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 기대수명 90세 돌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국 여성 기대수명 90세 돌파

0 개 1,726 박명윤

세계보건기구(WHO)와 영국 런던 임페리얼칼리지(Imperial College London) 보건대학 연구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을 대상으로 2030년 출생자 평균 기대수명에 관한 조사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녀의 기대수명이 일본 등 세계 장수국가를 제치고 세계 최고에 오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결과보고서는 국제의학학술지 랜싯(Lancet) 최근호(2017 2)에 실렸다.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출생 한국 여성과 남성의 평균 기대수명은 각각 90.8세와 84.1세다. 수명 연장의 일등공신은 교육과 의료기술, 영양수준 등을 꼽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마지드 에자티 교수는 “한국인은 비만율, 흡연율, 고혈압 유병율 등이 낮다”면서 “높은 의료기술과 의료시설 접근성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2010년 통계와 비교하면 수명이 대폭 상승했다. 2010년 한국 여성과 남성의 기대수명은 각각 84.2세와 77.1세로 당시 일본 여성(86.7)과 남성(79.4)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2030년 한국 여성은 전체 조사 대상국 남녀를 통틀어 기대수명 90세를 유일하게 넘겼다. 한국 여성 다음으로는 프랑스(88.6), 일본(88.4), 스페인(88.1) 여성 등이 뒤따랐다.

 

한국 남성(84.1) 뒤에는 오스트리아(84), 스위스(83.9) 등이 근소한 차이로 각축을 벌였다. 한편 미국은 2030년 기대수명이 낮은 범주에 속했다. 여성과 남성의 기대수명은 각각 83.3세와 79.5세로 예측되어 헝가리, 멕시코 등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유는 부실한 의료보험 체계와 임산부 사망률, 비만율, 살인율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학 ‘보건계측ㆍ평가연구소’(IHME: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소장 크리스토퍼 머레이 박사와 세계 각국 전문가들이 참가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세계 195개국의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HAQ)를 평가하고 지수로 만들었다. 이는 주민들이 질병 예방과 건강유지를 위해 보편적 보건의료 서비스를 얼마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효과적인지를 뜻한다.

 

연구팀은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받으면 피할 수 있는 32개 질병의 사망률을 종합하는 등의 방식으로 점수를 산출했다. 국제의학 학술지 랜싯(Lancet) 최신호에 발표된 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보건의료 접근성과 품질’은 세계 195개국 가운데 23위로 평가됐다. 한국은 2015년 기준으로 종합 점수 100점 만점에 86점으로 독일, 싱가포르, 뉴질랜드, 덴마크, 이스라엘 등과 점수는 같았으나 순위는 뉴질랜드 다음인 23위를 기록했다.

 

한편 경제력과 군사력에서 세계 최강국이라고 일컬어지는 미국은 81점을 받아 세계 35위에 그쳤다. 북한은 62점으로 우즈베키스탄 등 7개국과 공동 101위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지난 25년 동안 보건의료 접근성과 품질이 가장 많이 향상된 나라로 한국, 터키, 페루, 중국, 몰디브 등을 꼽았다.

 

상위 20개국 중 호주와 일본(11)를 제외하면 모두 서유럽 국가들이 차지했다. 전체 1위는 안도라 공화국(95)이었으며 아이슬란드(94), 스위스(92), 스웨덴(90), 노르웨이(90), 호주(90), 핀란드(90), 스페인(90), 네덜란드(90), 룩셈부르크(89) 등의 순으로 10위권 안에 들었다. 1위를 차지한 안도라(Andorra) 공화국은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 피레네(Pyrenees)산맥에 위치한 인구 8 5천명의 작은 나라이다. 안도라는 나라 전체가 관세가 없는 면세(免稅) 쇼핑 천국이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인 기대수명(2015년 기준) 82.1년이다. 2015년에 태어난 아이들은 평균 82세까지 생존한다는 이야기다. 또한 여자(85.2)가 남자(79)보다 6년 이상 오래 산다. 한편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건강수명(2015년 기준)은 기대수명보다 짧은 73.2세였다. 이에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인 8.9년 동안은 다치거나 아픈 상태에서 살아간다는 의미다. 이 격차는 여성이 9.9년으로 남성(8.2)보다 컸다.

