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신이 꽃입니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지금 당신이 꽃입니다

0 개 1,709 명사칼럼

땅에 쑥 돋아납니다. 해 뜨면 쑥 잎 끝에 보석 같은 이슬방울이 반짝이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자연은 무궁무진무구입니다. 우리의 눈과 마음이 가 닿지 못한 무한대지요. 알 수 없습니다. 다 보지 못하고 다 알지 못하지요.

 

아침에 본 쑥이 해질 때 보면 더 자라나 있습니다. 쑥은 봄기운을 가장 빨리 알아차린 풀입니다. 봄에 돋아나는 것이 어디 쑥뿐이겠습니까. 무릎을 꿇고 땅에 엎드려 자세히 들여다보면 온갖 풀이 돋아나고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것 같은 작은 풀꽃이 피어납니다.

 

땅에 납작 엎드린 시루나물 꽃은 진보라색입니다. 마치 시루떡같이 꽃이 차곡차곡 피어 있어서 어머니는 이 꽃창초 꽃을 시루나물 꽃이라고 불러줍니다. 이른 봄에 피는 풀꽃 중에 까치꽃이 가장 선명한 꽃 색깔을 갖고 있습니다. 꽃잎 둘레는 남색이고 속은 약간 흰색이지요. 얼른 눈에 띌 때 보면 마치 까치 몸 색깔 같아서 까치꽃이라 했는지 모르지만 이 꽃의 학명은 개불알풀입니다. 키 작은 몸으로 바람에 흔들리는 노란 꽃다지는 얼마나 앙증맞은지요. 냉이 꽃도 눈이 부십니다.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울고 웃는 것 같은 꽃이 어찌 꽃다지나 냉이 꽃뿐이겠습니까. 쭈그리고 앉아 작은 꽃을 오래오래 들여다보면 눈물납니다. 정말 눈물이 솟지요. ‘어떻게 그 작은 몸으로 추운 겨울을 이기고 왔니?’ 하고 물어보면 대답이 없어 더 눈물납니다. 조금 있으면 아주 작은 벌레의 나팔 같은 빨간 광대살이 꽃도 핍니다.

 

눈물나게 하는 작은 풀꽃들

 

봄에 피는 작은 풀꽃은 추운 겨울 동안 자라나 죽은 듯 색깔을 잃고 지내다가 대지에 봄기운이 돌아오면 자기 색을 찾아내어 꽃을 피워냅니다. 봄에 땅에 달라붙어 피는 꽃은 배고픈 시절 다 나물이었습니다. 그 작은 꽃 중에 내가 좋아하는 꽃은 봄맞이꽃입니다. 봄맞이꽃, 이름도 좋지요. 봄맞이꽃은 실같이 가는 꽃대가 올라와 끝에 흰 꽃잎 넉 장을 활짝 펼쳐 줍니다. 봄맞이꽃은 희고 눈부셔서 햇살 좋은 한낮에는 잘 보이지 않지요. 봄맞이꽃을 보고 걷다가 뒤돌아다보면 몇 송이가 새로 피어나 있습니다. 되돌아가 주저앉아 하나 둘 셋 넷 꽃잎을 세어 줍니다. 작고 예뻐서, 너무나 눈이 부셔서 오래 바라보면 온몸이 시려옵니다.

 

봄에 핀 작은 풀꽃은 그렇게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의 흔적 같지요. 이른 봄 길, 나는 꽃을 따라다니며 이 작은 생명들 곁에 엎드려 시를 썼습니다. 아니, 내가 시를 쓴 것이 아니라 이 꽃들이 나를 불러 내게 이렇게 저렇게 시를 쓰라 일러주었지요. 나는 다만 그들의 말을 받아 적었을 뿐입니다. 봄이 되면 사람들이 눈을 들어 먼 산의 화려한 꽃을 찾는 동안 나는 이 작은 꽃들 앞에 절하듯 엎드립니다.

 

이 세상에 봄이 와서 풀과 나무에 꽃이 피듯이 당신 속에도 꽃이 숨어 있습니다. 아니, 꽃 속에 당신이 숨어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당신이 믿는 그 생각으로는 꽃 한 송이 피우지 못합니다. 그 생각은 꽃이 되지 못합니다. 진 짐 부리고 불끈 쥔 주먹 펴세요. 세상의 모든 것을 벗어던질 광기가 그대 속에도 숨어 있습니다. 그 광기가 저렇게 달디 단 꽃이 되지요.

 

꽃 보면 어지럽지요. 무슨 일이 꼭 일어날 것만 같지요. 꽃은 사랑을 찾아가는 세상의 입술입니다. 입 맞추세요. 꽃은 그대 마음속에 거짓과 허위와 턱없는 허울과 가식을 태우는 불꽃입니다. 그대 마음에 불 지르세요. 꽃같이 아름다운 파멸은 세상에 없지요. 얼마나 많은 것이 소용돌이를 치다가 참지 못해 터지면 저렇게 붉게, 저렇게나 희게, 저렇게나 연분홍으로 피었다 지며 봄바람에 미쳐 저렇게 허공으로 흩어지겠습니까. 못 막지요. 못 참습니다.

