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과 Sushi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김밥과 Sushi

7 4,540 코리아포스트
9년 전, 시내 아파트에 살고 있을 때 다운타운 쇼핑 센터는 나의 산책 코스였다. 쇼핑센터 일층 뒤쪽에는 스시 집이 있었는데, 그 앞을 지날 때면 항상 해물과 생선, 야채들의 풍미가 어우러진 시금털털한 냄새가 훅 끼쳐 왔다. 십 수명이나 되는 직원들이 잰 손놀림으로 만들어 내는 다양한 스시는 만들기 무섭게 팔려 나갔고, 때문에 그 집 스시는 밥알이 항상 촉촉했다.

그 스시집은 큰 쇼핑센터마다 어김없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어느 곳 하나 뒤처짐없이, 날개 돋친 듯 스시가 팔렸다. 이쯤되면 배가 살살 아프고, 참기름과 깨소금을 넣고 비벼서 단무지와 시금치, 계란 등을 넣고 만든 고소한 한국식 김밥이 서글픔으로 다가온다. 나아가 열등감에 삐뚤어져서 스시는 한 팩 사면서 간장은 두어개나 달래서 스시를 간장에 푹 담갔다 먹는 키위들을 비웃기도 한다.

“도대체 음식을 간장 맛으로 먹는 거야?”

그러던 내가 엊그저께 westfield shopping center에 갔다 가 어김없이 북적이는 그 스시집 앞에서 침을 꼴깍 삼켰다. 나는 많은 사람들 사이를 뚫고 간신히 스시 한 팩을 골랐다. 그리고 집에 와서 좋아라하며 스시팩을 열고 간장에 와사비를 듬뿍 풀어 스시를 푹 담갔다(ㅠㅠ). 아아, 부드러운 연어와 아보카도, 촉촉한 밥알이 살살 녹았다. 얇게 저민 생강을 살풋 베어물자 입안이 깔끔하게 정리되었다.

불황이 없는 스시집의 노하우는 무엇일까? 스시는 되는데 김밥은 왜 안되는가? 낫또는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청국장은 왜 인기가 없는가? 냄새 때문에? 냄새 없앤 청국장을 나는 청국장이라고 부르고 싶지 않다. 음식의 맛은 모름지기 눈, 코, 입, 귀 등등에서 함께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냄새 조차도 한식의 풍미이며 우수함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릴 것인가?

세계는 지금 음식과의 전쟁을 한판 치르고 있다.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를 위시해서 일본, 태국 등이 자국의 음식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밥그릇 싸움이 치열한 것은 전 세계 식료품 시장 규모가 자동차 산업의 2.5배인 4조 4000억불이나 되기 때문이다

한국은 지난 해,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약 4천만 달러를 투자해서 2017년까지 한국 식당수를 전세계에 4만 개로 늘린다고 발표했다. 5월 4일에는 '한식 세계화 추진단'이 공식 출범하면서 한식 이미지 업그레이드, 요리 명장 양성 등의 구체적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한식당 수가 부족해서 세계인들이 한식을 즐기지 못하는가. 오클랜드만 해도 한국인이 운영하는 식당이 150여 개가 넘는다(물론 일식, 중식, 퓨전 스타일 등 모두 포함해서지만). 사람들의 입맛은 간사하지만 우직하기도 해서 식당수나 요리사를 늘리는 단순한 노력은 별 의미가 없다. 스테이크를 즐겨 먹던 사람이 갑자기 비빔밥을 좋아하는 일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한국의 정신이 먼저 세계인의 눈과 귀와 혼을 사로잡아야 한다. 음식 전쟁은 치밀한 전략과 물밑 작업이 필요한 고도의 머리 싸움이다. 즉, 한국의 문화가 알려지고 이해되어야 비로소 한국 음식에 젓가락이 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21세기의 신조어로 컬처노믹스(culture+economics)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과거에는 노동과 생산을 통해 부가 창출되었지만, 21세기의 산업은 문화와 융합되지 않고서는 부를 만들어 낼 수 없다는 것. 예를 들어 한국 드라마가 한류 열풍을 만들어 내면서 그 드라마 속 음식이나 상품들에 대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생기게 되고 그것은 구매와 연결이 된다는 것.그런데 뉴질랜드는 한류는 커녕 KOREA가 어디 붙어 있는 지 조차 모르는 무지함과 무관심 속에 있다. 모르는 데 어떻게 먹을 수 있겠는가? 뉴질랜드에서 한식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은 한국 문화에 무지한 분위기와 국가 이미지를 매번 똥칠하는 한국 정치의 책임이 크다. 머리 쥐어뜯고 몸싸움 하고 힘센 놈이 밀어붙이면 다 되는 집에서 맛있고 건강에 좋은 음식을 만들어 놓았단다.

