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냐 퍼포먼스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삶이냐 퍼포먼스냐

0 개 2,836 한일수
545.jpg

인류문화사의 흐름에서 시대구분을 할 때 고대 신화시대, 중세 종교시대, 근대 과학시대, 현대 예술시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런대 21세기 현대는 예술 가운데서도 퍼포먼스(Performance)가 주류를 이루는 시대가 될 거라고 얘기들을 하고 있다.

퍼포먼스의 의미는 실행, 행위, 작업, 성과, 성능, 공연 등을 말하며 인간 활동의 다양한 분야에서 그 말이 사용되고 있다. 예술 활동 관점에서 퍼포먼스 아트(Art)라고 말할 때는 ‘행위예술’ 쯤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행위예술은 육체적인 행위를 통해 표현하는 예술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누드(Nude) 노출이나 성적행위 표현이 예술이냐 외설(猥褻)이냐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나는 공연(公演)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백남준(1932, 7, 20 - 2006, 1, 29)은 한국 태생의 미국인으로 미술가, 작곡가, 전위예술가, 비디오 아트 선구자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았던 천재적인 예술가로 칭송받고 있다. 그의 예술은 ‘인간화된 예술’을 표방한다. 대중과 관객 즉 인간의 참여가 있는 예술을 진정한 예술로 믿었던 그는 인간과 기술을 별개로 보지 않고 그 둘이 예술이라는 이름하에 자유롭게 만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문화 테러리스트(Terrorist)로 불렸던 백남준 - 먹물이 담긴 대야를 두 손으로 잡고 그 속에 머리를 쳐 박고 머리카락에 먹물을 듬뿍 묻혀 무릎을 꿇은 채 흰 종이 위에 선을 그어 내려가던 그 순간, 마치 폭풍이 휩쓸고 가는 것처럼 파괴적인 퍼포먼스 앞에서 관객들은 숨이 멎는 것 같은 긴장감을 맞보았다. 강렬한 퍼포먼스에서 뿜어 나오는 그의 눈부신 에너지를 보고 반했노라고 그의 아내가 된 구보타 시키코는 고백했다. 

자판(字板)만 손가락 끝으로 두드리면 온갖 글자가 형성되고 세상만사 원하는 모든 것들이 펼쳐지는 컴퓨터, 스마트 폰 시대에 필기도구가 사라져가고 사람과 사람들이 만날 필요도 없는 세상에 살고 있다. 자라나는 우리의 후세들은 인터넷 공간에서 컴퓨터 게임에 몰입되어 신체적, 정신적, 가정적, 사회적 건강을 해치고 진정한 문화, 예술, 체육 활동은 시들어 가고 있다. 

TV는커녕 라디오도 없던 시절, 더군다나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헐벗고 굶주리며 모든 것이 피폐해져 있을 때였지만 봄이면 학예회, 가을이면 운동회가 어김없이 열렸다. 단순한 학교 행사가 아니라 고을의 공동체 행사로 학부모는 물론 고을 주민들이 모여 함께 어울렸던 것이다. 특별히 기량이 있는 몇몇 선수나 재능이 뛰어난 발표자만이 아니라 모든 학생이 참여해서 기량을 펼쳤고 학부모도 대열에 참여해 행사를 즐겼다. 

지난 3월 14일에는 오클랜드 한인의 날 행사가 노스쇼어 이벤트 센터에서 열렸다. 화창한 날씨에 많은 교민들이 참여했지만 이민 생활에서 일 년에 한 번 행하여지는 한인의 날에 모든 교민들이 모여 참여한 다민족 현지인들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지 못한 아쉬움도 있다. 한인의 날 프로그램은 옛날 학예회와 운동회를 겸한 행사로 편성된 느낌이다. 각종 교민 업체, 단체들이 부스(Booth)를 차려 먹 거리, 볼 거리, 즐길 거리와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고 음악, 미술, 스포츠, 게임, 등 부문에서 각종 퍼포먼스와 발표, 공연, 관객 체험 프로그램들이 펼쳐졌다. 

스크린이나 브라운관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보고 들으며 즐기는 단순한 오락은 피동적이고 소극적인 시간 보내기 활동이다. 현장에 참여해서 발표자와 호흡을 같이 하고 객장 내에서 뿜어 나오는 열기를 실제로 느끼며 거기에 직접 행위를 해보면서 5감(五感)으로 받아드리는 감동하고는 차원이 다르다. 또한 행사 날에는 일부러 시간을 내어 만나기 힘든 친지들을 만나 담소를 나누게 되는 기회를 추가할 수도 있다. 

