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 기술이민 관련 고려 사항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0] 기술이민 관련 고려 사항들

0 개 2,762 KoreaTimes
  <배우자 관련 점수계산>

  기술이민 의향서를 제출하기 위해 점수계산을 하게 되는 데 단순히 점수계산표만을 보고 계산했다가 실수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배우자 관련해서 특히 그런 경우가 잘 발생한다.

-배우자 학력점수: 배우자가 인증된 학력일 경우 보너스 점수 20점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점수계산표에 나와 있어 적지 않은 분들이 배우자가 대학을 나왔다는 근거로 이 보너스 점수 20점을 자신의 점수에 합산하거나 학력인증학교가 아닌 경우 460불을 들여가면서 NZQA학력인증을 신청하는데 배우자의 학력 보너스 점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배우자 역시 주 신청자에게 적용되는 영어능력 입증을 해야만 한다. 즉 IELTS 6.5나 그에 상응하는 영어능력 증빙이 있을 경우 이 배우자 학력 보너스 점수를 가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관련 증빙이 없다면 배우자 학력 보너스 점수 20점은 인정받을 수 없다.

-배우자 잡오퍼 점수: 위 배우자 학력점수와 마찬가지의 논리적용이다. 배우자의 잡오퍼(현재 취업상황 포함) 보너스 점수 20점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배우자가 주 신청자에 해당하는 영어능력 및 그 직업이 Skilled Employment에 해당하는지 입증이 가능해야 한다. 가령 배우자가 오픈 웍퍼밋을 가지고 일을 하고 있거나 잡오퍼를 받았다 하더라도 이 조건을 충족 치 못할 경우 이 보너스 점수를 주장할 수 없는 것이다.

  <잡오퍼 관련>

  한바탕 해프닝처럼 2007년 11월 26일부터 시행한다고 했다가 내년 2월 4일로 시행이 연기된 변경된 기술이민법의 경우 신청자는 직업을 구했을 때 그 직업(Position)이 skilled employment에 속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은 물론 그 직업에서 요구하는 학력과 경력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란다. 현재도 신청자의 직업이 skilled employment인지 아닌지 여부는 이민부가 NZSCO(뉴질랜드 직업분류표)에 근거 구분을 해 놓았지만 그 직업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학력과 경력여부는 명시화 해 놓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색지대로 남아있으나 내년 2월 4일부터는 이 회색지대가 사라지고 명확히 학력과 경력 요구조건을 표시해놓았기 때문에 자신의 직업, 자신의 학력 그리고 경력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면밀히 검토를 한 후 의향서 제출을 해야 할 것이다. 각 직업들이 어느 skill level에 속하는지 그리고 그 skill level에서 원하는 학력과 경력이 어떤 것인지는 이민부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웍퍼밋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on-going 잡오퍼를 받고 의향서 제출을 한 분들의 경우 소위 '근무자 정위치'를 잘 하시기 바란다. 이미 신청한 분들을 통해서 들으신 분들도 많겠지만 적지 않은 경우 이민부 실사팀이 직장을 방문해서 그 잡오퍼가 진짜 잡오퍼인지 신청자가 실제 근무하는지 진위여부를 확인하는데 그 시간 직장에 근무해야 할 신청자가 직장에 있지 않고 외부에 있다면 실사 팀에서는 즉각적으로 고용의 진정성에 대해 부정적인 선입견을 가지고 실사를 진행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불시에 직장으로 전화해서 신청자 및 고용주와의 통화시도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도 마찬가지로 신청자가 '근무자 정위치' 해 있지 않고 외부에 있다면 위와 같이 심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양지하시기 바란다.

