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흙의 날

0 개 776 박명윤

‘흙의 날’은 흙의 소중함과 보전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정부는 2015년에 3월 11일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했다. 3월 11일로 정한 이유는 ‘3’은 3농(농업•농촌•농민)을 상징하고, 뿌리고 기르고 수확한다는 3농을 의미한다는 취지에서 3월을 택하였고, ‘11’은 흙의 한자(土)를 나누면 십(十)과 일(一)이 되어 이것을 합한 숫자가 11이기에 이 날로 정해졌다.

 

ec5a117a7dadf08e77b680753a199688_1649471925_8392.png
 

인간은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말처럼 흙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며 삶의 터전이다. 흙은 공기나 물처럼 인류에게 매우 중요한 자연 자원으로 다양한 기능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흙은 인류의 먹거리 대부분을 공급하고 다양한 동식물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인간과 자연 생태계의 균형 유지를 위한 공익적•환경적 가치도 흙을 통해서 나온다.

 

인류 역사에서 ‘흙’을 잘 관리한 문명은 번성했고, 그렇지 못한 문명을 쇠락했다. 토양학자(土壤學者)들은 메소포타미아지역 수메르(Sumer) 문명은 염류집적(salt accumulation), 인더스 계곡 하라파(Harappa) 문명은 사막화, 잉카와 마야 문명(Mayan and Incan Civilization)은 토양 침식이 원인이 되어 몰락했다고 이야기한다. 1924년에 발족한 국제토양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Soil Science)는 토양학의 전 영역에 걸친 연구와 응용을 촉진함으로써 인류 복지 향상에 기여한다.

 

최근 토양학에서는 ‘토양안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이는 토양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통한 식량과 환경의 안전 보장을 의미한다. 토양안보를 전세계적인 화두로 등장한 탄소중립의 개념까지 확장하여 ‘탄소중립과 관련한 지속가능한 토양관리’라고 볼 수 있다. 토양안보와 관련해 표토(表土)가 중요하다. 표토는 토심(흙의 깊이) 7-25cm 범위의 토양으로 식물이 흡수 이용하는 대부분 영양분과 수분을 저장 공급하는 부위이다.

 

표토는 바이오매스(biomass, 단위 면적당 생물체의 중량) 생산, 오염물질 저장, 수자원 저장, 대기 정화(CO2 저감), 대기 냉각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국내 연구진의 2015년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표토의 가치는 바이오매스 생산 149.2조원, 오염물질 저장 22.3조원, 대기 냉각 5.5조원 등을 포함해 총 182.4조원에 달한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표토 침식(浸蝕)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흙은 용암부터 시작된다. 땅 속 깊이 열에 녹아 죽이 된 뜨거운 암석 용암이 식어 바위가 되고, 그게 잘게 부서져 흙이 되므로 아주 긴 세월이 필요하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흙 알갱이에는 아주 작은 생물과 다양한 미생물들이 살고 있다. 이 생물들이 숨을 쉬며 살기 때문에 흙은 살아 있는 셈이다. 흙의 색깔은 영양 성분에 따라 다르다. 나뭇잎이 썩어서 흙 속에 남으면 검은색을 띠기에 색깔이 검을수록 영양분이 많다.


제7회 ‘흙의 날’ 기념식이 지난 3월 11일 ‘탄소중립 시대, 당신이 흙기사입니다’를 주제로 농림축산식품부 주최, 농촌진흥청 주관으로 전북 완주 농촌진흥청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되었다. ‘탄소중립과 디지털 토양관리’를 주제한 심포지엄에서 스마트한 토양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했다. 지금은 탄소중립과 기후위기의 시대다.

 

지속가능한 토양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토양 호흡 감소를 통한 탄소 발생 저감, ▲산림 증진 등 탄소 발생이 적은 방식의 토지 이용, ▲유기물 투입 증대를 통한 토양 내 탄소 공급 확대, ▲유기성 폐자원의 재활용 확대, ▲탄소 격리를 통한 탄소 저장 등이 있다.

 

토양 관련 전문가들은 탄소중립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므로 정부•기업•농민 등 농업 관련 주체들이 흙의 탄소(炭素) 저장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구의 평균기온은 2040년이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이상 올라간다.