“와서 드셔 보세요.”

상냥한 웃음과 산해진미로 유혹해보지만, 뒤가 구리고 불합리가 범벅이 된 음식은 외면 당한다. 국가 브랜드 이미지가 높아지는 정결한 문화가 없이는 21세기의 사업이 잘 될 리가 없다. 미국의 정치학자인 조셉 나이의 소프트 파워 이론은 음식 장사를 하는 데도 꼭 필요한 요소다.

<사람의 마음을 끄는 문화, 국내외에서 보여 준 정치적 가치,적법하고 도덕적 권위를 지닌 외교 정책 등.>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브로드웨이의 난타 공연장에서 비빔밥이 함께 어우러질지도 모른다고 한다. 뉴질랜드 이민 1세대인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모든 일에는 초석과 선구자적인 각성이 필요하다. 우리는 지금 한국 음식을 먹이려는 일보다는 한국 문화의 베이스를 마련하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뉴질랜드에서도 크고 작은 한인 행사가 많은데, 그때 한식 파티를 해야 한다. 행사는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열어 한국 문화의 바탕 다지기에 부지런을 떨어야 한다. 한국 문화에 흠뻑 매료된 이들에게 제대로 된 한식 요리를 대접하고 그들의 입소문으로 이 행사는 점차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게 되고---. 거기에 한식은 청결하다, 좋은 식재료를 사용한다, 메뉴가 표준화되어 있다, 결코 조악하지 않고 품격 있다, 한식당 운영자들은 양심과 질서에 위배되지 않는 비즈니스 마인드를 갖고 있다,라는 인식이 더해진다면 자연히 한식이 당기게 되고, 한식=대박의 등식이 성립되지 않을까, 희망을 품어 본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ad
글 잘 읽었습니다.

프로다운 안목과 분석 그리고 간결하면서도 힘있는 문장!

찬사를 보냅니다.
김영나
wad님!

감사드립니다.

부족한 점이 많은 데 애정 어린 눈길로 봐 주셔서 큰 힘을 얻습니다.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lure
흠... 저도 동감입니다..

키위를 우리 수준으로 끌어내릴것이 아니라

우리가 직접 그들의 눈높이에 맞는 음식을 선보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듯...
깔끔이
난 오클랜드에 한국인이 운영하는 스시집이 백여개 된다고 보고

일거리를 제공한 일본인에게 감사하고 싶네요- 일식당도 마찬가지

어차피 음식의 세계화는 퓨전 내지 변화를 요구합니다.

일본인도 여기 파는 스시보고 김 필자같은 소리를 할지도 모릅니다.

이상론만 갖고는 안 통하죠.

월남음식 먹어러 가면서 그 음식이 진짜전통음식인지 아닌지

따지지 않죠, 맛있고, 깔끔하고 특색있으면 통하죠

- 그 날 조리한 것은 다음 날 다 버리고 !

 청국장 김치등에서는 나오는 냄새는 서양인이 Offensive라고 표현하데요.

오징어 굽는 냄새는 시체타는 냄새..

한국의 많은 언론들의 논조처럼- 너무 문학소녀tic한,

일제서 독립운동하던 자세에서 못 벋어난게 아닌지요.



단무지조차 일제 때 일본서 들어온 음식- 다꾸앙 스님이 만들었고..



년전 한국 경복궁 야외식당서 김밥 먹고 식중독 3일 고생했소.

