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정신으로 훨훨 날으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도전 정신으로 훨훨 날으며

0 개 1,656 명사칼럼

매년 11월3일은 학생독립운동 기념일로 지키고 있다고 한다. 이 기념일은 일본 강점 때인 1929년 11월 3일에 광주에서 일본 남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놀려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에 터진 충돌이 일반인에게까지 확대된 것으로 우리 독립운동사에도 남게 된 날이다. 그 시대를 겪은 당시 우리나라 청년 세대들인 어른들로부터 억압받는 민족의 울분으로 일본학생들과 패 싸움을 하여 정학처분을 받았다는 등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그 분들의 젊은 용기가 부럽기도 했다. 


대학 중반시절(1962년경)에 접어들 무렵 필자도 자녀들에게 남겨줄 멋 있는 “무용담” 하나쯤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졸업 후 취업을 하고 사회에 진출하면 시간 여유도 없을 것 같아 재학중에 기회가 있었으면 했다. 바로 이 때, 어느 날 학교 게시판에 호기심을 끄는 공고 하나가 눈에 띄었다.“대학생 특수 체육 희망자 모집”이란 내용이었다. 아마도 5.16 군사혁명 직후 정부는 문약한 대학생들을 심신단련을 통해 도전정신과 모험심이 강한 청년들로 키우고자 했던 것 같다. 선택할 종목으로는, 모-터 보트, Rock climbing, 수영, 낙하산 타기, 활공기(滑空機 Glider)타기 등이었다. 말이 “체육” 이지 몸이 근육질이 아니더라도 할 수 있는 종목이었다. 도전 정신과 용기, 침착성, 인내력 그리고 집중력 등이면 될 것 같아 생각 끝에 Glider타기에 신청했는데, 받아들여져 서울 시내의 한 공군병원에서 조종사 적성 신체검사를 받고 훈련에 들어 갔다. 한강 한 복판의 여의도에 있는 공군기지(K-19)에서 가장 기본적인 조종관련 과목을 들었다. 조종학, (비행기)기계학 그리고 기상학의 기초를 들었는데 그때 그 분야에 대한 지식도 많이 얻었다. 매섭게 쌀쌀한 한강의 가을바람을 맞으며 앞으로 함께할 Glider를 손으로 밀고 다니는 가운데 기체와 친해지기 시작했다. 이 Glider는 자체에 Engine이 없고 나무 뼈대에 특수 천으로 외장을 했고 착륙용 바퀴가 하나만 있었으며 날개는 몸체에 어울리지 않게 유난히 길고 컸다. 아마도 비행 동력인 상승기류의 힘을 많이 받으려고 그렇게 만든 듯했다. 


3929a3c3534dfa0d03801d4d8e0f6bd3_1594783325_962.png
 

Glider를 하늘에 띄우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다. 탄력이 큰 고무줄을 당겼다가 놓아 순간의 뜨는 힘을 얻어 띄우거나, 적당한 길이의 쇠 줄로 연결된 Glider를 Winch로 빠른 속도로 끌어당기어 뜨는 힘을 받아 뜨게 하거나 또는 경비행기가 Glider를 함께 하늘로 끌고 올라가는 세가지 방법이 있다. 우리는 두번째 방법으로 공군트럭이 활주로 약 800미터 저 만치에서 빠른 속도로 Glider를 감아 당겼다. 끌려가던 Glider 날개에 뜨는 힘(부력)이 생기고 곧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한다. 조종석 앞에 있는 손잡이를 당기면 기체를 끌어당긴 줄로부터 분리가 된다. 서울의 남산보다 조금 높은 고도 약 300미터 정도에서 궤도를 따라 가벼운 긴장감 속에 목측비행을 시작한다. 비행하는 동안 Glider안은 생각보다 더 고요했고 오직 공기와 기체가 마주 스치는 맑은 소리만이 경쾌했다. 자체 Engine없이 미끄러지듯 나르는 순간이 이어지고 있다. 나는 조종석에 앉아 있고 뒤에는 교관인 공군 중령이 무전기를 들고 있었다. 하늘을 오르내리는 많은 과정을 거친 후, 2급 활공 조종사 Badge를 가슴에 달수 있었다. 정말 멋진 Sport였다. 지금도 비행기로 여행을 할 때는 내가 Glider를 타고 있다는 상상을 하며 항로를 머리속에 그려보는 습관이 있다.



