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대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재난대비

0 개 2,048 정경란
작년 12월, 웰링턴에서 칼리지를 다니던 조카가 2년여의 유학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갔다. 서울 도심지에서 물 좋은 가평으로 전 가족이 이사를 가게 되어 그 곳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을 하게 되었다. 2년여의 뉴질랜드 생활을 통해 익힌 영어때문에 시골학교에서 영어가 탑이란다. 덕분에 아이의 자신감도 커지고 선생님과 친구들의 기대를 맞추기 위해 공부도 나름 열심이란다. 조카가 떠나고 난 후, 한동안 빈자리가 허전했다. 그래서 쓰던 책상이며 서랍장 그리고 이런 저런 소품들은 치우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사촌언니와 방을 함께 쓰던 막내딸은 밤마다 혼자 자기 무섭다고 불평이더니, 급기야는 한국에서 누구 다른 사람 불러오란다. 
 
그러던 차에, 지인의 전화를 받았다. 대학을 졸업한 딸이 워킹홀리데이로 호주와 뉴질랜드를 염두에 두고 있단다. 내가 뉴질랜드에 살고 있으니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유용한 정보나 조언을 구하는 전화였다. 뉴질랜드에 살다보니 아무런 근거없이 호주를 괜히 폄하하는(!) 편견이 생겨서였는지 아님, 호주 대도시로 어학공부하러 갔다가 한국사람만 잔뜩 보고 왔다는 어느 누군가의 수기를 읽어서 였는지, ‘호주는 비추입니다.’라고 했다. 그렇게 말하고 보니, 결론은 뉴질랜드로 와야한다는 조언이 되어버렸다. 거기서 멈췄으면 상관없는데, 아시안들이 많은 오클랜드보다는 웰링턴이 더 나을 것이다, 라고 한 걸음 더 나갔다. 
 
이런 저런 전화가 오고갔고, 웰링턴으로 오면 우리 집에서 당분간, 혹은 비자 기간 내내 머무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조카가 쓰던 침대가 있고, 룸메이트를 간절히 원하는 막내딸의 간청이 큰 변수로 작용했던 것이다. 지인의 딸은 한국에서 아동복지학을 전공했고 자신의 미래 경력을 위해 나름 탐색기를 갖고 있는 터였다. 실제 ‘언니’가 오고 나서 큰 덕을 보는 건 필자다. 삐지기 잘하는 막내 꼬마를 살살 잘 달래주기도 하고, 밤마다 서로 책을 읽어주는 건 물론, 꼬마가 ‘언니’의 영어발음을 교정시켜주기도 한다. 그래서 이제는 막내 딸이 ‘언니’를 부를땐, ‘우리 언니~’라고 부른다. 
 
그러던 차에 걱정이 하나 생겼다. 지진때문이다. 크라이스트쳐치의 악몽을 다들 기억하실터. 어학원 빌딩이 무너지고 한국인 쌍둥이 오누이가 다른 희생자들과 더불어 참사를 겪었다. 게다가 요즘 하루가 멀다하고 웰링턴에서는 강도높은 지진을 경험하고 있다. 남섬의 새든(Saddon)에서 멀지 않은 곳이 진앙지여서 진도 4.0만 넘어도 웰링턴에서 충분히 그 진동을 느낄수가 있다. 
 
‘언니’가 다니는 영어학교 건물이 4층 이상이다. 언제부터인가 필자는 시내에 가도 4~5층 이상 건물에 들어갈 때는 괜히 불안하다. 좌우 살피고, 볼일이 있어도 얼른 끝내고 나오는 편이다. 물론 비상구나 튼튼해 보이는 기둥을 눈여겨 보는 것도 중요하다. 얼마 전 진도 6.5를 겪었을 때, 그게 한국 메인포털에 한줄 뉴스로 났는지 어쨌는지, 지인이 ‘언니’에게 전화를 했다. 불안하다고. 또 그런 일이 있으면 그냥 한국으로 돌아오라고... 왜 아니겠는가. 원래 밖에 있는 사람들이 보기에 더 불안한 법이니까. 그래서 그때 이후로 나는 ‘언니’에게 지진을 느낄 때는 무조건 어디에 있든 책상 밑이나 바닥에 엎드릴 것, 잠잠해지면 건물 밖으로 나올 것을 당부했다. 
 
