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癌)을 손님처럼 대접하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암(癌)을 손님처럼 대접하기

0 개 1,348 박명윤

<나는 삶을 고치는 암 의사입니다> 최근 발간된 이병욱 박사의 저서 제목이다. 그는 외과 의사로 15년 그리고 보완통합의학 전문의로 15년, 총 30년 동안 암과 대면한 전문가이다. 보완통합의학이란 기존의 의학적 치료를 통해 암의 활동을 최대한 억제하고, 동시에 환자의 면역력(免疫力)을 높여 암을 견뎌내는 치료다. 이병욱 박사는 암은 ‘국소질환’이 아닌 ‘전신질환’이기 때문에 단칼에 제압할 수 있는 병이 아니라고 말한다. 

 

암(癌)의 원인을 한자(漢字) ‘癌’에서 찾아보면 우리 인간의 식생활 중에 과음(過飮)과 과식(過食)을 비롯해 짠음식과 매운음식 섭취 등 평소 잘못 사용한 입(口)이 산(山)처럼 쌓이면 암이 생긴다고 본다. 또한 음식뿐만 아니라 우리의 모든 생활이 암에 영향을 미치므로 암을 생활습관병(生活習慣病, lifestyle related disease)이라 할 수 있다. 

 

건강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3대 요소는 균형이 잡힌 식생활, 규칙적인 적당한 운동, 그리고 적절한 휴식과 수면이다. 이들 3가지 요소를 실행하면 면역 밸런스 유지로 건강하게 살 수 있다. 우리가 면역력이 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면 암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으므로 항상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만약 암이 발생했으면 지금부터 실천하는 생활습관이 몸에 영향을 끼쳐 암을 이겨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확신(確信)을 가져야 한다. 

 

암을 치유(治癒)하는데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이란 우선 영양이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면서 가족과 동료, 이웃들과 화목하게 지내야 한다. 휴식을 충분히 취하고, 취미 생활을 하면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주변인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 스트레스가 줄고, 잘 웃고 잘 울 수 있는 상태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면역력이 증진된다. 또한 신앙을 가지고 기도할 때 면역력이 증가하여 암 치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도 있다. 

 

대한소화기암학회(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Cancer)에서 개최한 ‘바른 식단 캠페인’에서 암 전문가들은 암을 예방하는 식사, 암 환자의 치료 식사, 암 치료 후 관리 식사가 다르다는 것을 강조했다. 건강한 사람이 암을 예방하기 위한 식사는 흰 쌀밥보다는 잡곡과 현미밥을 먹으며, 녹색 잎채소 섭취를 권장하고 단백질식품으로 닭가슴살과 콩류를 권장한다. 직화(直火)로 구운 고기, 훈제 햄 등은 피하며, 금연과 절주를 실천하여야 한다. 

 

그러나 암을 치료할 때 식사는 열량과 단백질을 평소보다 1.5배 섭취하고, 소고기 등 붉은색 고기를 찜이나 국으로 먹으며, 잡곡이나 현미밥 보다는 흰 쌀밥이 좋다. 설사 증상이 있으면 채소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암 치료 후 관리를 할 때는 체중이 줄어든 상태이면 고열량식을 유지하면서 주치의와 상의하여 식이 조절을 하여야 한다. 암 환자는 미각의 변화, 식욕부진, 메스꺼움과 구토 등이 잘 나타나 식생활에 어려움을 겪기 쉽다. 

 

암 치료 단계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은 뇌하수체에 작용하여 식욕(食慾)을 저하시킨다. 사이토카인은 인체에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면역체계가 가동되는 과정에서 분비되는 면역물질을 말한다. 당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역, 감염병, 조혈기능, 조직회복, 세포성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란 면역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일정 기간을 넘겨 과도하게 분비되는 현상으로 면역 부작용의 일종이다. 

 

항암치료를 하면 부작용으로 음식 맛과 냄새에 민감해지고 메스꺼움을 느껴 냄새가 강한 고단백ㆍ고열량 식사에 거부감을 보인다. 이로 인하여 단백질 섭취가 줄어들면, 단백질로 이뤄진 백혈구와 항체 기능이 떨어져 면역력 유지가 어려워진다. 섭취 열량이 줄어들면 정상세포 활동이 잘 안되어 체력이 떨어진다. 암 환자는 면역세포들이 암 세포와 싸우는 상태이므로 건강한 사람보다 대사량이 높으므로 건강할 때보다 1.5배는 잘 먹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백질은 하루 1.5g/kg(체중) 섭취를 권장한다.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와 잡곡밥은 포만감을 유발하고 영양소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 흰 쌀밥을 먹으며, 입맛이 없어 먹는 음식량이 적으면 열량을 압축해 먹도록 한다. 예를 들면, 우유 한 잔(200ml)은 122kcal지만, 우유에 바나나 1개, 호두와 아몬드 몇 알, 그리고 꿀을 조금 넣어서 마시면 열량이 2-3배 정도 높아진다. 

