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리선생의 삶과 문학(작가론) 2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박경리선생의 삶과 문학(작가론) 2

0 개 1,026 수선재

‘소설은 혼자 하는 작업, 외로운 시간이 없으면 글을 쓸 수 없어요.’ 라고 말하던 선생은 <토지> 1부의 서문에서, ‘대매출의 상품처럼 이름 석 자를 걸어놓은 창작행위, 이로 인하여 무자비하게 나를 묶어버린 그 숱한 정신적 속박의 사슬을 물어 끊을 수는 없을까?

자의로는, 그렇다. 도망칠 수는 없다. 글을 쓰지 않는 내 삶의 터전은 아무 곳에도 없었다. 목숨이 있는 이상 나는 또 글을 쓰지 않을 수 없었다.’라고 술회하며, 그 고통의 시간을 ‘빙벽에 걸린 자’, ‘주술에 걸린 죄인’ 이라 표현합니다.

 

1bb857ae7f1eafd95f9f7d9bf20fd2a8_1575938961_129.jpg
 

그러한 고통으로 엮어진 <토지>를 선생은 ‘강 같이 흐르는 모든 생명의 흐름’ 이라고 한마디로 축약합니다.

한 인간의 비극이 아니라 집단적 생명 자체가 뭉뚱그려진 숙명을 그려 낸 것인데, 그것을 쓰게 한 것은 ‘서러움’ 이었다고 2001년 나남출판사에서 새롭게 발간한 <토지>의 서문에서 밝힙니다.

‘지도 한 장 들고, 한번 찾아와 본 적이 없는 악양면 평사리, 이곳에 토지 기둥을 세운 것은 서러움이었다. 세상에 태어나 삶을 잇는 서러움이었다.’

 

전 5부, 21권의 <토지>는, 69년 8월에 시작하여 94년 8월까지 집필기간 25년, 원고지 3만 1200매의 분량으로, 1897년부터 1945년까지 반세기에 걸친 한국사회의 기나긴 격동기에 주인공 ‘서희’를 중심으로 700여명이 넘는 인물이 등장하는 대서사극입니다.

이 방대한 작업을 위해 선생은 인물 족보나 이야기의 어떤 틀도 미리 만들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저 손이 닳도록 들여다보던 을유문화사의 <한국사연표>를 동무 삼아 인물들이 제 생명력으로 역사 속에서 살아 움직이도록 기록해 나갔다고 합니다.

‘삶이란 틀 속에 끼우면 이해도 안 되고 해석도 안 됩니다. 문학도 그렇지요.’

복잡한 인물들과 사건이 얽히는 소설을 머릿속에 세밀하게 기억해두고 써나가다 보니 생활인으로는 건망증도 심하고 세상일에 관심도 끊은 채 바보처럼 살았다고 회고하기도 합니다.

 

<토지>를 집필하면서 작품의 배경이 되는 경남 하동의 평사리 악양 들판과 만주땅 용정을 한 번도 가보지 않았으면서도 사실적으로 생생히 묘사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책이 다 나온 뒤, 그곳을 둘러보고 선생 자신도 불가사의하게 생각할 정도였는데, 이에 대해 선생은 지리와 기후를 비롯한 관련 책자를 읽고, 상상력과 직관력으로 쓴 것임을 밝혔습니다.

선생에게 있어 상상력은 글을 쓰는 원동력입니다.

선생은 상상력 없는 글은 생각할 수 없다고 하였으며, 그러한 상상력은 많은 독서가 밑거름이 되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2500여개의 독특한 어휘와 방언, 속담, 풍속, 제도 등을 담은 사전이 발간될 만큼 <토지>는 민족문화의 보고(寶庫)로 꼽히는 작품이며, 세 번이나 TV드라마로도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등으로 번역되어 국제적으로도 호평을 받고 있으며, 여러 번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으며, 국민 대다수가 세계에 가장 알리고 싶은 우리 문인과 작품으로 박경리 선생과 <토지>를 꼽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설 <토지>의 운명도 선생의 삶처럼 평탄한 길을 걸어오지 못했습니다.

