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애의 정신으로 생명과 자유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무애의 정신으로 생명과 자유를……

0 개 1,964 한일수

 01f4525858ae0935c521186de714752c_1486513936_4984.jpg

 

“박물학자들이 벼룩을 보니 그 벼룩보다도 더 작은 벼룩이 붙어서 뜯어 먹고 있다. 그리고 이 벼룩에는 더 작은 벼룩이 붙어서 뜯어먹으니 그렇게 한 없이 계속된다.”『걸리버 여행기』의 저자 죠나단 스위프트(Jonathan Swift, 1667-1745)의 말이다. 아주 작은 벌레인 벼룩의 세계가 그럴진대 인간 사회야 오죽 하겠는가? 라는 생각도 든다. 온갖 부조리와 부패, 모순된 사회 구조 속에서 좀 더 영혼의 자유를 누리고 안식을 취할 수 있는 길은 없을까?

 

영원한 자유인으로 위대한 사상적 업적을 남기고 간 신라 시대의 원효대사(元曉大師, 617-686)를 떠올린다. 그의 무애사상(無碍思想)은 혼탁한 현대사회의 등불 같은 가르침이다. 세상에 존재하는 일체의 모든 현상들 하나하나가 다른 점과 같은 점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서로의 다른 점과 같은 점을 인정하면서 상호 긍정될 때,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대 자유인 무애의 삶에 이를 수 있다는 가르침이다. 

 

다른 견해와 주장들이 흑백의 대결로 서로 충돌하여 손상을 입히는 것이 아니라, 융섭(融攝)의 논리로 화회(和會) 회통(會通)시키는 것이다. 이는 불교 종파 안에서만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종교 간의 갈등, 국가 간, 또는 국가내의 반목과 대립, 노사분쟁 등 국내외적인 현실에서 적용할 수 있다. 자기주장만 고집하는 소견이 좁은 사람을 ‘갈대 구멍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무식쟁이에 비유할 수 있다.

 

원효는 중생교화의 길을 떠날 때 ‘무애’ 라는 이름의 박을 치고 다니면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고 한다. 이 때 부른 노래가 화엄경에서‘일체무애인 일도출생사(一體無碍人 一道出生死)’의 내용을 담은「무애가」이다. 무애는 장애가 없고 거침이 없는 정신세계를 표현한 말로 불교에서 깨달음의 경지나 도인의 삶을 말할 때 무애자재(無碍自在)라고 한다. ‘모든 바깥 경계에 장애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인 사람은 단번에 거침이 없이 삶과 죽음을 벗어난다’라는 뜻이 되겠다. 승려는 결혼할 수 없다는 불교의 원래 교리를 깨고 원효는 태종무열왕의 둘째 요석 공주와 결혼해 한국 최초의 대처승이 되었으며 아들 설총을 낳았고 설총은 이두문자를 창안했다.  

 

무애가의 현대식 버전에서 ‘사생결단 수연성(死生決斷 隨緣成)’이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새겨들을 만하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네 가지의 삶도 단절해야만 바라는 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첫째는 태생(胎生)이다. 탯줄을 끊지 못하듯 연줄에 얽매이는 삶과 단절해야한다. 둘째는 난생(卵生)이다. 껍질을 깨고 나오지를 못해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삶과의 단절이다. 셋째는 습생(習生)이다. 습관도 버리지 못해 반복되는 생활에 젖어 있는 삶을 떨쳐버려야 한다. 넷째는 화생(化生)이다. 안정되지 못하고 이랬다저랬다 하며 뒤바뀌는 삶과 끊고 단절해야만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작년 하반기 이후 금년까지 가장 한국인에게 회자되었던, 많은 것들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는 두 인물은 단연 김기춘, 조윤선 이라고 말할 수  있다. 김기춘 씨는 젊은 나이에 권력의 최 상층부에 개입하기 시작해서 40년이 넘게 개인의 욕망을 채우고 최고의 권위를 누리며 한국 사회를 좌지우지했던 인물이다. 그러나 장애가 끊임없었던 그의 삶은 영혼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은 아니었다. 그 자신이 어느 인터뷰에서 말했던 대로 가진 권력의 70-80% 만 휘둘렀더라도 그의 노년이 작금의 사태와 같이 무너지지는 않았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더욱이 노쇠한 나이에 다시 권력의 앞잡이에 등장만 아니 했더라도 인생의 위기는 모면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욕심이 지나쳤다는 평가가 나올만하다.