 

가슴속의 꽃을 피워보세요

 

꽃은 우주의 생존 본능, 새로운 생명의 폭발이지요. 그 어떤 이성과 논리가 저 아름다운 자연의 전쟁을 말린답니까? 전쟁터에 뛰어드세요. 흥분의 도가니지요. 환희와 희열, 가식과 억압으로부터 터지는 봇물처럼 미어지는 자유의 환호가 꽃입니다. 세상의 끈을 놓아버리는 아름다운 손, 몸과 마음을 풀어 흩뿌리는 완전한 해방, 그 광기가, 그 끝, 그 세상의 끝이 꽃입니다. 이승도 저승도 없는 사랑의 완결, 사랑의 일치를 향한 찬란한 죽음이 꽃이지요. 꽃 아니 인생, 꽃 없는 인생 없습니다. 천지간에 꽃이 저리 난리를 치는데 당신은 지금 어느 골짜기를 캄캄하게 헤매시나요. 당신은, 당신이 지금 꽃입니다.

 

출처 <동아일보>

 

29047df854c3827e43f3ee39b70da346_1571718707_3808.jpg
 

■ 김 용택 시인 

굴비가 영어로는?

댓글 0 | 조회 6,655 | 2020.12.09
“여보, 당신 피타고라스 정리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어?” 필자가 “불쑥퀴즈”를 아내에게 던졌다. “글쎄, 생각날까 모르겠네, 배우긴 배웠는데 너무 오래돼서..… 더보기

직장 동료를 존중해서 항상 영어를 사용하기 바랍니다

댓글 0 | 조회 3,659 | 2020.06.23
지난 5월 27일 RNZ에 자극적인 기사가 올라왔다. 제목은 ‘English language-only sign at cafe taken down’으로, 번역하자면… 더보기

뉴질랜드 시내버스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3 | 2020.01.14
머리말2019년 11월 11일 (월요일)과 13일 (수요일) 이틀동안 오클랜드 남동부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회사 Go Bus의 East Tamaki and Airp… 더보기

노만남매를 파키스탄으로 돌려보내야만 했을까?

댓글 0 | 조회 3,084 | 2021.05.11
■ 김 무인머리말이 블로그의 주 탐사 주제는 ‘ethnic relations’와 ‘사회주의적 가치의 재발견/부활’ 이다. 그런 관점에서 한국에서 현재 진행 중인 … 더보기

코로나 19 시대, 외계인보다 문어가 더 궁금한 이유

댓글 0 | 조회 2,438 | 2020.10.29
코로나19 시대에 집콕 생활을 하다 보니 넷플릭스를 보는 이가 주변에 많다. 넷플릭스는 미국의 주문형 콘텐츠 서비스 제작업체인데, 재밌는 콘텐츠가 너무 많은 듯하… 더보기

우리는 영원히 이방인일까?

댓글 0 | 조회 2,268 | 2019.09.24
머리말1세대는 백프로 이방인(other)으로 살다 생을 마감한다고 본다. 이는 본인이 뉴질랜드를 얼마나 사랑하고 또 얼마나 많은 키위 친구들이 자기를 아끼는가 여… 더보기

사형수와의 인터뷰

댓글 0 | 조회 2,129 | 2020.05.13
올해 하반기는 ‘사형 확정자의 생활 실태와 특성’ 연구를 위해 구치소와 교도소를 제집 드나들 듯 다녔다. 1997년 12월 30일 집행을 마지막으로 현재 총 60… 더보기

아름다운 손

댓글 0 | 조회 2,047 | 2020.04.15
▲ Inspiringstory "The Praying Hands"​어느날 오후 내 눈 길이 우연히 아내의 손에 닿았다. 그리고 놀랐다. 어느새 굵어진 손 가락 뼈… 더보기

다양한 상속제도

댓글 0 | 조회 2,013 | 2019.11.27
인류역사상 가장 널리 퍼진 상속제도는 부계상속이다. 장남의 특권적 지위를 인정하는 장자상속을 비롯해, 막내아들이 재산을 상속하는 말자상속, 여러 아들들이 고루 나… 더보기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댓글 0 | 조회 1,967 | 2021.08.25
■ 김 무인1차 백신 주사를 며칠 전에 맞았는데 이게 생각보다 후유증이 있다. 콧물에 몸살 증세도 수반되어 sick leave를 내고 집에서 쉬고 있다. 쉬면서 … 더보기