 

지금 수준으로 탄소 배출이 지속되면 2100년에는 섭씨 4.4도 상승할 전망이다. 지구온도가 2도 이상 오르면 폭염(暴炎), 한파(寒波) 등의 자연재해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발생할 것이 예상되므로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를 앞으로 닥칠 가장 큰 위협으로 보고 있다. 2022년 세계경제포럼(WEF) 글로벌 리스크 진단에 따르면 ‘향후 2-5년, 5-10년 내 결정적인 위험’으로 기후변화 대응 실패가 첫번째로 꼽혔다.

 

이에 대한 국내 농업계대응은 미흡한 수준이다. 즉 2030년까지 국내 농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18년 대비 27.1%로 해마다 2.6% 이상을 감축해야 달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히려 2020년보다 0.1% 늘었다. 이에 토양보전을 통한 탄소중립 실천에 나서야 한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려면 탄소의 배출량은 줄이고 흡수량을 늘려야 한다.

 

심포지엄에서 농업분야 탄소저감을 위한 신기술이 소개되었다. 농촌진흥청 박성진 연구사는 농진청이 2020년부터 개발 중인 토양탄소 저장량 지도는 논•밭•과수원의 산성도와 용적밀도 등을 조사한 것으로 양분관리와 비료처방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지도 개발과정에서 토양의 탄소격리량을 최적으로 유지한다면 연간 온실가스 400만톤을 감축시킬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연구를 보완해 탄소중립에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양에는 유기 화합물 형태로 존재하는 유기탄소(有機炭素, organic carbon) 1조5천억톤을 포함해 약 2조5천억톤의 탄소가 저장돼 있다. 토양 속 탄소량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7500억톤)의 5-6배에 이르는 셈이다. 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은 토양마다 차이가 있어 유기물과 미생물을 많이 함유한 흙이 탄소 격리 능력도 높다. 전 세계 경작지의 탄소 격리 능력은 연간 9억톤에서 18억5천톤으로 지역에 따라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우리나라 흙은 유기물 함량이 낮은 편이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재생 에너지 개발과 함께 탄소 포집(捕執)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포집한 탄소를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거나 재활용해야만 대기 중 탄소를 소멸시킬 수 있다.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것을 통칭해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라고 한다.

 

‘CCUS’란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뿐 아니라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활용하거나 저장하는 기술이다. CCUS는 신재생 에너지 비율이 늘어나도 화석연료 사용이 계속되는 한 탄소 중립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등장했다.

 


최근 CCUS와 관련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며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얼라이드마켓리서치(Allied Market Research)의 시장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19억달러(약 2조3600억원)인 글로벌 CCUS 시장 규모는 2020년 70억달러(약 8조7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에 포집된 탄소를 활용하기 위한 창의적인 기술 개발과 이에 대한 투자도 활발해지고 있다.

 

석유업계의 정유기업들은 발전소나 산업시설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가져와 원유 회수 증진(EOR)이라는 공정에 사용한다. EOR은 포집한 탄소를 활용하면서 저장까지 하는 기술이다. 즉, 땅속에 있는 원유를 끌어올릴수록 압력이 낮아져 채굴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때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지층에 주입해 압력을 끌어올리는 방식이다.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CCUS의 역할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대기 중 농도가 0.04%에 불과한 이산화탄소를 대량으로 포집하는 일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문제다. 최근 네덜란드 라드바우드대학 연구팀이 74개의 CCUS 기술을 검토한 결과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기술은 4개(5.4%)에 불과했다.

 

우리는 기온 상승을 18세기 산업혁명(Industrial Revolution) 전 대비 1.5도 아래로 억제하는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약속을 지켜야 한다. 온실가스 감축은 지구 전체를 위한 책임의 실천이다. 또한 기후 방어력을 키우는 것은 국민의 이익을 지키는 실리적 행동이다.

 

탄소 중립 실패는 화석 에너지의 여전한 건재를 의미한다. 중국은 최대 재생에너지 투자국이면서도 석유 비축량을 크게 늘리고 있다. 우리나라는 거의 10년 동안 해외 자원 개발에 손 놓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화석 에너지 거의 전량을 수입하고 있는 에너지 빈국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탄소 중립 실패에도 대비해야 한다.