  <유학 후 이민 관련>

  유학 후 이민 중 National Certificate가 아닌 Level 4 Certificate과정에 대한 기술이민 학력 점수인정을 하지 않는 변경법안이 내년 2월 4일부터 시행되므로 이 과정을 생각했던 예비 신청자들은 반드시 졸업 이후의 상황 전개에 대해 이해를 하여야 할 것이며 아니다 싶으면 계획을 수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National Certificate Level 4를 계획하고 있는 분들도 학과 졸업 후 어떤 직종이 취업 가능할 것이며 그 직종은 졸업을 했더라도 경력이 필수적으로 수반이 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사전에 반드시 확인해서 장기플랜 하에서 학업을 이수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373] 신청자도 이민절차에 대한 이해를 가지자

댓글 0 | 조회 6,248 | 2008.01.30
이민신청은 일생에 있어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일임과 동시에 인생의 향방을 좌우할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가능한 완벽한 일 처리를 요한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접 하… 더보기

[372] 2008년 뉴질랜드 이민을 준비하는 분들께

댓글 0 | 조회 3,322 | 2008.01.15
<영어의 준비> 모든 이민 카테고리에 있어 영어 요구조항이 있는 현 뉴질랜드 이민법이므로 이민 희망자 분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소프트 랜딩을 위해서 한국… 더보기

[371] 뉴질랜드 이민, 2007년 변경사항들

댓글 0 | 조회 3,326 | 2007.12.20
2007년에 변경된 이민법 조항 중 신청자에게 직접적으로 해당하는 부분들을 발췌하여 요약해본다. 1. 새로운 기술이민 점수배정표 적용 (2007년 7월 30일 시… 더보기

현재 [370] 기술이민 관련 고려 사항들

댓글 0 | 조회 2,763 | 2007.12.11
<배우자 관련 점수계산> 기술이민 의향서를 제출하기 위해 점수계산을 하게 되는 데 단순히 점수계산표만을 보고 계산했다가 실수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 더보기

[369] 한국인 3,40대의 유학 후 이민, 어려워지는가?

댓글 0 | 조회 3,270 | 2007.11.28
<Form time to time의 의미는?> 2007년 11월 26일부터 발효되는 기술이민을 주로 한 이민법 변경이 발표된 지 2주가 지났는데 직접적… 더보기

[368] 11월 변하는 NZ 이민법 조항들

댓글 0 | 조회 2,899 | 2007.11.12
1. 부모초청 관련 이민법 이미 지난 11월 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부모초청 영주권 신청 시 스폰서가 되는 자녀(배 우자 포함)의 연간 소득이 NZ$29,897… 더보기

[367] 소리없이 강하다, 필리핀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2,896 | 2007.10.24
<재미없는 2007년> 지난 6월 스페인에서 열렸던 어메리카 컵 결승전에서도 팀뉴질랜드가 접전이라 할 수 없는 성적으로 스위스 알링기팀에게 져 컵 탈환… 더보기

[366] 영주권 받은 이후 고려할 사항들

댓글 0 | 조회 4,542 | 2007.10.09
<진짜 영주권?> 뉴질랜드에서 받았든 한국에서 받았든 최초 받은 영주권은 어떤 분들 표현대로 이후 신경을 전혀 쓰지 않아도 되는 완벽한 영주권이 아닌 … 더보기

[365] 취업비자(Work Visa)에 대한 이해

댓글 0 | 조회 3,677 | 2007.09.25
<취업비자와 취업허가의 상관관계> 한국 말로 '취업비자'라고 하지만 좀더 들여다보면 다양한 용어와 개념들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취업비자는 '… 더보기

[364] 뉴질랜드 학생비자/퍼밋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647 | 2007.09.11
<학생비자/퍼밋 신청비에 대하여> 이민컨설팅을 하면서 내내 의아했던 점이 있는데 학생비자 /퍼밋(Student Visa/Permit)의 신청비(Fee)… 더보기

[363] 뉴질랜드 언론 그리고 교민지에 대한 단상

댓글 0 | 조회 2,928 | 2007.08.28
Made in China가 유죄? 지난 몇 일간 연이어 장난감에서부터 의류에 이르기까지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의 결격성이 신문지상을 장식하고 있다. 중국에서 만든… 더보기

[362] 유학 후 이민에 대한 몇가지 오해

댓글 0 | 조회 2,809 | 2007.08.14
<7.30 발표 이후> National Certificate Level 4를 Qualification으로 적시한 대부분의 Trade Occupation… 더보기

[361] 유학 후 이민에 암운이 드리우는가

댓글 0 | 조회 2,815 | 2007.07.23
<7월 30일부터 변경되는 내용들> 7월 10일 발표되어 7월 30일부터 시행될 예정인 이민법의 부분적 변경 내용의 골자는 대략 아래와 같다. -기술이… 더보기

