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에서 살리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흙에서 살리라

0 개 2,579 한일수
546.jpg

어찌하여 사람들은 흙을 멀리하고 자꾸 하늘로만 치솟으려고 하는지 모를 일이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바벨탑(The tower of Babel) 이야기는 현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많은 교훈을 말해주고 있다. 사람들이 모여 도시를 세우고 꼭대기가 하늘에 닿게 탑을 쌓아 천국에 오르겠다고 어리석은 짓을 하자 하느님의 노여움을 사게 되었다. 공사는 중단되고 사람들은 흩어져 살게 되었으며 서로 다른 말을 사용해서 의사소통이 어렵게 만들어졌다. 바벨(Babel)은 히브리어로 ‘혼돈’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인간의 무모한 도전에 대한 하느님의 응징 조치였다. 

21세기 벽두에 일어난 9.11 테러 사건은 전 세계인을 충격 속으로 몰아넣었다. 110층짜리 세계 무역센터 쌍 동이 빌딩이 순식간에 무너져 내린 일이 발생한 것인데 그리고 바로 몇 년 전에 일어난 재앙이었다. 그런데 인간들은 지금도 세계 각처에서 고층 빌딩을 짓는 경쟁을 벌리고 있다. 대체 땅위로부터 몇 미터 위까지 인간 구축물을 올리겠다는 건가? 고층 빌딩은 단위 면적당 건축비가 턱없이 많이 들고 고층 빌딩에는 많은 사람들이 집합하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집합하게 되다 보니 각종 사고 위험은 층이 높을수록 커져가는 것이다. 한국에서도 제2 롯데월드 빌딩이 완공되기도 전에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삼성동 한전 자리에 천문학적인 예산으로 끔직한 건물을 지으려고 계획하고 있다. 

인간은 땅을 딛고 생명을 유지하며 살게 되어 있다.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먹는 음식은 땅으로부터 생산되어 나온다. 흙은 암석이나 동식물의 유해가 오랜 기간 침식과 풍화(風化)를 거쳐 생성된 물질로 모든 생물들의 생명의 근원이다. ‘사람이 흙에서 나왔으니 땅을 갈아 농사를 지어라’ 창세기 3장 19절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또한 창세기 1장 28절에는 자식을 낳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 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흙으로 돌아가 유기농 농사를 짓고 흙집을 지어 창세기에 나오는 가르침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뉴질랜드에서 수년 동안 문제가 되어오고 있는 비새는 주택만 해도 그렇다. 재래식 공법으로 지은 흙집도 냉난방에 문제가 없고 내구성도 좋은데 현대식 공법으로 화려하게 지어진 플라스터 보드(Plaster board) 집은 왜 지은 지 몇 년 만에 비가 새고 붕괴 위험에 직면하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자연 순환 법칙을 따르면서 자연식 식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사람은 건강하게 살다가 흙으로 다시 돌아가는 생명 순환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현대식 구조물, 각종 편의 시설에서 편의 식품을 먹고 살면서도 왜 질병은 창궐하고 각종 사고에 비명횡사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지도 생각해볼 일이다. 

기계적 물질문명에 매몰된 현대문명의 어느 인간상을 떠올려 본다. ‘나라는 인생의 싹은 엄마와 아빠가 무슨 호텔 3739호실에서 만나면서 시작되었다. 10개월 후 어느 산부인과 병동 1768호실에서 태어났고 며칠 후 퇴원하여 신 개발 지역의 무슨 아파트 26단지 807동 2734호로 옮겨져 세상살이를 시작했다. 아파트 단지 안에는 모든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어 상가 빌딩 807호에서 유치부 학원을 수료하고 단지 안의 초등학교에 들어갔다. 그 후로 고등학교까지 아파트 단지 안의 빌딩 같은 교정에서 학업을 계속했다. 그동안 학교 수업 외에 개인 교습 및 학원 수강 과목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피아노 레슨, 컴퓨터학원, 웅변학원, 미술학원, 속셈학원, 태권도장, 글짓기 학원, 영어회화 학원, 수영교습, 체육관, 기타 여러 종류의 입시학원 등, 내가 몇 달 혹은 몇 년 씩 참여했던 기관들이다.

대학에 들어가니 605호, 397호, 35동 24관, 279동 16관 등 강의실을 쫓아다니기에 바빴다.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도 단순하지가 않았다. 17-1번 버스를 타고 중간에 내려 지하철 9호선으로 갈아타고 중간에 내려 다시 23-6번 버스를 갈아타고 학교에 이를 수가 있었다. 군대에서 제대한 후 어느 재벌 회사에 취직해서 경리부서에 배치된 나는 사무실 안에서의 생활이 거의 전부였다. 빌딩이 크기 때문에 바깥 세계와는 많이 단절되어 있었고 지하철을 타고 지하철 역 지하도로 근무하는 빌딩에 도착해서 바로 엘리베이터로 사무실로 직행하기에 날씨 변화나 세상물정에도 둔감해질 수밖에 없었다. 직장 생활 30여 년 동안에 사무실을 옮겨 다닌 기억도 없다. 사무실 번호는 3638호였다. 