여름에 랩에 말아 2-3일 보관하고 파니깐.. 한국에서 이런 일이 다반사-

반찬을 수일-수주일간 보관하니깐요
yousmile
백인들  중에  물 쥐도 잡아서 요리하여 즐깁 니다.

썩은 치즈 냄새 나는 치즈 좋아 하지요.  청국장은  그 치즈에 비하면  양반 냄새 입니다.

즉 음식 문화의  차이 입니다.

말고기는 그들이 먹지만  한국인은  관심이 없지요.

음식 위생이 대힌 기본 정직성이 한국인에게는 필수 입니다.

저도 한국 방문 동안 식 중독으로  병원에 입원 했습니다.
유마암
키위들 꼭 간장2개를 달라데요. 난 하나면 충분한데..

그 일본간장 키코만의 회장 인터뷰 기사에 의하면

해외용 간장 개발하는데 10여년 걸렸다는데요.



유식하기- 스시를 즈시를 발음할 때는 니기리 즈시, 해물 즈시등 한자어 뒤에 올 때.



뉴질랜드 최고 스시맛은 푸케코헤 이사장네 비밀 래시피.

 메뉴가 45가지...30불짜리 파티팩이

인기인데 형형색색이라 키위들 파티 구색에 딱.
김영나
박선생님! 고맙군요.댓글을 두 개나 달아주시고---

남북, ‘동족’은 아니라 해도 적이 될 필요야…

댓글 0 | 조회 646 | 2일전
▲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지난 14일 신형 지상 대 해상 미사일 ‘바다수리-6’형 검수사격시험을 지도하며 ‘해상 주권’을 무력 행사로 지켜야 … 더보기

가정용 온수 시스템 비교

댓글 0 | 조회 660 | 2일전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요즘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어요. 생필품뿐만 아니라 물값, 전기값 모두가 올라서 난방비도 큰 걱정거리가 되었죠. 여러분… 더보기

유학후 이민과정 활용 가이드

댓글 0 | 조회 546 | 2일전
뉴질랜드 영주권 비자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은 현재로서는 상당히 제한적이지요. 과거에는 심지어 “형제초청이민”이라는 카테고리가 존재할 정도로 다양한 루트가 있어서 … 더보기

포기를 포기하라

댓글 0 | 조회 207 | 2일전
5월이 끝나갑니다.벌써 2024년의 1/3를 넘겼고 이제 얼마지나지 않아 올해의 한 가운데를 지나게 되었습니다. 도대체 그동안 뭐 한 일이 있다고 이렇게 시간이 … 더보기

이만큼의 은혜

댓글 0 | 조회 137 | 2일전
■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기까지 와서 돌아보니 내가 지닌 능력에 비해 이렇게까지 나를 높여 주신 것은 모두 하나님의 은혜였습니다.작은 교회 목사 아들로 태어나 … 더보기

청춘

댓글 0 | 조회 100 | 3일전
시인 사뮤엘 울만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마음가짐을 뜻하나니장밋빛 볼, 붉은 입술, 부드러운 무릎이 아니라풍부한 상상력과 왕성한 감수성과 의지력그리고… 더보기

창 밖은 아파트

댓글 0 | 조회 480 | 3일전
지금도 변함없지만 이 집에 처음 입주했을 당시 뒷편 큰 도로 주변은 어수선했다. 주유소부터 목공소, 침대공장, 무슨무슨 모터스며 공구상, 자동차 판매점까지 무질서… 더보기

숲의 성장 소설을 읽다

댓글 0 | 조회 106 | 3일전
인제 백담사 숲 명상숲으로 난 길을 걸어가며마음을 찾는 아이가 되어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고숲이 부풀어 올랐다가 가라앉으면나무들과 나뭇잎과 이끼와 양치류가,새들이 풀…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187 | 3일전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콩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기 계통과 비뇨기 계통을 지칭한다. 간장과 신장이 약한 어린이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할…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20 | 3일전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임시직 피고용인으로 고용관계법에 정의되어 있는 개념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에게 보장된 … 더보기

기적의 오토파지 금식과 디톡스

댓글 0 | 조회 291 | 3일전
1. 오토파지의 정의오토파지는 그리스어이고, 의미는 자가포식이다. 이것은 세포 내의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나 사멸된 세포 쓰레기를 먹어 치우는 세포의 고유 기능을 지… 더보기

72근의 정(精)을 아껴라

댓글 0 | 조회 148 | 3일전
인간은 태어날 때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부여받지는 않습니다. 에너지는 유한하기에 인간이라고 해서 마냥 받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그래서 받는 … 더보기

나이 들면 뭐가 중헌디?