 

현재 한국인의 평균수명(平均壽命) 80세가 넘어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평균수명(기대수명)과 건강수명(健康壽命)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우리나라 보건의료 분야의 최대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를 줄여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 보건의료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2017년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3.8%로 내년이면 고령사회(노인인구 14%)가 된다. 2026년에는 노인 인구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인간 수명 100세를 내다보는 각종 의학적 관찰이 나오고 있다. 90대 노부모와 70대 자녀가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치매(癡呆)나 뇌졸중(腦卒中) 등에 시달리면서 장수하는 것은 결코 축복이 아니다. 따라서 건강하게 장수하여야 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16년도 사망한 65세 이상 노인 112420명을 대상으로 추적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사망 전 10년 동안 1명의 노인이 요양병원에서 347일 입원, 요양원에서 287일 입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가운데 요양병원과 요양원에 재원/입소 일수가 3000일 이상인 사람도 1464명에 달했다. 이들은 사망 전 10년 대부분을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보낸 셈이다.

 

이들에게 10년간 들어간 의료비/요양비는 총 3 1644억원이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5655억원을 그리고 노인이 5989억원을 부담했다. 건강보험에서 급여가 지급되는 요양병원은 노인성질환이 심한 사람 등이 입원대상이지만, 치료가 필요 없는 노인들이 입원하는 사례가 많아 건강보험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다. 전국에 요양병원 1428곳과 요양원 5,187곳이 운영 중이다.

 

70대 이상 노인들은 인생 황혼 길에서 걸리지 말아야 할 질병으로 대개 세 가지를 꼽는다. 즉 중풍(中風)이라 부르는 뇌졸중, 노망(老妄)이라고 부르는 치매, 그리고 각종 암()이다. 이 세 가지 중에서 가장 경계해야 하는 것이 치매이다암과 뇌졸중은 본인이 자각할 수 있는 질병이므로 자기 자신이 고통을 받는 데 그칠 수 있다. 그러나 치매는 본인은 전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인 입장에서는 행복(?)하지만, 환자 주변 모두를 황폐화시킬 개연성(蓋然性, probability)이 높기 때문에 가장 악질(惡疾)로 꼽혀 꼭 피하고 싶은 질병이다

 

노부부 중 한 사람이 치매로 고생할 경우 동반자살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다. 몇 년 전에는 88세 남편이 치매에 걸린 부인을 승용차에 태우고 저수지로 돌진하여 자살한 사건이 발생했다. 남편이 남긴 유서에는 “이 길이 우리가 가야 할 가장 행복한 길이다”라고 적혀있었다. 고령화로 급진하는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준 사건이며, 문제는 앞으로 노부부의 동반자살이 다반사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건강하게 100세 시대를 맞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 주변에 노년기를 건강하게 보내는 사람들도 많다. 예를 들면, 필자가 매주 일요일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sity Church)에서 인사드리는 김옥라(金玉羅) 박사(신학, 각당복지재단 초대이사장, 세계감리교여성연합회장 역임)는 금년에 99(1918년生)이지만 곳곳한 자세로 걸어 다닌다. 11시 예배 전에 10시부터 시작하는 성경공부에도 참석하고 있다. 또한 평일 아침에는 종로구 신문로 소재 각당복지재단 사무실에서 직원들과 함께 기도를 드리고, 찬송가를 부른다.