 

대기 중 탄소 농도를 줄이는 데에는 광합성(光合成)을 통한 식물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산림은 대표적인 탄소 흡수원(吸收源)이므로 산림을 통한 탄소흡수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신규 탄소흡수원을 늘리기 위해 유휴 토지에 산림을 가꾸거나 도시숲을 조성하는 등 신규 조림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지구상의 식물이 보유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량은 약 6000억톤이다. 식물이 살 수 있는 기반은 흙이므로 한줌의 흙이라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가짐으로 대처해야 우리 흙이 안전하게 보전될 수 있다. 우리는 흙 살리기 운동(Healthy Soils Program)에 동참하여야 한다.

 


최근 러시아가 유럽의 곡창지대로 불리는 우크라이나(Ukraine)를 침공한 이후 국제 곡물가격이 치솟고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FAO Food Price Index)는 1월 135.4보다 3.9% 상승한 140.7포인트를 기록했다. 특히 밀을 주요 수출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수출 차질이 예상되면서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전 세계 이상기후에 따른 자연재해와 코로나 팬데믹으로 식량 안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9년 기준 식량 자급률은 45.8%로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식량을 수입하고 있다. 사료용 곡물까지 포한한 곡물 자급률은 21%에 불과하여 OECD 최하위 수준이다. 전 세계적으로 식량 안보 위험성이 커지면 일부 국가는 식량을 무기화할 수도 있다.

 

밀•옥수수•콩(대두) 등 이른바 3대 곡물 가격이 급등하여, 이들 곡물 수입 비율이 전체 수요의 90%를 웃도는 우리나라는 충격이 불가피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몇 년 동안 이상기후가 반복되어 농작물 생산에 큰 피해를 줬다. 이에 정부는 식량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 식량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식량주권을 지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782 | 5일전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호흡으로 명이 길어질 수 있어

댓글 0 | 조회 383 | 5일전
호흡의 길이와 명(命)의 길이는 관계가 있습니다. 요즘 호흡과 수명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더군요. 연구에 따르면 호흡의 길이와 동물의 수명은 상… 더보기

이 한 그릇의 마음으로 쉬어가기를

댓글 0 | 조회 280 | 5일전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듣는동화 스님의 행복한 사찰음식 이야기‘행복으로 가는 길은 없다. 행복이 곧 길이다’동화 스님의 수업을 듣고 있자면 불가의 격언이 떠오른다… 더보기

2024 예산의 새로운 세율 기준

댓글 0 | 조회 1,230 | 6일전
뉴질랜드 정부는 2024 예산을 발표하면서 소득 구간을 조정하여 $25.7억 뉴질랜드 달러의 세율 감면에 관한 핵심 선거 약속을 이행했습니다.소득 구간을 조정하여…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댓글 0 | 조회 342 | 6일전
지난 한 달 동안, 리커넥트는 Henderson High School 에서 “Care to Self-care?” 프로젝트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리커넥트는 주기적으… 더보기

비 오는 날 이성계 능 앞에서

댓글 0 | 조회 243 | 6일전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 오는 날동구릉 이성계 능 앞에 섰다능 위로 무성한 억새는아직도 그대의 뛰는 심장 소리를허공에 흩 뿌리고한 나라를 뒤엎은 결기새로운 나라를… 더보기

8. 설탕과 술이 지닌 위대한 마력들

댓글 0 | 조회 385 | 6일전
원래 사람은 씨 맺는 모든 채소(허브 또는 푸성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식량으로 주셨다고 성경에는 적혀있다. 씨맺는 채소류, 허브류, 더 나아가 곡… 더보기

‘큰 북한’으로 변해가는 러시아

댓글 0 | 조회 366 | 6일전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페이스북은 북한에서도 러시아에서도 차단돼 있지만, 주북 러시아 대사관은 여전히 페이스북 계정을 운영한다. 이 계정을 오랫동안 열심히 보면서… 더보기

낙타와 낙타풀

댓글 0 | 조회 103 | 6일전
시인: 송 재학세상의 모든 낙타들은 다 길들여졌으나고비 사막 어딘가야생 낙타가 남아 있다고 한다신기루 따라 걷는 야생 낙타는 타박타박,그 소리는 사막아래의 지하수… 더보기

AEWV 소지자가 알아야 할 6가지 구구절절

댓글 0 | 조회 672 | 7일전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인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승인한 비자가 바로 워크비자(work visa)입니다. 워크비자의 타입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오늘의 칼럼은 오로지 AE… 더보기