한국은 여기까지다

댓글 0 | 조회 1,898 | 2023.02.01
선조들은 일제의 지배를 받았다. 1902년생으로 그 시절을 생생히 기억하는 외할아버지가 생전에 옛이야기를 많이 들려줬었다. 드라마에서 보는 잔인한 장면과 다른 증… 더보기

리더가 말하는 법

댓글 0 | 조회 1,893 | 2020.05.27
‘리더십=동기부여 역량’… 경청, 칭찬, 보상을 아끼지 말라① ‘경청’하고 인정하는 자세 - 스스로 성장하게 도와준다② 늘 누군가를 ‘칭찬’ 한다 - 우회적으로 … 더보기

그저 그런 사람이 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880 | 2019.05.29
현실만 해결하려는 혁명은 높은 곳에 다다를 수 없어꿈을 가진 학생이 더 큰 열매를 맺듯이 낮은 시선은 작은 결과 낳아머물고자 하면 머물고 날고자 하면 나는 것이 … 더보기

바이러스 질병의 감염과 공포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1,800 | 2020.02.26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우한(武漢) 폐렴’에 대한 공포가 플라스틱 미세 입자처럼 세계로 퍼져나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인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 더보기

1954년 2월, 한국에 온 마릴린 먼로

댓글 0 | 조회 1,778 | 2019.04.09
매년 2월이면 세기적인 매혹의 헐리우드 스타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M.M)가 떠오른다. 노마진 모텐슨이란 본명으로 가난한 고아로 태어나 195… 더보기

무엇을 물려줄 것인가

댓글 0 | 조회 1,753 | 2019.06.26
“올해 다들 환갑이라며?” 국어 선생님께서 물으셨다. 원탁에 둘러앉은 우리들은 누구랄 것도 없이 “네” 라고 답했다. 선생님 말씀 잘 듣던 모범생의 목소리도, 그… 더보기

말 잘하는 리더의 5가지 마음

댓글 0 | 조회 1,747 | 2020.11.11
리더의 말에는 ‘5심’이 있어야 한다. 말이 열매를 맺으려면 씨앗을 잘 심어야 한다. 말하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마음(心)이 말의 씨앗이다. 바로 그 씨앗이 좋아… 더보기
Now

현재 지금 당신이 꽃입니다

댓글 0 | 조회 1,710 | 2019.10.22
땅에 쑥 돋아납니다. 해 뜨면 쑥 잎 끝에 보석 같은 이슬방울이 반짝이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자연은 무궁무진무구입니다. 우리의 눈과 마음이 가 닿지 못한 … 더보기

기대하던 영화 ‘미나리’를 봤다

댓글 0 | 조회 1,699 | 2021.03.23
■ 오 길영 충남대학교 교수, 문학평론가기대하던 영화 ‘미나리’를 봤다. 단상을 적는다.- 먼저 간단한 줄거리.“낯선 미국에서 병아리를 감별하며 생계를 이어가던 … 더보기

대통령은 ‘대통령의 말’을 해야 한다

댓글 0 | 조회 1,688 | 2023.05.24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국빈 방문을 마치고 돌아왔다. 지난 일본 방문 때와 마찬가지로 국민은 윤 대통령의 방미를 가슴 졸이며 지켜봤다. 미국행 비행기를 타기 전부터… 더보기

도전 정신으로 훨훨 날으며

댓글 0 | 조회 1,668 | 2020.07.15
매년 11월3일은 학생독립운동 기념일로 지키고 있다고 한다. 이 기념일은 일본 강점 때인 1929년 11월 3일에 광주에서 일본 남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놀려 한국… 더보기

나이 들어서는 음•체•미

댓글 0 | 조회 1,657 | 2019.09.10
10대 후반에 학교 다닐 때는 ‘국어•영어•수학’ 과목이 중요하다. 여기서 결판이 난다. 명문대학에 들어가는 것도 국•영•수가 좌우한다. 진로와 직업은 명문대학을…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3)

댓글 0 | 조회 1,646 | 2021.07.14
이번의 역사적인 결정이 있기까지2022년부터 초중고에서 뉴질랜드 역사교육을 의무화하는 정부의 결정은 2019년에 발표되었는데 이는 2017년 노동당의 선거 공약에… 더보기

비극이 소극(笑劇)으로 끝나지 않기 위하여

댓글 0 | 조회 1,644 | 2020.04.23
이른바 ‘엔(N)번방 사건’은 여성 특히 아동과 청소년, 여성을 대상으로 성착취를 하고 불법촬영을 하여 이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대화방의 다수 회원에게 판매… 더보기

광주 환벽당

댓글 0 | 조회 1,635 | 2020.06.10
어지러운 세상, 시와 술로 달래던 김윤제의 ‘살롱’한시는 시풍에 따라 당시(唐詩), 송시(宋詩)로 나뉜다. 둘은 비슷하면서 다르다. 당시는 가슴으로 쓰고 송시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