 

암 환자는 고기, 생선 등을 먹을 때 비린맛, 쓴맛, 냄새가 민감하게 느끼므로 조리 전에 과일즙, 와인, 맛술 등으로 양념하면 맛과 냄새를 잡을 수 있다. 양념은 환자가 선호하는 맛을 선택하며, 음료는 새콤한 맛이 나는 레몬에이드, 매실주스 등이 미각을 자극해준다. 메스꺼움이 느껴질 때는 뜨거운 음식보다 차가운 음식이 먹기 편하며, 식사 중 다량의 수분 섭취는 피한다.   

 

암 치료 후 체중이 치료 전에 비해 줄었다면 당분간 고열량식을 유지하면서 주치의와 상의하여 식이요법을 조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위암(胃癌) 절제 수술을 했으면 세끼 식사를 다섯끼로 나눠 먹도록 하며, 식도암(食道癌) 절제 수술 환자는 위산이 역류하기 쉬우므로 저녁에 과식을 피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어느 나라나 암이 사망원인 1위이므로 암은 여전히 절망의 은유(隱喩)를 갖고 있다. 특히 암은 몸속에서 어디로 뻗어갈지 모르는 촉수를 가진 존재이므로 암 치료 과정에 있는 환자의 삶은 늘 불안하다. 이에 암 환자가 암을 잘 극복하려면 환자-의사-가족이 ‘2인3각(二人三脚)’ 경주에 임하는 것과 같이 하나가 되어 호흡을 맞추어야 한다. 암은 재발할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영국 여성 매기 젠크스(Maggie Jencks)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5년 후에 유방암이 재발했다. 매기는 새로운 항암제 임상시험을 받으며 삶을 이어가면서 희망을 잃지 않았다. 1993년 유방암을 진단 받은 매기 젠크스는 암 투병 중 질병자체보다 암에 대한 공포 그리고 가족들의 슬픔으로 인한 우울증상이 삶의 행복을 앗아간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녀는 이를 계기로 병원 내에 공간과 예술, 건축, 문화를 접목시켜 환자와 가족들의 심리적 안정을 돕는 공간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건축가와 디자이너들의 힘을 모았다. 매기의 남편은 건축 전문가로서 “공간이 암을 치유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매기와 함께 새로운 ‘암 치유 공간’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녀는 애석하게 매기센터(Maggie’s Cancer Caring Center)가 개원하기 전에 사망하였다. 

 

b86ca74932842f5911727e4a284e47fa_1545340091_4655.jpg
 

영국 스코틀랜드 던디 근처 시골에 위치한 ‘매기센터’ 공간은 환자의 힐링(healing)을 목적으로 정교하게 설계됐다. 자연 친화적으로 태양이 실내를 비추고 따뜻한 느낌의 벽난로를 설치했다. ‘매기센터’는 현재 영국 옥스퍼드, 리버풀 등 20개가 있으며, 아시아는 홍콩에 이어 일본 도쿄에도 2016년에 문을 열었다. 

 

‘매기 암치유 센터’는 건축물 형태와 내부는 최대한 가정집과 같은 편안함을 조성하여 기존 병원과는 전혀 다른 건물의 형태이다. 센터 곳곳에 환자와 가족들이 세상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할 수 있도록 오픈 스페이스가 제공된다. 이곳은 암 환자를 비롯하여 암과 관련된 기억이나 상처가 있는 사람, 그리고 암으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이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자유롭게 드나든다. 

 

매기센터는 자원봉사와 기부로 운영되고 있다. 방문하는 암 환자와의 상담과 대화는 자원봉사자들이 한다. 자원봉사자들은 주로 간호사, 심리상담사들이며 ‘암과 마주 보며 대화하는 법’을 교육받는다. 불안과 두려움을 줄여주는 명상(瞑想)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직장 다니는 암 환자를 위해 저녁 늦게까지 문을 열어 놓은 날도 있다. 사람은 희망이 있어야 긍정적으로 움직인다. 