6.5이후 6.6 지진이 왔을 때였다. 당시 필자는 외부에 있었는데 뭔가 건물이 흔들리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더니 이후 땅바닥이 젤리처럼 출렁거리는 게 느껴졌다. 웬만한 흔들림에도 그다지 놀라지 않던 필자에게도 ‘젤리’처럼 출렁이던 땅바닥에 서 있던 경험은 충격적이었다. 그 이후로 우리는 만약 더 큰 지진이 왔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게 되었다. 일시적으로 단수되었을 경우, 물은 어디서 얻을 수 있는지. 전기가 끊어질 경우 취사와 난방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나름 현실적이고도 중요한 문제들을 이야기하고 점검한다. 재난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대비는 누구라도 할 수 있다. 라면을 쟁여놓는다고 대비가 다 끝난 것은 아닐 것이다. 더 이상 큰 지진이 영영 오지 않을 수도 있고, 아주 큰 게 올 수도 있다. 모르는 일이다. 그러니 심리적으로 대비하고 그 스트레스와 더불어 사는 법을 배울 일이다. 
 

한국어 잔혹사

댓글 0 | 조회 1,377 | 2012.10.25
에피소드 1 - 물고기와 생선 필자가 대학 4학년 때, 학점 관리를 잘못 하는 바람에 졸업에 필요한 학점에서 1학점이 모자라게 되었다. 얼마나 눈앞이 깜깜하던지.… 더보기

소풍

댓글 0 | 조회 1,427 | 2012.11.14
뉴질랜드에 살면서 가장 큰 변화라면 바로 쉽게 자연을 즐기는 길 수 있다는 점이다. 아주 내륙이 아니라면 웰링턴이나 오클랜드 어디서나 아름다운 해변에 쉽게 갈 수… 더보기

외국인

댓글 0 | 조회 1,436 | 2013.01.16
어려서부터 외국은 미국이었지 싶다. 외국인은 미국인, 즉 금발의 백인종만을 가리키는 배타적 어휘였다. 미국은 이민 국가이며 그러므로 온갖 인종의 나라라는 것을 사… 더보기

나의 절친 차이니즈

댓글 0 | 조회 1,479 | 2012.11.28
북섬과 남섬 이곳 저곳을 여행하다 보니, 어느 소도시를 가도 보이는 게 바로 차이니즈 피쉬앤칩스 였다. 중국인 이민 선배들이 현지음식과 그 현지인들의 입맛에 맞춰… 더보기

중고가게 순례기

댓글 0 | 조회 1,799 | 2012.12.12
한국에서는 중고가게를 가지 않았다. 주변에 없기도 없었거니와 ‘중고를 산다’는 것은 자동차에만 해당하는 특별한 구매 행위였지, 자잘한 소품이… 더보기

웰링턴은 공사중

댓글 0 | 조회 1,916 | 2013.11.12
▲ Te Papa Musium, Wellington, google image 새든지진이 있기 훨씬 전부터 웰링턴은 (오클랜드를 포함 대도시에서도) 지진 취약건물에… 더보기

전력대란

댓글 0 | 조회 1,982 | 2013.06.26
폭풍과 전력대란 얘기를 해야겠다. 간혹 오클랜드 일부 지역 혹은 남섬의 넬슨 지역이 폭우와 강한 돌풍으로 인해 전력 공급이 끊겼다는 소식을 저 먼동네 얘기로만 들… 더보기

현재 재난대비

댓글 0 | 조회 2,049 | 2013.08.28
작년 12월, 웰링턴에서 칼리지를 다니던 조카가 2년여의 유학생활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갔다. 서울 도심지에서 물 좋은 가평으로 전 가족이 이사를 가게 되어 그 … 더보기

남섬에서 찾은 역사적 지진의 흔적들

댓글 0 | 조회 2,110 | 2013.07.10
▲ 1921년 머치슨 지진 ‘전력대란’ 편으로 잠시 중단되었던 남섬 기행을 계속해보자. 뉴질랜드는 지진이 잦은 나라다. 대충 알고 왔다가 1… 더보기

도시락

댓글 0 | 조회 2,149 | 2012.09.11
한달에 4~5만원 (내가 한국을 떠나오던 2011년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만 내면 대한민국의 초중고생은 학교에서 점심을 먹을 수 있다. 일부 지역 학교에서는 아예… 더보기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과 박병선 박사-제 1편

댓글 0 | 조회 2,177 | 2013.02.27
1990년대 초반으로 기억한다. 영어 공부를 위해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주한미군방송인 AFKN을 시청하던 중이었다. 프로그램 이름은 ‘Jeopa… 더보기