 

조윤선 씨는 젊은 나이에 너무 일찍 권력의 올가미에 걸려 헤어 나오지 못한 듯하다. 나중에는 자신이 그 마술에 취해 자기가 아니면 국가적인 큰일을 해낼 사람이 없을 거라는 과대망상증에 걸린 태도도 보여주었다. 구속되는 마지막 순간까지 장관이라는 직위를 움켜쥐고 있었다. 실력과 지성(知性)은 다르다. 공부를 잘해서 좋은 대학을 나오고 고시에 합격해서 어느 직위를 확보하는 것하고 사물에 대한 판단력이 냉철하고 어떤 사안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견지하는 것 하고는 다르다고 불 수 있다.   

            

일제 치하에서 민족적 울분을 시로 토해냈던 윤동주(尹東柱 1917-1941)시인의 서시(序詩)를 되새겨 본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잎 새에 부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시인은 80여 년 전 일제 암흑기에 벌써 조국의 앞날을 걱정하며 자기 자신의 힘이 무력했음을 통탄하는 듯 부끄러운 심정을 토해낸 것 같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투사와 같은 삶은 못살더라도 역사와 국민 앞에 부끄러운 삶은 살지 말아야 되는 것이 아닌가?   

 

‘완벽이란 더 이상 보탤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뺄 것이 없을 때 이루어진다’ 생텍쥐페리(Saint-Exupery, 1900-1944)가 남긴 말이다. 공간을 비우고 마음을 채우되 단순하게 사는 행복, 단순한 삶이 주는 충만함을 느끼는 미니멀 라이프(Minimal life)를 추구하며 살아가면 어떨까? 우리는 시간과 돈을 별도로 투지하지 않더라도 세상 사람들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 재능 즉 칠무재시 진공덕(七無財施 眞供德)을 발휘할 수 있다. 부드러운 눈빛, 온화한 얼굴, 공손한 말, 예의바른 몸가짐, 어진마음, 양보와 배려로 참된 덕을 쌓아갈 수 있는 것이다. 

남북, ‘동족’은 아니라 해도 적이 될 필요야…

댓글 0 | 조회 669 | 3일전
▲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지난 14일 신형 지상 대 해상 미사일 ‘바다수리-6’형 검수사격시험을 지도하며 ‘해상 주권’을 무력 행사로 지켜야 … 더보기

가정용 온수 시스템 비교

댓글 0 | 조회 685 | 3일전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요즘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어요. 생필품뿐만 아니라 물값, 전기값 모두가 올라서 난방비도 큰 걱정거리가 되었죠. 여러분… 더보기

유학후 이민과정 활용 가이드

댓글 0 | 조회 577 | 3일전
뉴질랜드 영주권 비자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은 현재로서는 상당히 제한적이지요. 과거에는 심지어 “형제초청이민”이라는 카테고리가 존재할 정도로 다양한 루트가 있어서 … 더보기

포기를 포기하라

댓글 0 | 조회 215 | 3일전
5월이 끝나갑니다.벌써 2024년의 1/3를 넘겼고 이제 얼마지나지 않아 올해의 한 가운데를 지나게 되었습니다. 도대체 그동안 뭐 한 일이 있다고 이렇게 시간이 … 더보기

이만큼의 은혜

댓글 0 | 조회 142 | 3일전
■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기까지 와서 돌아보니 내가 지닌 능력에 비해 이렇게까지 나를 높여 주신 것은 모두 하나님의 은혜였습니다.작은 교회 목사 아들로 태어나 … 더보기

청춘

댓글 0 | 조회 104 | 4일전
시인 사뮤엘 울만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마음가짐을 뜻하나니장밋빛 볼, 붉은 입술, 부드러운 무릎이 아니라풍부한 상상력과 왕성한 감수성과 의지력그리고… 더보기

창 밖은 아파트

댓글 0 | 조회 488 | 4일전
지금도 변함없지만 이 집에 처음 입주했을 당시 뒷편 큰 도로 주변은 어수선했다. 주유소부터 목공소, 침대공장, 무슨무슨 모터스며 공구상, 자동차 판매점까지 무질서… 더보기