 

보건복지부는 국가 암발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2015년 모든 암의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21.4명(남자 445.2명, 여자 397.6명)이다. 국립암센터는 2015년 9월에 7대 암(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갑상선암)에 대한 검진 권고안을 발표했다. 국가암검진 대상 5대 암인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에 대한 권고안을 개정하고, 사망률이 가장 높은 폐암과 발생률이 가장 높은 갑상선암에 대한 검진 권고안을 새로이 개발한 것이다.  

 

암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암은 관리를 통해 1/3은 발생을 막을 수 있고, 1/3은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며, 나머지 1/3의 암 환자도 적절한 치료를 하면 완화가 가능하다. 이에 암을 예방하는 수칙을 지켜야 한다. 즉 금연(禁煙)과 절주(節酒), 충분한 채소와 과일 섭취, 짠 음식과 탄 음식은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 건강체중 유지, B형 간염 예방접종, 안전한 성생활, 작업장에서 안전보건수칙 준수, 정기적으로 암 검진을 받아야 한다. ‘내 몸이 내 삶이다’라는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21세기 만병통치 노리는 mRNA

댓글 0 | 조회 849 | 2023.11.10
스웨덴 노벨위원회(Novel Committee)는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커털린 커리코(64•Katalin Kariko, 헝가리인) 미국 펜실베이니아… 더보기

커뮤니티 및 사회 지원 서비스

댓글 0 | 조회 1,250 | 2023.10.27

대학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

댓글 0 | 조회 1,906 | 2023.10.26
꽤 유명했던 가전제품 광고카피 ‘순간의 선택이 10년을 좌우한다’ 가 생각난다이 광고가 나오던 1970~80년대는 한국전 후 산업화가 되면서 섬유업 다음으로 전기… 더보기

비목(碑木)을 노래하며, 2023년.

댓글 0 | 조회 529 | 2023.10.25
<초연이 쓸고간 깊은계곡 깊은계곡 양지녁에비바람 긴세월로 이름모를 이름모를 비목이여먼~고향 초동친구 두고온 하늘가~~~그리워 마디마디 이끼되어 맺혔네궁노루 … 더보기

저절로 태어난 것은 이 우주에 없다

댓글 0 | 조회 473 | 2023.10.25
시인 이 승하- 아내에게또 머리카락들이 방바닥에 떨어져 있군저절로 태어나는 것은 이 우주에 없지살비듬 하나가 방바닥에 떨어져 먼지가 되기까지새 살이 죽은 살을 밀… 더보기

키친탭(수전)

댓글 0 | 조회 632 | 2023.10.25
안녕하세요, Nexus Plumbing의 김도형입니다. 이번에는 주방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키친탭(수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려고 합니다.많은 분들이 키친 … 더보기

고용계약서 서명 전 고용주가 해야 하는 4가지

댓글 0 | 조회 992 | 2023.10.25
드물지 않게 고용주가 까다로운 면접을 통해 지원자를 뽑은 뒤의 채용 절차를 소홀히 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용관계법은 지원자를 뽑은 뒤 고용계약서에… 더보기

한글날에 생각하는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

댓글 0 | 조회 441 | 2023.10.25
오늘은 한글날이다.솔직하게 말해, 나는 한국인으로 태어나 한국에 대해 자긍심을 갖고 산 적이 별로 없다. 해외에 나가 공부를 하거나 여행을 할 때, 한국역사와 문… 더보기

유격훈련 - 기출문제 풀이

댓글 0 | 조회 454 | 2023.10.25
2023학년도의 대미를 장식하는 학년말 시험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캠브리지과정의 학생들은 이미 시험기간의 중반부를 달리고 있고 IB과정은 시험기간의 시작을 코 앞에… 더보기

허리통증 잡아주고 뱃살 빼주는 7분 운동 루틴

댓글 0 | 조회 528 | 2023.10.25
허리가 자주 아픈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코어 근력, 몸의 중심부를 잡아주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것 아시나요?또 초보자들이나 허리가 약한 분들이 코어운동을 잘… 더보기

National당 정부가 정권을 잡은후 세금은 어떻게 영향을 받을까요?