NZ도 여러 Glider club들이 활동하고 있을 것이다. 한번은 Matamata근처 하늘에서 경비행기에 달려 끌려가는 Glider를 보게 되었는데 옛 생각도 나고 부럽기도 했다. NZ에는 도전할 Sport가 잘 발달되어 있어 용기를 내 나만의 “도전”을 하기에 좋은 나라이다. 북섬 맨 꼭대기에서 발을 떼고 걷기 시작해 남섬 끝까지 혼자서 걸어갔다 온 교민도 계시고, 먼 바다 수영을 즐기는 “물개” 교민에 이어 Cycle이나 해양 Sports로 NZ 여기 저기를 누비는 교민도 여러분이 있다. 필자도 이곳 New Zealand에서 Sailing의 기본 교육을 받고 Dinghy로 Harbour Bridge 아래를 오간 경험이 있다. 스포츠에 취미가 없는 경우라면 새로운 외국어를 배우거나 예술 분야의 취미활동에 “도전” 해 보는 것도 또 다른 자신만의 보람과 활력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동영상을 통해 매끈한 Glider(Gleitflugzeug)가 오스트리아와 스위스의 하늘을 훨훨 날아 다니는 광경을 종종 보며 즐기고 있다. Glider에 나를 싣고 저 만치 보이는 눈 덮인 산줄기과 호수와 목장과 장난감 같은 집과 길 위를 나른다. 경쾌한 Yodel song을 들으며 Glider의 멋 속에 잠기다 보면 여의도 하늘을 가르며 나르던 나만의 추억이 마음속에 겹쳐지며 더욱 감사하게 느껴진다. 


Coronavirus로 방콕-집콕으로 갇혀 있다 보니 하늘을 훨훨 나르던 그 때가 그리워진다.


■ 유 승재 (한민족한글학교 BOT의장)  

3929a3c3534dfa0d03801d4d8e0f6bd3_1594783273_1201.jpg
 

굴비가 영어로는?

댓글 0 | 조회 6,604 | 2020.12.09
“여보, 당신 피타고라스 정리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어?” 필자가 “불쑥퀴즈”를 아내에게 던졌다. “글쎄, 생각날까 모르겠네, 배우긴 배웠는데 너무 오래돼서..… 더보기

직장 동료를 존중해서 항상 영어를 사용하기 바랍니다

댓글 0 | 조회 3,651 | 2020.06.23
지난 5월 27일 RNZ에 자극적인 기사가 올라왔다. 제목은 ‘English language-only sign at cafe taken down’으로, 번역하자면… 더보기

뉴질랜드 시내버스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23 | 2020.01.14
머리말2019년 11월 11일 (월요일)과 13일 (수요일) 이틀동안 오클랜드 남동부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회사 Go Bus의 East Tamaki and Airp… 더보기

노만남매를 파키스탄으로 돌려보내야만 했을까?

댓글 0 | 조회 3,077 | 2021.05.11
■ 김 무인머리말이 블로그의 주 탐사 주제는 ‘ethnic relations’와 ‘사회주의적 가치의 재발견/부활’ 이다. 그런 관점에서 한국에서 현재 진행 중인 … 더보기

코로나 19 시대, 외계인보다 문어가 더 궁금한 이유

댓글 0 | 조회 2,428 | 2020.10.29
코로나19 시대에 집콕 생활을 하다 보니 넷플릭스를 보는 이가 주변에 많다. 넷플릭스는 미국의 주문형 콘텐츠 서비스 제작업체인데, 재밌는 콘텐츠가 너무 많은 듯하… 더보기

우리는 영원히 이방인일까?

댓글 0 | 조회 2,265 | 2019.09.24
머리말1세대는 백프로 이방인(other)으로 살다 생을 마감한다고 본다. 이는 본인이 뉴질랜드를 얼마나 사랑하고 또 얼마나 많은 키위 친구들이 자기를 아끼는가 여… 더보기

사형수와의 인터뷰

댓글 0 | 조회 2,123 | 2020.05.13
올해 하반기는 ‘사형 확정자의 생활 실태와 특성’ 연구를 위해 구치소와 교도소를 제집 드나들 듯 다녔다. 1997년 12월 30일 집행을 마지막으로 현재 총 60… 더보기

아름다운 손

댓글 0 | 조회 2,032 | 2020.04.15
▲ Inspiringstory "The Praying Hands"​어느날 오후 내 눈 길이 우연히 아내의 손에 닿았다. 그리고 놀랐다. 어느새 굵어진 손 가락 뼈… 더보기

다양한 상속제도

댓글 0 | 조회 2,005 | 2019.11.27
인류역사상 가장 널리 퍼진 상속제도는 부계상속이다. 장남의 특권적 지위를 인정하는 장자상속을 비롯해, 막내아들이 재산을 상속하는 말자상속, 여러 아들들이 고루 나… 더보기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댓글 0 | 조회 1,958 | 2021.08.25
■ 김 무인1차 백신 주사를 며칠 전에 맞았는데 이게 생각보다 후유증이 있다. 콧물에 몸살 증세도 수반되어 sick leave를 내고 집에서 쉬고 있다. 쉬면서 … 더보기