[360] 뉴질랜드 기술이민 skilled employment 개념이 변한다

댓글 0 | 조회 3,047 | 2007.07.09
<ANZSCO의 도입> 지난 2007년 6월 6일 발표된 기술이민 영주권 신청 카테고리의 수정 계획안에는 보다 투명하고 객관적인 기술고용(Skilled… 더보기

[359] 장기인력부족학과 유학 후 이민, 그 빛과 어두움

댓글 0 | 조회 2,739 | 2007.06.26
<기술이민, 왜 중국이 강세를 보이는가? > 지난 6월 6일 기술이민 의향서 선발에서 중국이 다시 36.8%라는 압도적인 수치로 제일 많은 채택자를 배… 더보기

[358] 유학 후 이민을 위한 조언

댓글 0 | 조회 2,530 | 2007.06.12
1. 졸업 후 취업이 필수적임을 인식하자 한 때 장기인력부족 직종 학과를 중심으로 그 학과만 졸업하면 영주권이 자동으로 나오는 것처럼 인식하던 때가 있었는데 지금… 더보기

[357] 떠오르는 뉴질랜드 이민 강국, 중국

댓글 0 | 조회 2,690 | 2007.05.23
<중국, 뉴질랜드 이민 국가 선두에 나서다> 지난 2007년 5월 9일 시행된 기술이민 선발에서 이 제도가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중국이 가장 많은 선발… 더보기

[356] 한국 고졸 출신자의 뉴질랜드 이민 방법은?

댓글 0 | 조회 6,555 | 2007.05.08
<사례 1> 현지 뉴질랜드 직장에 취업비자를 가지고 일을 하고 있는 홍 길동씨. 한국에서 상고를 졸업한 30대로서 나이 점수 25점에 경력점수 30점(… 더보기

[355] 뉴질랜드에 있어 한국인 이민자의 의미는?

댓글 0 | 조회 2,834 | 2007.04.24
<한국이민자는 아직도 아웃사이더? > 몇 일전 미국 버지니아 주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의 범행인이 한국출신 학생으로 밝혀졌다. 이… 더보기

[354] 재 입국 비자(Returning Resident's Visa) 문답…

댓글 0 | 조회 3,341 | 2007.04.11
Q : 안녕하세요? 저는 금번 기업이민을 통하여 영주권을 받았습니다. 그동안 너무 힘들었기 때문에 가게를 팔고 당분간 쉬고 싶습니다. 사업을 통하여 영주권을 받았… 더보기

[353] 뉴질랜드 이민 현장에서

댓글 0 | 조회 2,972 | 2007.03.28
<이민은 준비된 자의 몫> 고국 TV의 해외이민자 성공기를 다룬 프로그램들 중에는 소위 적수공권, 무일푼으로 이민 가서 경제적으로 크게 성공한 사례들도… 더보기

[352] 장기사업비자, 다시 부활 하는가?

댓글 0 | 조회 2,848 | 2007.03.12
자극적 제목? 사실 필자는 이 글을 적는 시점까지 장기사업비자 제도가 부활할지 어쩔지에 대한 답을 할만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미리 말씀드린다. 그럼에도 불… 더보기

[351] 뉴질랜드, 한국 교민사회를 생각해본다

댓글 0 | 조회 2,586 | 2007.02.26
<끔찍한 사고들> 지난 몇 주 사이에 뉴질랜드 교민사회가 사건과 사고로 술렁거렸다. 현지 교민사회 내 한 가정의 불화가 급기야 인명을 앗아가는 사태에 … 더보기

[350] 뉴질랜드, 증가하는 한국 유학생

댓글 0 | 조회 2,411 | 2007.02.13
***** 바닥 친 유학생 시장? ***** 최근 들어 조기 유학생을 비롯한 장기 유학생들의 숫자가 많이 늘어났다는 느낌을 받아 이민부 통계자료를 살펴보니 어느 … 더보기

[349] 학생비자로 얼마나 일을 할 수 있는가?

댓글 0 | 조회 2,495 | 2007.01.30
*** 글에 앞서 *** 아침마다 출근준비를 하면서 티비를 보게 되는데 호주 소식들을 종종 접한다. 옆 나라 호주의 경우 물이 부족해서 거의 비상 시국이라 해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