댓글 0 | 조회 1,448 | 2023.10.24
우리는 아직 National당 주도 연립 정부가 어떻게 구성될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National당이 권력을 얻게 된다면 세금에 대한 중요한 변화를… 더보기

우주기와 연결된 단전호흡

댓글 0 | 조회 433 | 2023.10.24
명상을 하는 우리는 웰빙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웰빙(well-being)은 ‘잘 있다’는 뜻입니다. 잘 있다…….어떻게 잘 있느냐? 마음이 편해야 하고, 몸이 건… 더보기

부처님의 마음을 담는 요리 시간

댓글 0 | 조회 470 | 2023.10.24
성화 스님과 함께 만드는 봄맞이 사찰음식 이야기경복궁 처마 밑에도, 삼청동 돌담길과 광화문의 길고 긴 가로수 길에도 봄볕이 반들반들 반짝이는 계절. 연중 관광객들… 더보기

귀에 쏙 들어오는 가디언 비자

댓글 0 | 조회 1,263 | 2023.10.24
자녀를 뉴질랜드에서 유학시키고자 하는 부모가 아이와 함께 체류하고자 한다면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비자가 바로 가디언 비자가 아닐까 합니다. 그럼 가디언 비자… 더보기

열무 보리비빔밥

댓글 0 | 조회 729 | 2023.10.24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아내가 비벼준 열무 보리비빔밥에울컥 내 눈꺼풀이 흔들린 것을아내는 모릅니다오뉴월 뙤약볕에김 매던 어머니의 뒷모습이오늘은 까끌한 보리밥 되어목… 더보기

재채기ᆞ콧물ᆞ코막힘이 심한가요?

댓글 0 | 조회 871 | 2023.10.24
알레르기성 비염은 재채기.콧물.코막힘의 세 가지 주된 증세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 질환이다. 끊임없이 나오는 재채기와 코 밑이 헐 정도로 계속 닦아내야 하는 콧물,… 더보기

코로나(COVID-19) 그리고 패혈증(敗血症)

댓글 0 | 조회 1,164 | 2023.10.20
지난(10월 10일) 박종환(朴鍾煥) 축구감독이 체육인들의 천국환송을 받으며 하늘나라로 떠났다. 멕시코 4강 신화를 이끈 박종환 감독이 지난 10월 7일 향년 8… 더보기

2028 대입개편 시안은 해외고 출신에게 유리할까?

댓글 0 | 조회 1,296 | 2023.10.11
2023년 10월 10일 교육부에서는 대입제도는 미래인재 양성에 기인하면서, 학생-학부모-고교-대학모두 예측 가능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더보기

사회에 소외된 곳을 찾아가는 리커넥트 - 9월 활동 보고

댓글 0 | 조회 798 | 2023.10.11
1. Discover the warmth 프로그램지난 9월 13일, 리커넥트는 “Discover the warmth” 프로그램으로 엡섬에 있는 Elizabeth … 더보기

배가 차가운 거 같아요!

댓글 0 | 조회 895 | 2023.10.11
예전에는 나이 든 어른이나 ‘무릎이 시리다’, ‘등에서 찬바람이 난다’, ‘배가 차다’고 했는데, 요즘은 젊은 사람과 심지어 아이들까지도 배가 차다고 호소하는 경… 더보기

템플스테이에 다녀와서 어떻게 살 것인가?

댓글 0 | 조회 838 | 2023.10.11
봉화 축서사 참선 템플스테이깨달은 뒤에 어떻게 살 것인가.템플스테이에 다녀와서 어떻게 살 것인가.축서사에 다녀와서 어떻게 살 것인가.궁금하지 않은가?우선 마음의 … 더보기

사회적 타살의 일상성

댓글 0 | 조회 562 | 2023.10.11
현실 사회주의를 비판하려는 이들이 늘 집중 공격하는 것은 농업 집단화나 숙청 때와 같은 대규모 국가폭력이다. 물론 이 부분에서 스탈린주의를 변호할 수는 없다. 혁… 더보기

시골다방

댓글 0 | 조회 611 | 2023.10.11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등학교 시절 친구와 몰래처음 가 본 다방에서가져다 주는 커피에눈도 마주치지 못하고설탕만 많이 넣어 마셨다만나자 소심하게 말하고는다방 구석에… 더보기

뱃살이 고민이신가요?

댓글 0 | 조회 615 | 2023.10.11
왠만하면 잘 빠지지 않는 아랫배 쏙 들어가는 초보자 5분 복근운동. 선선해진 날씨 탓인지 요즘 들어 식욕이 더 좋아져 먹는 양을 조절하기가 힘들다는 분들이 많은데… 더보기

한민족의 미래

댓글 0 | 조회 609 | 2023.10.10
한민족은 한반도와 해외 여러 지역에 살면서 한인(Korean)으로서의 공통적 혈통과 문화를 공유(共有)하거나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아시아 계 민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