 

필자의 빙부(聘父) 이종항(李鍾恒) 박사(법학, 국민대 명예교수, 총장 역임)는 금년 1 98(1919년生)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필자가 지켜본 건강비결은 세끼 식사를 맛있게 먹고, 수면은 8시간 정도 숙면을 취하고, 운동(실내 자전거 타기)도 매일 40분 정도, 그리고 매일 신문을 읽고 취침 전에 일기를 쓰는 습관이 있었다. 매주 토요일 저녁에는 우리 가족 8명과 함께 서울시내 ‘맛집’을 찾아 즐겁게 저녁식사를 하면서 훈훈한 가족 사랑을 나누었다. 감기로 인한 폐렴(肺炎)으로 병원에 약 1주일정도 입원치료 중에 별세했다.

 

노년기에 “아픈 장수(長壽)는 축복이 아니다”라는 것을 명심하고, 평소 건강수칙에 따라 건강관리를 충실히 하여 ‘건강한 장수’를 누리다가 이 세상을 하직하여야 한다. 인생은 “B to D”라는 말이 있다. 즉 출생(birth, )을 의미하는 B와 사망(death, )을 의미하는 D가 있으며, B D 사이에는 C(choice, 선택)가 있다. 이에 당신의 선택에 따라 노후가 ‘아픈 장수’가 될 수도, ‘건강한 장수’가 될 수도 있다. 

오미크론 변종 FLiRT

댓글 0 | 조회 779 | 10시간전
신종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Omicron)의 하위 변종 ‘FLiRT’이 올여름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시카고트리뷴(Chicago T… 더보기

'2025 한국대학 입시 분석 및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278 | 14시간전
드디어 한국대학들이 각 대학별로 2025학년도 특별전형과 수시모집요강을 5월 말과 6월초에 발표 하였다. 사실 특별전형은 7월 접수이기 때문에 대부분 4월이면 발… 더보기

오토파지 디톡스가 이런 일까지도 한다

댓글 0 | 조회 387 | 5일전
오토파지와 디톡스는 살아 있는 세포로 구성된 우리의 몸의 고유의 기능이다. 우리가 우리 몸에 잠재되어 있는 이런 탁월한 기능을 잘 사용한다면 불필요한 것들에서 해… 더보기

남북, ‘동족’은 아니라 해도 적이 될 필요야…

댓글 0 | 조회 774 | 10일전
▲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지난 14일 신형 지상 대 해상 미사일 ‘바다수리-6’형 검수사격시험을 지도하며 ‘해상 주권’을 무력 행사로 지켜야 … 더보기

가정용 온수 시스템 비교

댓글 0 | 조회 787 | 10일전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요즘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어요. 생필품뿐만 아니라 물값, 전기값 모두가 올라서 난방비도 큰 걱정거리가 되었죠. 여러분… 더보기

유학후 이민과정 활용 가이드

댓글 0 | 조회 686 | 10일전
뉴질랜드 영주권 비자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은 현재로서는 상당히 제한적이지요. 과거에는 심지어 “형제초청이민”이라는 카테고리가 존재할 정도로 다양한 루트가 있어서 … 더보기

포기를 포기하라

댓글 0 | 조회 247 | 10일전
5월이 끝나갑니다.벌써 2024년의 1/3를 넘겼고 이제 얼마지나지 않아 올해의 한 가운데를 지나게 되었습니다. 도대체 그동안 뭐 한 일이 있다고 이렇게 시간이 … 더보기

이만큼의 은혜

댓글 0 | 조회 175 | 10일전
■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기까지 와서 돌아보니 내가 지닌 능력에 비해 이렇게까지 나를 높여 주신 것은 모두 하나님의 은혜였습니다.작은 교회 목사 아들로 태어나 … 더보기

청춘

댓글 0 | 조회 117 | 2024.05.28
시인 사뮤엘 울만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마음가짐을 뜻하나니장밋빛 볼, 붉은 입술, 부드러운 무릎이 아니라풍부한 상상력과 왕성한 감수성과 의지력그리고… 더보기