545 2.jpg

뉴질랜드 교민 사회에서는 처음이라고 할 수 있는 복합적인 예술로서의 퍼포먼스를 시도해봤다. 징치기 소년(김정윤 학생)의 시작을 알리는 징소리를 신호로 춤추는 소녀(아이린 학생)의 손님을 부르는 춤사위가 이어지고 가야금 소녀(최보영 학생)의 아리랑 연주가 은은히 계속되었다. 한편 필자는 가로 145cm, 세로 215cm가 되는 5겹의 대형 화선지에 1m 길이의 붓으로 ‘삶’이라는 서예퍼포먼스를 펼쳐나갔다. 삶의 마지막 획이 멈추는 곳에서 문인화가 조소옥 선생의 국화 한 송이가 그려지고 완성된 작품이 관객을 향해 펼쳐진 가운데 천철남 선생은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 시를 낭독해 나갔다. 인간 개체의 삶의 의미를 한 송이의 국화가 피어나는 과정이 상징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이 아닐까? 

인간의 움직임은 되풀이 되는 법이 없듯이 글씨를 쓰는 동작 체험도 단 한번으로 마무리 되는 것이다. 붓이 닿는 순간부터 끝날 때까지 붓은 종이 위를 떠나지 않는다. 관객은 붓의 진행 방향을 따라 완성되는 글자의 형성과 먹물의 농도, 획의 움직임의 빠르고 느림, 꺾고 돌리는 다양한 붓놀림, 강함과 약함, 뭉침과 번짐 등을 통해 긴장과 해이의 소용돌이를 체험하게 된다. 

언젠가 한반도를 일주하면서 백두산 천지의 물로 먹을 갈고 한라산 말의 털로 붓을 만들어 한반도에서 생산된 목화로 짠 광목위에 아오테아 광장에서 서예 퍼포먼스를 펼칠 날이 오기를…….

민들레의 영토

댓글 0 | 조회 3,824 | 2014.06.24
“골프장 관리인과 잔디를 꼼꼼하게 관리하는 집 주인에게 공적(公敵) 1호인 민들레는 그러나 절대로 없앨 수 없는 잡초이다”라고 멕시코 시니 뉴스지가 표현했다. 민… 더보기

엄마야 누나야 해변 살자

댓글 0 | 조회 3,148 | 2014.07.08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김소월 시인(1902, 8 - 1934, 12)은 … 더보기

어느 눈 먼 소녀를 위한 소나타 (I)

댓글 0 | 조회 3,438 | 2014.07.22
인간의 영혼(靈魂)은 모든 참된 문학, 예술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문제이리라. 지구상의 모든 생물 중 오직 인간만이 현재에 살면서 과거를 반추하고 미래를 설계하며 … 더보기

어느 눈 먼 소녀를 위한 소나타 (Ⅱ)

댓글 0 | 조회 4,915 | 2014.08.12
어느 눈 먼 소녀의 영혼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은 월광곡, 어느 날엔가 나에게도 눈 먼 소녀가 있어, 그녀의 영혼이 허전하다고 느낄 때…… 서양 음악가 중에 우리에… 더보기

태평양 문명 시대의 오세아니아

댓글 0 | 조회 3,494 | 2014.08.26
1900년대 초 미국 국무장관이던 헤이(John Hay)가 ‘지중해는 과거의 바다, 대서양은 현재의 바다, 태평양은 미래의 바다’라고 말했다. 이를 100년이 지… 더보기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감성

댓글 0 | 조회 5,595 | 2014.09.09
‘우는 아이 젖 준다’는 말을 요새 디지털 시대의 아이들이 이해할까 싶다. 젖 먹이가 아닌 어린 애가 울 때는 호랑이가 온다고 겁을 주어 달래기도 했고 곶감을 준…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한인총회가 처음 열리던 날

댓글 0 | 조회 3,787 | 2014.09.23
일제 강점기의 민족사학자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 1880-1936) 선생은 “역사를 잊어버린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라고 경고했다. 이를 뉴질랜드 다민족 사회에… 더보기

아, 스코틀랜드!

댓글 0 | 조회 3,036 | 2014.10.14
아는 만큼 즐겁고 행복하다. 모르는 만큼 답답하고 불편하다. 뉴질랜드에 살면서 이 나라의 가장 인기 종목인 럭비나 요트 경기에 대해서 그 경기 방식에 익숙하지 못… 더보기

뜰 안에 가득한 행복

댓글 0 | 조회 2,345 | 2014.10.29
어느 여인이 천국에 가서 살아보는 것을 평생소원으로 여기고 갈망하며 지냈다. 그런데 어느 날 아침 일어나보니 궁궐 같은 집의 침대에 누워있었는데 바로 옆에는 하녀… 더보기

돼지는 죽으면서 말한다

댓글 0 | 조회 2,524 | 2014.11.11
이 세상 만물은 창조주의 섭리(攝理)에 따라 이 지구상에 태어났으며 주어진 생명을 다하고 역시 창조주의 섭리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만물의 영… 더보기

남십자성 아래서 빛나는 동방의 등불이여!

