 지내 왔다. 그런데 일주일에 한 번씩 열리는 화요음악회에서 그 노래에 얽힌 배경을 이해하고 들으니 새로운 감흥에 젖게 되었다..       


0c6db65b11572ad95ed030cb05a248a2_1626144535_8311.jpeg
 

노르웨이의 작은 산골 마을에 살던 페르귄트는 같은 동네 솔베이지라는 아리따운 소녀를 사랑했고 결혼을 했다. 남편은 아내를 사랑했지만 가난으로 고생만 하는 아내 솔베이지를 위해 돈을 벌려고 먼 외국으로 떠났다. 부둣가에서 온갖 막일을 하면서도 고향의 아내를 그리며 열심히 일을 해서 많은 돈을 축적한 남편은 10년 만에 모든 재산을 정리해 솔베이지가 있는 그리운 고향으로 향한다. 갖은 고생 끝에 모은 돈을 가지고 설레는 마음으로 돌아오다가 바다 한 가운데서 해적들을 만나 모든 재산을 빼앗기고 목숨만 건졌다. 고향까지 왔지만 그리웠던 아내를 차마 볼 수가 없었다. 다시 외국으로 떠나 길거리 노숙자로 평생을 살다가 늙고 지치고 병든 몸이지만 고향으로 돌아가 죽는 게 소원이었다. 몇 달 만에 꿈에서 그리던 고향으로 돌아 온 그는 믿어지지 않는 현실에 직면했다. 


0c6db65b11572ad95ed030cb05a248a2_1626144506_0949.jpeg
 

옛날 젊은 시절 솔베이지와 살았던 오두막집이 다 쓰러져가는 채로 있었고 그 안에는 희미한 불빛 아래서 한 노파가 바느질을 하고 있었는데 바로 그토록 사랑해왔던 솔베이지였다. 마주보고 있는 백발의 노인들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부둥켜안고 눈물만 흘렸다. 그날 밤 노인은 아내 솔베이지의 무릎에 누워 조용히 눈을 감는데 차갑게 식어 가는 남편을 위해 마지막으로 솔베이지 노래를 부르며 그녀도 남편을 따라간다. “그 겨울이 지나 또 봄은 가고 또 봄은 가고, 그 여름날이 가면 더 세월이 간다. 세월이 간다. 아 그러나 그대는 내 님일세 내 님일세. 내 정성을 다하여 늘 고대하노라 고대하노라. 아 --아 -- 아-- 아--아-- 아--”  


노르웨이의 현대사를 수놓은 보석 같은 4대 인물이 있다. 여성 해방 운동에 불을 지핀 「인형의 집」 작가 입센(Henrik Ibsen, 1828-1906), 페르퀸트 모음곡(솔베이지의 노래는 제 2 모음곡의 4번 째 곡이다)을 작곡한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인간의 일생과 희로애락을 담아낸 조각가 비켈란(Gustav Vigeland), 표현주의 화가 뭉크(Edvard Munch)가 그들이다. 2019년에 노르웨이 여행을 갔다 왔지만 그 때는 피요르드 해안 크루즈가 중심이었기 때문에 이들 작품들과 생애 흔적들을 살펴보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특히 그리그가 말년에 살았던 그의 고향 베르겐 외곽의 트롤하우겐 (Troldhaugen)은 클래식 음악 팬들에게는 성지나 다름없는 곳인데 그 곳을 놓쳤다. 노르웨이의 국민 음악가 시셀 쉬르셰뵈(Sissel Kyrkjebo)는 2019년에 한국을 다녀가기도 하였는데 다이아몬드처럼 찬란한 광채가 나고 계곡 시냇물처럼 티 없이 맑은 목소리로 솔베이지의 노래를 부를 때 감상자들은 그녀의 노래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느낌을 경험한다.  


기다리는 여인의 모습은 아름답다. 언어는 달라도 인간 사회는 음악의 선율을 통해 정서를 공유할 수 있으며 하나가 될 수 있다. 북 유럽의 끝자락 노르웨이에서 태어난 솔베이지의 노래는 오늘날 전 세계인의 가슴 속에 살아 숨 쉬는 영혼의 양식이다.      



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댓글 0 | 조회 383 | 2024.03.12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로 이주해 살면서 흔히 부딪히는 말이 ‘고독’ 과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두 단어의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틀린 것 같아 망설이게 된다…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85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522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이 있다. 용은 상상속의 동물이나 못이나 강, 바다와 같은 물속에서 살며, 비나 바람을 일으키거나 몰고 다닌다고 여겨져 왔다.… 더보기

씨줄과 날줄

댓글 0 | 조회 523 | 2024.02.13
한국에 있을 때 읽었던 한 인용문을 떠올려본다. “하느님이 인간들을 천국으로 인도하려고 모든 사람들에게 실오라기 하나씩을 내려 보냈다. 사람들은 각자 실오라기를 … 더보기

한글을 사랑해

댓글 0 | 조회 532 | 2023.11.14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 더보기

한민족의 미래

댓글 0 | 조회 622 | 2023.10.10
한민족은 한반도와 해외 여러 지역에 살면서 한인(Korean)으로서의 공통적 혈통과 문화를 공유(共有)하거나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아시아 계 민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