창 밖은 아파트

댓글 0 | 조회 536 | 2024.05.28
지금도 변함없지만 이 집에 처음 입주했을 당시 뒷편 큰 도로 주변은 어수선했다. 주유소부터 목공소, 침대공장, 무슨무슨 모터스며 공구상, 자동차 판매점까지 무질서… 더보기

숲의 성장 소설을 읽다

댓글 0 | 조회 145 | 2024.05.28
인제 백담사 숲 명상숲으로 난 길을 걸어가며마음을 찾는 아이가 되어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고숲이 부풀어 올랐다가 가라앉으면나무들과 나뭇잎과 이끼와 양치류가,새들이 풀…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200 | 2024.05.28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콩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기 계통과 비뇨기 계통을 지칭한다. 간장과 신장이 약한 어린이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할…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41 | 2024.05.28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임시직 피고용인으로 고용관계법에 정의되어 있는 개념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에게 보장된 … 더보기

기적의 오토파지 금식과 디톡스

댓글 0 | 조회 341 | 2024.05.28
1. 오토파지의 정의오토파지는 그리스어이고, 의미는 자가포식이다. 이것은 세포 내의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나 사멸된 세포 쓰레기를 먹어 치우는 세포의 고유 기능을 지… 더보기

72근의 정(精)을 아껴라

댓글 0 | 조회 186 | 2024.05.28
인간은 태어날 때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부여받지는 않습니다. 에너지는 유한하기에 인간이라고 해서 마냥 받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그래서 받는 … 더보기

나이 들면 뭐가 중헌디?

댓글 0 | 조회 776 | 2024.05.25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인에게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의 운동을 할 것을 권장한다. 또 근력 운동과 균형 운동은 적어도 일주일에 두 번… 더보기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과 운동

댓글 0 | 조회 969 | 2024.05.20
1.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장이 회복되기 위해서 노력을 해야 하며, 약 66일간만 노력하면 습관이 들어 (뇌 습관 회로가 바뀜), 쉽게 평생 좋은 식습관…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69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가스 안전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363 | 2024.05.15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오늘은 뉴질랜드에서의 가스 에너지 사용 및 관련 안전 지침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뉴질랜드는 주요 에너지원 중 하나로… 더보기

멀어도 멀지 않은 길

댓글 0 | 조회 182 | 2024.05.15
스페인에서 온 연인의 범어사 템플스테이그런 길이 있다.분명 긴 시간을 내야만 도착지에 이를 수 있는 길인데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설레고 기다려지는 길.길에 오르기 시… 더보기

종자

댓글 0 | 조회 150 | 2024.05.15
시인 최 재호울음 그친 하늘이 다시 내게로 온다짓눌렸던 평온을 쓰다듬어희망의 늦잠을 깨우며거리엔 청소 끝난 하수를 흘려 보내듯그 눈물로 긴 여정 끝의 내 더러운 … 더보기

알고 나면 속 시원한 학생비자

댓글 0 | 조회 555 | 2024.05.15
뉴질랜드에서 학업을 시작하고자 하면, 그에 걸 맞는 비자상태를 득한 상태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 접하게 되는 순간, 소위 …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571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셔츠데이(Pink Shirt Day) 입니다. 핑크셔츠데이는 뉴질랜드에서 일어나는 괴롭힘을 근절하고자 만든 날입니다. 뉴질랜드… 더보기

잔인한 5월

댓글 0 | 조회 527 | 2024.05.15
‘그니까요 쌤~ 제가 자~알 알아 들었다니까요~ 잔소리는 이제 그마~~안~~’누가 선생이고 누가 학생인지 헷갈릴 정도로 Y의 목소리는 평온했습니다. 이미 이렇게 … 더보기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식사와 생활 습관

댓글 0 | 조회 914 | 2024.05.14
1. 유익균이 좋아하는 음식과 습관들유익균은 주로 섬유질을 좋아한다. 유익균은 섬유질을 분해하여 다른 좋은 물질들을 만드는 일을 한다. 충분한 섬유질을 먹지 않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