한국은 여기까지다

댓글 0 | 조회 1,891 | 2023.02.01
선조들은 일제의 지배를 받았다. 1902년생으로 그 시절을 생생히 기억하는 외할아버지가 생전에 옛이야기를 많이 들려줬었다. 드라마에서 보는 잔인한 장면과 다른 증… 더보기

리더가 말하는 법

댓글 0 | 조회 1,888 | 2020.05.27
‘리더십=동기부여 역량’… 경청, 칭찬, 보상을 아끼지 말라① ‘경청’하고 인정하는 자세 - 스스로 성장하게 도와준다② 늘 누군가를 ‘칭찬’ 한다 - 우회적으로 … 더보기

그저 그런 사람이 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873 | 2019.05.29
현실만 해결하려는 혁명은 높은 곳에 다다를 수 없어꿈을 가진 학생이 더 큰 열매를 맺듯이 낮은 시선은 작은 결과 낳아머물고자 하면 머물고 날고자 하면 나는 것이 … 더보기

바이러스 질병의 감염과 공포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782 | 2020.02.26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우한(武漢) 폐렴’에 대한 공포가 플라스틱 미세 입자처럼 세계로 퍼져나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인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 더보기

1954년 2월, 한국에 온 마릴린 먼로

댓글 0 | 조회 1,769 | 2019.04.09
매년 2월이면 세기적인 매혹의 헐리우드 스타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M.M)가 떠오른다. 노마진 모텐슨이란 본명으로 가난한 고아로 태어나 195… 더보기

무엇을 물려줄 것인가

댓글 0 | 조회 1,748 | 2019.06.26
“올해 다들 환갑이라며?” 국어 선생님께서 물으셨다. 원탁에 둘러앉은 우리들은 누구랄 것도 없이 “네” 라고 답했다. 선생님 말씀 잘 듣던 모범생의 목소리도, 그… 더보기

말 잘하는 리더의 5가지 마음

댓글 0 | 조회 1,735 | 2020.11.11
리더의 말에는 ‘5심’이 있어야 한다. 말이 열매를 맺으려면 씨앗을 잘 심어야 한다. 말하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마음(心)이 말의 씨앗이다. 바로 그 씨앗이 좋아… 더보기

지금 당신이 꽃입니다

댓글 0 | 조회 1,702 | 2019.10.22
땅에 쑥 돋아납니다. 해 뜨면 쑥 잎 끝에 보석 같은 이슬방울이 반짝이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자연은 무궁무진무구입니다. 우리의 눈과 마음이 가 닿지 못한 … 더보기

기대하던 영화 ‘미나리’를 봤다

댓글 0 | 조회 1,687 | 2021.03.23
■ 오 길영 충남대학교 교수, 문학평론가기대하던 영화 ‘미나리’를 봤다. 단상을 적는다.- 먼저 간단한 줄거리.“낯선 미국에서 병아리를 감별하며 생계를 이어가던 … 더보기

대통령은 ‘대통령의 말’을 해야 한다

댓글 0 | 조회 1,675 | 2023.05.24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국빈 방문을 마치고 돌아왔다. 지난 일본 방문 때와 마찬가지로 국민은 윤 대통령의 방미를 가슴 졸이며 지켜봤다. 미국행 비행기를 타기 전부터… 더보기
Now

현재 도전 정신으로 훨훨 날으며

댓글 0 | 조회 1,657 | 2020.07.15
매년 11월3일은 학생독립운동 기념일로 지키고 있다고 한다. 이 기념일은 일본 강점 때인 1929년 11월 3일에 광주에서 일본 남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놀려 한국… 더보기

나이 들어서는 음•체•미

댓글 0 | 조회 1,652 | 2019.09.10
10대 후반에 학교 다닐 때는 ‘국어•영어•수학’ 과목이 중요하다. 여기서 결판이 난다. 명문대학에 들어가는 것도 국•영•수가 좌우한다. 진로와 직업은 명문대학을…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3)

댓글 0 | 조회 1,640 | 2021.07.14
이번의 역사적인 결정이 있기까지2022년부터 초중고에서 뉴질랜드 역사교육을 의무화하는 정부의 결정은 2019년에 발표되었는데 이는 2017년 노동당의 선거 공약에… 더보기

비극이 소극(笑劇)으로 끝나지 않기 위하여

댓글 0 | 조회 1,631 | 2020.04.23
이른바 ‘엔(N)번방 사건’은 여성 특히 아동과 청소년, 여성을 대상으로 성착취를 하고 불법촬영을 하여 이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대화방의 다수 회원에게 판매… 더보기

광주 환벽당

댓글 0 | 조회 1,628 | 2020.06.10
어지러운 세상, 시와 술로 달래던 김윤제의 ‘살롱’한시는 시풍에 따라 당시(唐詩), 송시(宋詩)로 나뉜다. 둘은 비슷하면서 다르다. 당시는 가슴으로 쓰고 송시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