흔들다리 효과

댓글 0 | 조회 680 | 2023.07.11
이민 와서 초창기에 ‘오클랜드 내춰럴 히스토리 클럽(Auckland Natural History Club)’ 이라는 자연 탐사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한 적이 있다.…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698 | 2일전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712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민 초기부터 키위성당 모임을 통해서 친분을 쌓게 된 키위 한분은 데어리 플랫(Dairy Flat) 지역… 더보기

변화에 대응하고 변신하기

댓글 0 | 조회 822 | 2022.08.09
정보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인류사회가 변화의 물결에 휘말려 흘러가고 있는 와중에 21세기 들어 20년이 흐른 2020년 초부터 불어 닥친 코로나 팬데믹(Pendem… 더보기

3.1 정신과 한민족의 진로

댓글 0 | 조회 846 | 2022.03.08
금년이 3.1운동 103주년이 되는 해이다. 해마다 3.1절이 되면 우리의 과거를 되돌아보고 새로운 각오로 우리의 운명을 개척해 나가야 되겠다는 다짐을 해보게 된… 더보기

인생을 재충전해서 새해맞이

댓글 0 | 조회 849 | 2023.01.18
일 년을 보내고 새로운 일 년을 맞이할 때마다 지난해는 어떤 일을 해왔던가, 새해는 어떤 각오로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다. 불교에서 말하는 ‘제행무… 더보기

갯벌의 저주(詛呪)

댓글 0 | 조회 863 | 2023.09.12
갯벌은 살아 있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숲의 10배, 농경지의 100배에 달한다고 한다. 육지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바다가… 더보기

돌을 다듬어 인생살이를 구성하다

댓글 0 | 조회 869 | 2021.08.11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11)노르웨이를 여행 해본 사람이라면 오슬로 외곽에 위치한 비겔란 조각공원을 돌아보면서 광활한 대지가 수많은 조각품들과 어우러져 야외… 더보기

5월이 오면

댓글 0 | 조회 875 | 2022.05.10
계절에 대한 감각이 무디어 질 수 밖에 없는 뉴질랜드 생활이다. 이민을 떠나 온지도 벌써 27년차인데 아직도 이곳의 계절은 종잡을 수 가 없다. 4계절이 뚜렷하지… 더보기

줌바 댄스와 함께

댓글 0 | 조회 887 | 2023.06.13
시간 속에서 존재하다가 사라진 무용은 그 흔적을 찾아내기가 어렵다. 다만 원시인들이 동굴 벽화 속에 묘사한 모습들을 통해서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원시인들은 자… 더보기

고향의 봄

댓글 0 | 조회 901 | 2023.02.15
한반도에서 태어나 수 십 년을 살다가 반대편인 뉴질랜드에 와서 살다보니 십 수 년이 흐른 지금에도 계절에 대한 감각은 적응이 잘 안 되고 있다. 한반도는 사계절의… 더보기

백두산 호랑이

댓글 0 | 조회 942 | 2022.01.11
“호랑이는 착하고 성스럽고, 문채(文彩)가 좋으면서도 싸움 잘하고, 인자하면서도 효성스럽고, 슬기롭고도 어질고, 엉큼스럽고도 날래고, 세차고도 사납기가 그야말로 … 더보기

한-뉴 수교 60주년 기념

댓글 0 | 조회 945 | 2022.06.14
우리는 60주년이 내포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며 살아 왔다. 나이 60이 되면 환갑(還甲)이라 하여 오래 산 것을 기념하는 특별한 축하행사를 벌여왔다. 유교문화권… 더보기

100년은 지나야 뿌리 깊은 나무가 된다

댓글 0 | 조회 992 | 2022.04.12
1976년 발표된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는 드라마로도 전 세계인들에게 방영된 바 있는데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다. 1767년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노예로 팔려… 더보기

공포와 절망감이 빚어낸 뭉크의 『절규』

댓글 0 | 조회 1,011 | 2021.05.12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9)지난 2012년 소더비(Sotheby’s) 경매에서 파스텔로 판지에 그린 뭉크의 『절규』라는 작품 하나가 1억1,990만 달러(1… 더보기

주간 활동 보고서

댓글 0 | 조회 1,013 | 2023.05.10
논어의 첫 구절인 학이편(學而編)에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라는 말이 나온다. 여기서 說은 悅과 같은 ‘기쁠 열’의 뜻이다. 그리고 “유붕이 … 더보기

멜랑콜리한 겨울 장마철

댓글 0 | 조회 1,015 | 2023.08.09
장마철이 계속되다 보니 대외활동이 제한되고 찾아 갈 곳도 또한 찾아 올 사람도 마땅치 않아 할 일 없이 집에만 있게 되는 날이 많아지게 되는 요즈음이다. 그러다 … 더보기

마이너스 인생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017 | 2024.04.09
개념적으로 마이너스 인생이라고 하면 경제적으로 적자만 기록한 인생, 빚진 인생,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헛되이 보낸 인생 등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여기서… 더보기

권력투쟁

댓글 0 | 조회 1,024 | 2021.04.13
“주사위는 던져졌다(The die is cast)” 율리우스 카이사르(라틴어 Julius Caesar, 영어발음은 줄리우스 시저)는 BC 59년에서 51년까지 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