69년 <현대문학>에서 처음 시작한 <토지>의 연재는 여러 매체를 거치게 됩니다.

72년 <문학사상>으로 자리를 옮겨 2부를 연재하고, 78년 다시 <한국문학>과 <주부생활>에 3부를, 81년 <마당>으로 옮겨 4부를 연재합니다.

그리고 83년부터 <정경문화> (87년부터 제호가 <월간경향>으로 바뀜)에 5부를 연재합니다. 

내 마음의 라디오에서 울려 퍼진 우주의 웃음소리 5

댓글 0 | 조회 1,107 | 2020.03.24
우리는 아무 것도 아닌 것에 현혹되기가 쉬워요. 수련을 조금 하다 보면 몸 안에 기가 움직이는 것을 느끼죠.그런데 정신적인 기반이 먼저 성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 더보기

뻔한 스토리

댓글 0 | 조회 1,106 | 2018.09.26
지금까지의 인생은 아무렇게나 살아왔을 수도 있고 실패했을 수도 있지만 앞으로는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연출해서 첫 장면부터 철저하게 계산해서 가십시오. 좋은영화일수… 더보기

황진이, 선악과를 말하다 중에서 2

댓글 0 | 조회 1,106 | 2020.09.23
천지는 하늘과 땅이 동시에 존재하였으되 발아의 과정은 모두 땅이 담당하였음을 생각해 본다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생명의 씨앗은 하늘이 주되 그것을 살려내는 것은 … 더보기

인간의 가장 귀한 보물은

댓글 0 | 조회 1,100 | 2017.09.26
명상이야기이 씨앗을 신성이라고 합니다. 인간에게 부여된, 조물주님처럼 완벽해질 수 있는 자질이지요.이런 얘기가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가장 귀한 보물을 주… 더보기

몸을 두드리는 타법

댓글 0 | 조회 1,096 | 2023.02.14
타법(打法)은 몸의 어떤 부위에 이상이 있다 할 때 그 부위를 잘 두드려주는 것입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방법이 이 타법입니다.앞부분은 자신의 손바닥으로 두드릴… 더보기

바위 이야기 2

댓글 0 | 조회 1,088 | 2019.03.13
많은 세월이 흘렀습니다. 바위는 자신의 모습이 하늘의 사랑인 비와 바람으로 인하여 많이 깎여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음… 더보기

멤버십과 리더십

댓글 0 | 조회 1,084 | 2013.08.13
마음에 안 드는 일이 있으면 반대세력을 형성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지 마십시오. 보이지 않게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기여하면 됩니다. 그러면 … 더보기

행복을 방해하는 적은 무엇입니까?

댓글 0 | 조회 1,082 | 2020.10.28
그 무엇도 나의 행복을 방해할 수는 없습니다. ‘누구에 의해’ ‘무엇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는 것은 자신의 인생을 자신의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보기

인간으로서의 기본

댓글 0 | 조회 1,078 | 2015.06.23
우리는 여성해방이 아니라 인간 해방을 이루어야 합니다. 명상이란 인간이 가진 여러 가지 제약 요소로부터 해방돼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라는 것인데, 하물며 가장 기본적… 더보기

박경리선생의 삶과 문학(작가론) 3

댓글 0 | 조회 1,075 | 2019.12.23
<토지>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집필된 만큼 이를 펴낸 출판사도 여럿입니다.4부(12권)까지 삼성출판사에서 초판이 출간됐고, 이어 88년 지식산업사에서 박… 더보기

마음이 맑아지는 비결

댓글 0 | 조회 1,074 | 2012.03.14
투명하게 맑은 물을 보면 자연스레 기분이 좋아지고 흐린 물을 보면 언짢아집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만나면 기분 좋은 사람이 있고 괜히 우중충하고 기분 나쁜 … 더보기

심포삼초는 가장 중요한 장부

댓글 0 | 조회 1,070 | 2022.09.14
심포삼초(心包三焦)는 면역력, 생명력, 저항력, 힘을 담당하는 장부입니다. 그런데 심포삼초는 눈에 보이는 장부가 아닙니다. 의사들이 우리 몸 어딘가에 있다고 추정… 더보기