벽난로 땔감 구하기

댓글 0 | 조회 2,303 | 2012.10.10
뉴질랜드에 처음 여행삼아 온 것이 2010년 1월 셋째주였다. 깨질 것처럼 파아란 하늘과 바다가 우릴 맞아주었다. 뉴질랜드인으로 한국 대학에서 강의하시던 지인의 … 더보기

페더스톤과 일본군 포로 수용소 (Ⅱ)

댓글 0 | 조회 2,303 | 2013.04.24
▶ 좌측으로부터 진혼석, 벗꽃동산, 녹나무(camphor tree), 당시 사망한 뉴질랜드병사의 묘지석 지난회에 페더스톤의 일본군 포로수용소에 얽힌 비극적 이야기… 더보기

헤브락(Havelock)과 물리학자 러더포드

댓글 0 | 조회 2,321 | 2013.05.29
북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남섬을 여행하기 위해선 국내선 비행기 혹은 페리를 이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요트나 보트를 가지고 있다면 항해하는 방법도 있다.… 더보기

세계 유일 폰 박물관과 석주명

댓글 0 | 조회 2,328 | 2013.01.31
한국을 여행 중이다. 이번 여행의 주제는 박물관기행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전국의 박물관을 훑고 있다. 제주도에 박물관이 무려 100여개 있다는 사실을 아시는지… 더보기

최초의 마오리 지질학자, 마틴 테 풍아(Ⅱ)

댓글 0 | 조회 2,369 | 2013.09.25
마틴 테 풍아에 대한 제 2편이라기 보다는 그의 아들과 아내 그리고 아이에 대한 이야기가 2편을 이룬다. 올해 3월 가을(아직도 계절을 거꾸로 돌리는 것이 익숙치… 더보기

외규장각 도서와 박병선 박사-제 2편

댓글 0 | 조회 2,380 | 2013.03.13
지난 번에 소개한 ‘직지’와 박병선 박사의 이야기를 이어 소개하고자 한다. 앞서 세계 최초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을 당시 프… 더보기

한국의 카메라 박물관과 알렉산더 맥카이

댓글 0 | 조회 2,381 | 2013.03.27
▶ 알렉산더 맥카이 (Alexander McKay: 1841-1910) 한국 과천에 가면 (4호선 어린이대공원역 4번 출구 바로 앞 건물) 사진작가이자 수십년간 … 더보기

최초의 마오리 지질학자, 마틴 테 풍아(Ⅰ)

댓글 0 | 조회 2,460 | 2013.09.11
웰링턴에서 차로 20분 정도 북쪽으로 가면 헛 밸리(Hutt Valley)가 나온다. 한때는 원시림이었다던 그곳에는 로어 헛(Lower Hutt)이라는 도시가 들… 더보기

페더스톤과 일본군 포로 수용소 (Ⅰ)

댓글 0 | 조회 2,474 | 2013.04.09
<출처: Masterton District Library and Wairarapa Archive, Te Ara Encyclopedia of New Zeala… 더보기

일본해냐 동해냐

댓글 0 | 조회 2,504 | 2014.02.12
최근 버지니아주 의회에서 주내 공립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 일본해와 동해를 병기하도록 하는 결의안을 발의했고, 이제 주지사의 서명만을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한… 더보기

앤작데이(ANZAC DAY) 유감

댓글 0 | 조회 2,519 | 2013.05.15
<뉴질랜드 병사 6.25 참전비, 가평> 얼마전 일간지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이곳 키위들은 와이탕이데이(Waitangi Day)보다 앤작데이(… 더보기

지진피해 현장을 찾아서

댓글 0 | 조회 2,588 | 2014.01.30
2014년 1월 20일 월요일 4시 50분경, 긴 지진을 경험했다. 날카롭지도, 짧은 순간 강력하지도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꽤 오랫동안 흔들림이 있었다. 이후 도미… 더보기

중국여행소감-광저우

댓글 0 | 조회 2,613 | 2014.01.14
중국 서쪽 사천성에서 동쪽으로 충칭, 항저우, 상하이를 아우르는 학술 답사를 다녀온 게 15년 전이었다. 대학원 박사과정 학생들로 구성된 학술답사팀은 2주 일정으… 더보기

살인적인 서비스 물가

댓글 0 | 조회 2,617 | 2013.10.22
그런 소리는 익히 들어서 알고 있었지만, 실제 겪어보니 ‘악’ 소리가 나올 지경이다. 지하실에 전구 두개 더 달기 위해 전기기사를 불렀다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