댓글 0 | 조회 764 | 7일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인에게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의 운동을 할 것을 권장한다. 또 근력 운동과 균형 운동은 적어도 일주일에 두 번… 더보기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과 운동

댓글 0 | 조회 953 | 2024.05.20
1.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장이 회복되기 위해서 노력을 해야 하며, 약 66일간만 노력하면 습관이 들어 (뇌 습관 회로가 바뀜), 쉽게 평생 좋은 식습관…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41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가스 안전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346 | 2024.05.15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오늘은 뉴질랜드에서의 가스 에너지 사용 및 관련 안전 지침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뉴질랜드는 주요 에너지원 중 하나로… 더보기

멀어도 멀지 않은 길

댓글 0 | 조회 173 | 2024.05.15
스페인에서 온 연인의 범어사 템플스테이그런 길이 있다.분명 긴 시간을 내야만 도착지에 이를 수 있는 길인데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설레고 기다려지는 길.길에 오르기 시… 더보기

종자

댓글 0 | 조회 142 | 2024.05.15
시인 최 재호울음 그친 하늘이 다시 내게로 온다짓눌렸던 평온을 쓰다듬어희망의 늦잠을 깨우며거리엔 청소 끝난 하수를 흘려 보내듯그 눈물로 긴 여정 끝의 내 더러운 … 더보기

알고 나면 속 시원한 학생비자

댓글 0 | 조회 538 | 2024.05.15
뉴질랜드에서 학업을 시작하고자 하면, 그에 걸 맞는 비자상태를 득한 상태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 접하게 되는 순간, 소위 …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548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셔츠데이(Pink Shirt Day) 입니다. 핑크셔츠데이는 뉴질랜드에서 일어나는 괴롭힘을 근절하고자 만든 날입니다. 뉴질랜드… 더보기

잔인한 5월

댓글 0 | 조회 492 | 2024.05.15
‘그니까요 쌤~ 제가 자~알 알아 들었다니까요~ 잔소리는 이제 그마~~안~~’누가 선생이고 누가 학생인지 헷갈릴 정도로 Y의 목소리는 평온했습니다. 이미 이렇게 … 더보기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식사와 생활 습관

댓글 0 | 조회 895 | 2024.05.14
1. 유익균이 좋아하는 음식과 습관들유익균은 주로 섬유질을 좋아한다. 유익균은 섬유질을 분해하여 다른 좋은 물질들을 만드는 일을 한다. 충분한 섬유질을 먹지 않으… 더보기

두 죽음의 방식: 홍세화와 서경식

댓글 0 | 조회 549 | 2024.05.14
▲ 왼쪽부터 고 홍세화 장발장은행장, 고 서경식 일본 도쿄경제대 명예교수. 한겨레 자료사진지난 4월20일 오후에는 2023년 12월18일 세상을 뜬 재일 디아스포… 더보기

우리 명상은 철저한 내공

댓글 0 | 조회 169 | 2024.05.14
명상에는 크게 외공(外功)과 내공(內功)이 있습니다. 외공이란 기운을 밖으로 발산해서 무술을 하거나, 병을 고치거나 하는 것으로서 기공(氣功)은 거의 다 외공입니… 더보기

쓰레기통을 내어 놓다가

댓글 0 | 조회 990 | 2024.05.14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양이 발걸음도 들리려는 밤쓰레기통 내어 놓다가밤하늘이 고와그대로 먼 길 떠나한 사흘쯤 걸어얼기설기 사립문발끝걸음 들어서면토방에 놓인 신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