우주의 심정

댓글 0 | 조회 1,067 | 2013.01.29
거기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궁극적으로 가고자 하는 상태는 타인의 입장, 내 입장 이렇게 상반된 입장이 아니라 하늘에서 바라보는 입장입니다. 우주의 심정이 되면 &… 더보기

순화시대 (Ⅱ)

댓글 0 | 조회 1,053 | 2012.07.11
할머니는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음에도 장례식장에 가보려 하지 않으신다. 생전에 정이 별로 없음이기도 하거니와 치매를 앓고 계셔서 경황이 없으시기도 하다. 할머니는 … 더보기

나 사랑해? - Do You Love Me?

댓글 0 | 조회 1,051 | 2012.09.12
왜 자꾸 감정이 이입되느냐?이유는 단 한가지. ‘나를 알아달라’는 겁니다. 나를 알아 달라는 얘기를 하고 싶은데 상대방이 안 알아줍니다.그래… 더보기

라이벌

댓글 0 | 조회 1,049 | 2013.10.23
뭐든 잘 하는 사람들은 라이벌이 있습니다. 정치하는 사람들도 의도적으로 라이벌을 키웁니다. 자기가 크려면 상대가 커야 됩니다. 같이 크는 겁니다. 자기만 독주하면… 더보기

情 2

댓글 0 | 조회 1,049 | 2019.04.23
학창시절에 절친한 친구 녀석이 “인생은 고해의 바다” 라는 말을 종종 했습니다. 그때는 뭐가 그렇게 재미있었는지 작은 일들로 배꼽을 잡고, 연신 깔깔거렸는데 다복… 더보기

풍경보듯이 - Like Watching Scenery

댓글 0 | 조회 1,045 | 2012.08.15
어떤 일이나 사물을 볼 때는 풍경을 보듯이 보십시오.그냥 지나치면서 ‘좋구나, 아름답구나’아니면 ‘더럽구나’ 그렇게 하… 더보기

무엇을 위하여 자신을 바치나

댓글 0 | 조회 1,044 | 2012.11.14
제가 전에 알던 분 중에 대기업의 이사를 하는 분이 계셨습니다. 회장에게 상당히 신임을 얻어서 경리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새로 부임해 온 사장과 뜻이 안 맞아서 … 더보기

바위 이야기 3

댓글 0 | 조회 1,043 | 2019.03.26
많은 세월이 지난 어느 날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사람들이 오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주위에 서서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이 작은 바… 더보기

내 마음의 라디오에서 울려 퍼진 우주의 웃음소리 6

댓글 0 | 조회 1,039 | 2020.05.13
채널링은 바로 이 길의 전 대역을 커버라는 통신 기술이죠. 우주의 파장, 우주의 정보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이에요. 야후의 천만 배쯤 강력한 검색 프로그램이 한번에 … 더보기

"역리로 친다"

댓글 0 | 조회 1,034 | 2017.11.07
명상이야기“역리로 친다”라는 구절에서 현대 정치사가 타산지석으로 삼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후천세계에는 수련 정도가 높은 분이 위정자가 되는 때가 오는지요?태평성대… 더보기
Now

현재 박경리선생의 삶과 문학(작가론) 2

댓글 0 | 조회 1,027 | 2019.12.10
‘소설은 혼자 하는 작업, 외로운 시간이 없으면 글을 쓸 수 없어요.’ 라고 말하던 선생은 <토지> 1부의 서문에서, ‘대매출의 상품처럼 이름 석 자를… 더보기

내 마음의 라디오에서 울려 퍼진 우주의 웃음소리 1

댓글 0 | 조회 1,026 | 2020.01.28
본지 편집부는 국내에는 채널러가 없을까 촉각을 곤두세웠다. 다행히 한 채널러와 조우할 수 있었다.그는 자신의 채널린이 호흡수련을 통해 얻어진 결과라고 했다. 91… 더보기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023 | 2013.05.29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는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주장이 정말 옳지 않다고 여기기 때문에 반대하는 경우가 있고, 또 하나는 상대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