Incredible Years Program

댓글 0 | 조회 228 | 7일전
결혼 생활을 처음 시작할 때, 대학교에서 결혼생활을 준비하는 교과목이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거나, 아이를 낳아 모유수유를 시작하면서 왜 이런 과목을… 더보기

순간의 선택이

댓글 0 | 조회 224 | 7일전
싸이(PSY)의 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Gangnam Style)이 2012년 7월 15일, 유투브에 올랐으니 22년이 되었다. 오늘 조회해 보니 51억 5천만 여… 더보기

오미크론 변종 FLiRT

댓글 0 | 조회 1,972 | 10일전
신종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Omicron)의 하위 변종 ‘FLiRT’이 올여름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시카고트리뷴(Chicago T… 더보기

'2025 한국대학 입시 분석 및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539 | 2024.06.07
드디어 한국대학들이 각 대학별로 2025학년도 특별전형과 수시모집요강을 5월 말과 6월초에 발표 하였다. 사실 특별전형은 7월 접수이기 때문에 대부분 4월이면 발… 더보기

7. 오토파지 디톡스가 이런 일까지도 한다

댓글 0 | 조회 450 | 2024.06.03
오토파지와 디톡스는 살아 있는 세포로 구성된 우리의 몸의 고유의 기능이다. 우리가 우리 몸에 잠재되어 있는 이런 탁월한 기능을 잘 사용한다면 불필요한 것들에서 해… 더보기

남북, ‘동족’은 아니라 해도 적이 될 필요야…

댓글 0 | 조회 833 | 2024.05.29
▲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지난 14일 신형 지상 대 해상 미사일 ‘바다수리-6’형 검수사격시험을 지도하며 ‘해상 주권’을 무력 행사로 지켜야 … 더보기

가정용 온수 시스템 비교

댓글 0 | 조회 851 | 2024.05.29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요즘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어요. 생필품뿐만 아니라 물값, 전기값 모두가 올라서 난방비도 큰 걱정거리가 되었죠. 여러분… 더보기

유학후 이민과정 활용 가이드

댓글 0 | 조회 775 | 2024.05.29
뉴질랜드 영주권 비자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은 현재로서는 상당히 제한적이지요. 과거에는 심지어 “형제초청이민”이라는 카테고리가 존재할 정도로 다양한 루트가 있어서 … 더보기

포기를 포기하라

댓글 0 | 조회 289 | 2024.05.29
5월이 끝나갑니다.벌써 2024년의 1/3를 넘겼고 이제 얼마지나지 않아 올해의 한 가운데를 지나게 되었습니다. 도대체 그동안 뭐 한 일이 있다고 이렇게 시간이 … 더보기

이만큼의 은혜

댓글 0 | 조회 210 | 2024.05.29
■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기까지 와서 돌아보니 내가 지닌 능력에 비해 이렇게까지 나를 높여 주신 것은 모두 하나님의 은혜였습니다.작은 교회 목사 아들로 태어나 … 더보기

청춘

댓글 0 | 조회 140 | 2024.05.28
시인 사뮤엘 울만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마음가짐을 뜻하나니장밋빛 볼, 붉은 입술, 부드러운 무릎이 아니라풍부한 상상력과 왕성한 감수성과 의지력그리고… 더보기

창 밖은 아파트

댓글 0 | 조회 634 | 2024.05.28
지금도 변함없지만 이 집에 처음 입주했을 당시 뒷편 큰 도로 주변은 어수선했다. 주유소부터 목공소, 침대공장, 무슨무슨 모터스며 공구상, 자동차 판매점까지 무질서… 더보기

숲의 성장 소설을 읽다

댓글 0 | 조회 204 | 2024.05.28
인제 백담사 숲 명상숲으로 난 길을 걸어가며마음을 찾는 아이가 되어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고숲이 부풀어 올랐다가 가라앉으면나무들과 나뭇잎과 이끼와 양치류가,새들이 풀…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218 | 2024.05.28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콩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기 계통과 비뇨기 계통을 지칭한다. 간장과 신장이 약한 어린이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할…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65 | 2024.05.28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임시직 피고용인으로 고용관계법에 정의되어 있는 개념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에게 보장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