댓글 0 | 조회 2,758 | 2014.11.25
한국에 살 때는 어려서부터 북두칠성에 대한 정서를 지니고 살아왔다. 우리 한민족은 북두칠성을 고향과 같은 존재로 인식하고 생활해왔으며 신앙 또는 염원의 대상으로까… 더보기

작은 그러나 넓은 피아노 콘서트

댓글 0 | 조회 2,777 | 2014.12.09
영혼이라는 말은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진 주제이다. 모든 예술 활동이 그렇듯이 피아노 연주도 작곡가의 작품의도를 깊숙이 파악하고 … 더보기

살아서 또 한 해를 보낼 수 있음에 감사드리며

댓글 0 | 조회 2,614 | 2014.12.24
크리스마스에서 새해로 이어지는 계절이면 왠지 마음이 들썽거리고 즐거웠던 시절이 있었다. 오랜 겨울 방학이 시작되고 신학기 까지는 여유가 많으며 2월에는 구정까지 … 더보기

이 찬란한 을미의 아침에

댓글 0 | 조회 1,834 | 2015.01.14
“인생은 문틈으로 백마가 지나가는 것을 보는 것 같이 짧다(人生如白馬過隙)”라고 어느 시인은 말했다. 과연 그렇다. 뉴질랜드에 와서 현지 생활에 취미를 붙이면서 … 더보기

백두산 천지

댓글 0 | 조회 5,907 | 2015.01.29
한국인이 백두산 천지(白頭山 天池)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남다르다 하겠다. 그만큼 우리 민족의 핏속에는 백두산의 정기(正氣)가 흐르고 있으며 고구려의 혼(魂)이 … 더보기

뉴질랜드 신토불이

댓글 0 | 조회 2,417 | 2015.02.10
우리는 이민 첫해에 두 계절을 잃어버리고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계절이 한국과는 반대로 돌아가는 뉴질랜드이다 보니 한국에서 여름에 이곳에 오면 바로 겨울이 되었고…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바라보는 달의 이미지

댓글 0 | 조회 2,554 | 2015.02.24
태양력을 사용하는 문화권에서 살다보니까 조상 대대로 이어오던 음력 절기에 대한 정서를 잊고 살아 갈 수가 있다. 달의 차고 기움을 따라 절기를 맞추고 절기에 따라… 더보기

호박 덩굴에 행복이 주렁주렁

댓글 0 | 조회 2,977 | 2015.03.10
‘가꾼 데로 거두리라’이는 농사에도 해당되는 말이다. 수확량의 정도는 농사에 쏟은 정성만큼 비례해서 나타난다. 예로부터 농사의 성공 여부는 가꾸는 사람의 발길이 … 더보기
Now

현재 삶이냐 퍼포먼스냐

댓글 0 | 조회 2,837 | 2015.03.24
인류문화사의 흐름에서 시대구분을 할 때 고대 신화시대, 중세 종교시대, 근대 과학시대, 현대 예술시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런대 21세기 현대는 예술 가운데서도 퍼… 더보기

흙에서 살리라

댓글 0 | 조회 2,579 | 2015.04.14
어찌하여 사람들은 흙을 멀리하고 자꾸 하늘로만 치솟으려고 하는지 모를 일이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바벨탑(The tower of Babel) 이야기는 현대에 살고 … 더보기

울어버린 두꺼비

댓글 0 | 조회 2,507 | 2015.04.29
두꺼비는 예로부터 복(福)과 부(富)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한국의 민간 전설 ‘두꺼비와 지네’에서는 자기를 키워준 소녀를 위하여 침입한 지네와 싸워 함께 죽고… 더보기

아들리느 결혼식에 가슴을 치는 남자

댓글 0 | 조회 2,854 | 2015.05.13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그리고 3일 후 왕도 죽었다.’라는 표현은 사실적인 기록이다. 그러나 ‘어느 날 왕비가 죽었다. 3일 동안 죽은 왕비를 그리워하며 애통… 더보기

김포공항에서 주저 앉아버린 애 엄마

댓글 0 | 조회 4,054 | 2015.05.26
뉴질랜드로의 한국인 이민 물결이 한창 상승세를 이룰 무렵 1995년 5월에는 하나은행에서 주관하는 이민자 영어교실 멤버들의 야유회가 열렸다. 남서울대공원에서 열린… 더보기

남자는 나이 70에야 철이 든다

댓글 0 | 조회 7,130 | 2015.06.09
“어느 남자가 하느님한테 가서 하소연을 했다. ‘하느님, 왜 남편은 하루 종일 고생하며 돈 벌어서 집에 갖다 주는데 아내는 남편이 벌어 온 돈 가지고 흐늘거리며 … 더보기

70% 행복론

댓글 0 | 조회 2,659 | 2015.06.23
며칠 전에 정원 일에 쓰일 외바퀴 손수레인 휠배로우(Wheelbarrow)를 구입한 일이 있다. 거름흙을 운반하느라 처음 사용해봤는데 적재량을 잘 조절해서 균형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