퇴직 후 몸의 상태가 좋지 않아 어느 종합병원 2943호실에 입원했다. 급성 간염으로 판명된 나의 병세는 호전되지 못하고 어느 강추위가 몰아치던 밤 11시 44분에 숨을 거두었다. 그리고 내 시신은 그 병원 영안실 444호로 옮겨졌다. 그리고 화장 후 어느 납골당 42열 49호에 안치되었다. 내가 생존 시에 흙을 밟고 걸었던 기억은 별로 없는 것 같다. 그럴 필요도 없었다. 나의 일생은 10개의 아라비아 숫자에 의해서 끈질기게 통제되었다. 도대체 무엇 하러 태어나서 무얼 하다가 죽었는지 나도 헷갈리게 된다.’ 

뉴질랜드 이민 생활이 신의 뜻에 부합하는 삶에 가까이 할 수 있어 다행이라 생각된다. 사람이 흙의 기운을 받고 살아야 하는데 보통 3층 건물까지는 흙의 기운이 미친다고 한다. 그러나 살림집마저 고층 아파트에 위치해 있다면 큰 문제인데 뉴질랜드에는 3층 이상 거주 공간에서 살 일도 없다. 매일 같이 흙을 밟으며 흙에서 생명을 가꾸고 가꾼 음식을 즐기며 자연의 순환 법칙을 따르며 살다가 흙으로 다시 돌아 갈 준비가 되어 있다.

민들레의 영토

댓글 0 | 조회 3,824 | 2014.06.24
“골프장 관리인과 잔디를 꼼꼼하게 관리하는 집 주인에게 공적(公敵) 1호인 민들레는 그러나 절대로 없앨 수 없는 잡초이다”라고 멕시코 시니 뉴스지가 표현했다. 민… 더보기

엄마야 누나야 해변 살자

댓글 0 | 조회 3,150 | 2014.07.08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김소월 시인(1902, 8 - 1934, 12)은 … 더보기

어느 눈 먼 소녀를 위한 소나타 (I)

댓글 0 | 조회 3,441 | 2014.07.22
인간의 영혼(靈魂)은 모든 참된 문학, 예술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문제이리라. 지구상의 모든 생물 중 오직 인간만이 현재에 살면서 과거를 반추하고 미래를 설계하며 … 더보기

어느 눈 먼 소녀를 위한 소나타 (Ⅱ)

댓글 0 | 조회 4,915 | 2014.08.12
어느 눈 먼 소녀의 영혼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은 월광곡, 어느 날엔가 나에게도 눈 먼 소녀가 있어, 그녀의 영혼이 허전하다고 느낄 때…… 서양 음악가 중에 우리에… 더보기

태평양 문명 시대의 오세아니아

댓글 0 | 조회 3,495 | 2014.08.26
1900년대 초 미국 국무장관이던 헤이(John Hay)가 ‘지중해는 과거의 바다, 대서양은 현재의 바다, 태평양은 미래의 바다’라고 말했다. 이를 100년이 지… 더보기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감성

댓글 0 | 조회 5,595 | 2014.09.09
‘우는 아이 젖 준다’는 말을 요새 디지털 시대의 아이들이 이해할까 싶다. 젖 먹이가 아닌 어린 애가 울 때는 호랑이가 온다고 겁을 주어 달래기도 했고 곶감을 준…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한인총회가 처음 열리던 날

댓글 0 | 조회 3,787 | 2014.09.23
일제 강점기의 민족사학자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1880-1936) 선생은 “역사를 잊어버린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라고 경고했다. 이를 뉴질랜드 다민족 사회에… 더보기

아, 스코틀랜드!

댓글 0 | 조회 3,036 | 2014.10.14
아는 만큼 즐겁고 행복하다. 모르는 만큼 답답하고 불편하다. 뉴질랜드에 살면서 이 나라의 가장 인기 종목인 럭비나 요트 경기에 대해서 그 경기 방식에 익숙하지 못… 더보기

뜰 안에 가득한 행복

댓글 0 | 조회 2,345 | 2014.10.29
어느 여인이 천국에 가서 살아보는 것을 평생소원으로 여기고 갈망하며 지냈다. 그런데 어느 날 아침 일어나보니 궁궐 같은 집의 침대에 누워있었는데 바로 옆에는 하녀… 더보기

돼지는 죽으면서 말한다

댓글 0 | 조회 2,524 | 2014.11.11
이 세상 만물은 창조주의 섭리(攝理)에 따라 이 지구상에 태어났으며 주어진 생명을 다하고 역시 창조주의 섭리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만물의 영… 더보기

남십자성 아래서 빛나는 동방의 등불이여!