숲의 성장 소설을 읽다

댓글 0 | 조회 112 | 4일전
인제 백담사 숲 명상숲으로 난 길을 걸어가며마음을 찾는 아이가 되어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고숲이 부풀어 올랐다가 가라앉으면나무들과 나뭇잎과 이끼와 양치류가,새들이 풀…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189 | 4일전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콩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기 계통과 비뇨기 계통을 지칭한다. 간장과 신장이 약한 어린이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할…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22 | 4일전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임시직 피고용인으로 고용관계법에 정의되어 있는 개념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에게 보장된 … 더보기

기적의 오토파지 금식과 디톡스

댓글 0 | 조회 294 | 4일전
1. 오토파지의 정의오토파지는 그리스어이고, 의미는 자가포식이다. 이것은 세포 내의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나 사멸된 세포 쓰레기를 먹어 치우는 세포의 고유 기능을 지… 더보기

72근의 정(精)을 아껴라

댓글 0 | 조회 153 | 4일전
인간은 태어날 때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부여받지는 않습니다. 에너지는 유한하기에 인간이라고 해서 마냥 받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그래서 받는 … 더보기

나이 들면 뭐가 중헌디?

댓글 0 | 조회 765 | 8일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인에게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의 운동을 할 것을 권장한다. 또 근력 운동과 균형 운동은 적어도 일주일에 두 번… 더보기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과 운동

댓글 0 | 조회 953 | 2024.05.20
1.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장이 회복되기 위해서 노력을 해야 하며, 약 66일간만 노력하면 습관이 들어 (뇌 습관 회로가 바뀜), 쉽게 평생 좋은 식습관…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46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가스 안전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347 | 2024.05.15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오늘은 뉴질랜드에서의 가스 에너지 사용 및 관련 안전 지침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뉴질랜드는 주요 에너지원 중 하나로… 더보기

멀어도 멀지 않은 길

댓글 0 | 조회 176 | 2024.05.15
스페인에서 온 연인의 범어사 템플스테이그런 길이 있다.분명 긴 시간을 내야만 도착지에 이를 수 있는 길인데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설레고 기다려지는 길.길에 오르기 시… 더보기

종자

댓글 0 | 조회 143 | 2024.05.15
시인 최 재호울음 그친 하늘이 다시 내게로 온다짓눌렸던 평온을 쓰다듬어희망의 늦잠을 깨우며거리엔 청소 끝난 하수를 흘려 보내듯그 눈물로 긴 여정 끝의 내 더러운 … 더보기

알고 나면 속 시원한 학생비자

댓글 0 | 조회 539 | 2024.05.15
뉴질랜드에서 학업을 시작하고자 하면, 그에 걸 맞는 비자상태를 득한 상태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 접하게 되는 순간, 소위 …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551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셔츠데이(Pink Shirt Day) 입니다. 핑크셔츠데이는 뉴질랜드에서 일어나는 괴롭힘을 근절하고자 만든 날입니다. 뉴질랜드… 더보기

잔인한 5월

댓글 0 | 조회 497 | 2024.05.15
‘그니까요 쌤~ 제가 자~알 알아 들었다니까요~ 잔소리는 이제 그마~~안~~’누가 선생이고 누가 학생인지 헷갈릴 정도로 Y의 목소리는 평온했습니다. 이미 이렇게 … 더보기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식사와 생활 습관

댓글 0 | 조회 896 | 2024.05.14
1. 유익균이 좋아하는 음식과 습관들유익균은 주로 섬유질을 좋아한다. 유익균은 섬유질을 분해하여 다른 좋은 물질들을 만드는 일을 한다. 충분한 섬유질을 먹지 않으… 더보기

두 죽음의 방식: 홍세화와 서경식

댓글 0 | 조회 550 | 2024.05.14
▲ 왼쪽부터 고 홍세화 장발장은행장, 고 서경식 일본 도쿄경제대 명예교수. 한겨레 자료사진지난 4월20일 오후에는 2023년 12월18일 세상을 뜬 재일 디아스포… 더보기

우리 명상은 철저한 내공

댓글 0 | 조회 171 | 2024.05.14
명상에는 크게 외공(外功)과 내공(內功)이 있습니다. 외공이란 기운을 밖으로 발산해서 무술을 하거나, 병을 고치거나 하는 것으로서 기공(氣功)은 거의 다 외공입니… 더보기

쓰레기통을 내어 놓다가

댓글 0 | 조회 996 | 2024.05.14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양이 발걸음도 들리려는 밤쓰레기통 내어 놓다가밤하늘이 고와그대로 먼 길 떠나한 사흘쯤 걸어얼기설기 사립문발끝걸음 들어서면토방에 놓인 신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