댓글 0 | 조회 2,759 | 2014.11.25
한국에 살 때는 어려서부터 북두칠성에 대한 정서를 지니고 살아왔다. 우리 한민족은 북두칠성을 고향과 같은 존재로 인식하고 생활해왔으며 신앙 또는 염원의 대상으로까… 더보기

작은 그러나 넓은 피아노 콘서트

댓글 0 | 조회 2,777 | 2014.12.09
영혼이라는 말은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진 주제이다. 모든 예술 활동이 그렇듯이 피아노 연주도 작곡가의 작품의도를 깊숙이 파악하고 … 더보기

살아서 또 한 해를 보낼 수 있음에 감사드리며

댓글 0 | 조회 2,614 | 2014.12.24
크리스마스에서 새해로 이어지는 계절이면 왠지 마음이 들썽거리고 즐거웠던 시절이 있었다. 오랜 겨울 방학이 시작되고 신학기 까지는 여유가 많으며 2월에는 구정까지 … 더보기

이 찬란한 을미의 아침에

댓글 0 | 조회 1,834 | 2015.01.14
“인생은 문틈으로 백마가 지나가는 것을 보는 것 같이 짧다(人生如白馬過隙)”라고 어느 시인은 말했다. 과연 그렇다. 뉴질랜드에 와서 현지 생활에 취미를 붙이면서 … 더보기

백두산 천지

댓글 0 | 조회 5,907 | 2015.01.29
한국인이 백두산 천지(白頭山 天池)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남다르다 하겠다. 그만큼 우리 민족의 핏속에는 백두산의 정기(正氣)가 흐르고 있으며 고구려의 혼(魂)이 … 더보기

뉴질랜드 신토불이

댓글 0 | 조회 2,417 | 2015.02.10
우리는 이민 첫해에 두 계절을 잃어버리고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계절이 한국과는 반대로 돌아가는 뉴질랜드이다 보니 한국에서 여름에 이곳에 오면 바로 겨울이 되었고…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바라보는 달의 이미지

댓글 0 | 조회 2,554 | 2015.02.24
태양력을 사용하는 문화권에서 살다보니까 조상 대대로 이어오던 음력 절기에 대한 정서를 잊고 살아 갈 수가 있다. 달의 차고 기움을 따라 절기를 맞추고 절기에 따라… 더보기

호박 덩굴에 행복이 주렁주렁

댓글 0 | 조회 2,977 | 2015.03.10
‘가꾼 데로 거두리라’이는 농사에도 해당되는 말이다. 수확량의 정도는 농사에 쏟은 정성만큼 비례해서 나타난다. 예로부터 농사의 성공 여부는 가꾸는 사람의 발길이 … 더보기

삶이냐 퍼포먼스냐

댓글 0 | 조회 2,837 | 2015.03.24
인류문화사의 흐름에서 시대구분을 할 때 고대 신화시대, 중세 종교시대, 근대 과학시대, 현대 예술시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런대 21세기 현대는 예술 가운데서도 퍼… 더보기
Now

현재 흙에서 살리라

댓글 0 | 조회 2,580 | 2015.04.14
어찌하여 사람들은 흙을 멀리하고 자꾸 하늘로만 치솟으려고 하는지 모를 일이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바벨탑(The tower of Babel) 이야기는 현대에 살고 … 더보기

울어버린 두꺼비

댓글 0 | 조회 2,507 | 2015.04.29
두꺼비는 예로부터 복(福)과 부(富)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한국의 민간 전설 ‘두꺼비와 지네’에서는 자기를 키워준 소녀를 위하여 침입한 지네와 싸워 함께 죽고… 더보기

아들리느 결혼식에 가슴을 치는 남자

댓글 0 | 조회 2,854 | 2015.05.13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그리고 3일 후 왕도 죽었다.’라는 표현은 사실적인 기록이다. 그러나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3일 동안 죽은 왕비를 그리워하며 애통… 더보기

김포공항에서 주저 앉아버린 애 엄마

댓글 0 | 조회 4,054 | 2015.05.26
뉴질랜드로의 한국인 이민 물결이 한창 상승세를 이룰 무렵 1995년 5월에는 하나은행에서 주관하는 이민자 영어교실 멤버들의 야유회가 열렸다. 남서울대공원에서 열린… 더보기

남자는 나이 70에야 철이 든다

댓글 0 | 조회 7,130 | 2015.06.09
“어느 남자가 하느님한테 가서 하소연을 했다. ‘하느님, 왜 남편은 하루 종일 고생하며 돈 벌어서 집에 갖다 주는데 아내는 남편이 벌어 온 돈 가지고 흐늘거리며 … 더보기

70% 행복론

댓글 0 | 조회 2,659 | 2015.06.23
며칠 전에 정원 일에 쓰일 외바퀴 손수레인 휠배로우(Wheelbarrow)를 구입한 일이 있다. 거름흙을 운반하느라 처음 사용해봤는데 적재량을 잘 조절해서 균형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