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민 기각사유 베스트 4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기업이민 기각사유 베스트 4

0 개 1,975 정동희
지난해 12월의 기고문이었던 “취업비자 기각사유 베스트 5”에 보내주신 1000건 이상의 조회에 감사 드리며, 이번엔 기업이민입니다. 열심히 사업한 당신, 반드시 영주권 받으시길.

그 모든 Benefit 중 하나도 못 건지다.

기업이민법 중 가장 중요한 조항이, “신청자의 2년간 사업이 뉴질랜드에 어떤 이익을 가져왔는가?”라는 “Benefit to NZ”라는 아래의 대목입니다.

i. introducing new, or enhancing existing, technology, management or technical skills; or 
ii. introducing new, or enhancing existing, products or services; or 
iii. creating new, or expanding existing, export markets; or 
iv. creating employment for a New Zealand citizen or resident; or 
v. revitalising an existing New Zealand business; and

신청자는 위 5가지 중 단 한가지라도 benefit이라고 인정받아야만 합니다. 이 중 가장 많이 클레임하는 조항이 바로 네 번째인 고용창출이며 이 외의 다른 조항도 클레임 할 수 있으나, 수출에 기여했다는 조항 외에는 잘 안 먹히는 게 이쪽 업계의 전언입니다. 이 중 하나도 못 건지면, 기각입니다.

“고용창출 성공 인정”에 실패하다.

위에 언급한 “고용창출 성공여부”의 문제로 희비가 엇갈립니다. 창업의 경우는 명백한 고용창출을 보여줄 수 있지만, 기존업체 인수의 경우엔 그 전 오너의 고용에 관한 자료를 통해 “예전보다 고용이 늘었다”라고 직접 보여줌으로써 이 이슈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지요.

그런데 다음의 질문에 봉착하는 케이스가 적잖이 있습니다. “백방으로 노력했어도, 전 오너로부터 고용에 관한 자료를 입수하지 못했습니다. 어쩌지요?”

이 때 필요한 건 뭐? 직접적인 자료가 없으면 할 수 없이 간접적인 자료를 다다익선으로 제출하는 방법이 그래도 “먹힐 수 있는” 대안이랍니다. 전문가의 조언이 이럴 때 빛을 발하기도 하구요. “이렇게 대응했더니 되더라!”라는 경험에서 우러나온 노하우 말입니다.

그러나, 이민관과 각 케이스에 따라서 이 문제로 기각되기도 합니다.

장기사업비자로 기존업체 인수로 사업하시거나 그럴 계획에 있으신 분들께서는 반드시 전 오너로부터 회계자료 또는 적어도 고용에 관한 공식적인 자료를 받아 놓으시길 제 이름 걸고, 조언드립니다.

고용창출에 관한 서류에 불만족하다.

또 고용관련 이슈입니다. 그만큼 이 부분이 기업이민 심사의 꽃이라는 이야기라 이해해 주시길... 고용이 뉴질랜드 식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실한 서류로 보여주는 작업이 아주 중요합니다.

이민부는 고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서류제출을 권고합니다.

● 고용계약서와 이의 이행여부
● 피고용인의 ID(영주권자/시민권자 여부에 대한 확인)
● PAYE 관련 자료들
● 기타, 고용에 관련된 자료

이런 경우가 생각납니다. 한 기업이민 신청자가 채용해 온 약  20여명에 대한 증빙서류를 제출했더니, 담당 이민관은 1차 심사후, 다음과 같은 질문을 날렸습니다.

“직원들 중, 이 A라는 분은 영주권자나 시민권자가 아니어서 고용창출의 의미에 들어가지는 않으나, 이 분의 비자가 방문비자인데 어떻게 일을 할 수가 있었지요? 명백한 불법이네요..이거, 해명하셔!!”

헐!! 그 많은 서류를 다 살폈다니, “대단한~~ 이민관 나셨습니다!”하고 놀랐지만, 저희는 어이가 없었지요. 기제출한 서류에 보면 그 A라는 가디언비자 소지자는 기 조건변경을 통해 파트타임 일이 가능하다는 이민부의 확인레터가 있었는데, 그 꼼꼼한 이민관이 그걸 간과하는 실수를 했던 그런 해프닝이 기억납니다.

그만큼, 고용창출에 관한 서류는 그 직원이 영주권자였든 아니든 간에, 확실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사업을 통한 이익이 너무 적었다.

관련 이민법조항이 너무 적다는 말은 이민관의 재량권이 크거나 또는 언제든지 이민법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이 이슈도 그 중 하나입니다. 즉, 지난 2년의 자영업을 통해, 소위 “차 떼고, 포 떼고 얼마 남았는가?”라는 것에 대한 수치가 이민법에 없다 보니, 이민관마다, 케이스마다 다 다른 잣대를 들이댄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는, 차포 다 떼고 오너에게 돌아온 연간 수익이(매출이 아닙니다!!) 약 $20,000에서 $30,000이면 괜찮지 않은가 라고들 하시는데요. 하지만, 이민관마다 $20,000은 어림도 없다고 하고, 그 정도면 되었다라고 문제도 안 삼기도 합니다만, 안정권은 아무래도 연간 $30,000 이상이 아닐까 합니다. 그러나, 다시 강조하지만, 그 누구도 얼마라고 말하지 못하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랍니다.

이 외의 기각사유도 많으나, 이 정도의 문제만 극복하면 거의 승인은 따 놓은 당상이라 확신합니다.

오늘, 따뜻한 차 한잔 들고, 지난 번에 들으신, 김광석의 “일어나” 다시, 들어보시길.

알아 두면 쓸데 많은 신비한 이민사전 (I)

댓글 0 | 조회 3,105 | 2018.01.31
우리는 엄청난 양의 정보가 지배하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도대체 누구의 말이 맞는지, 무엇이 과연 가짜 뉴스이고 가짜 정보인지 분간하기 점차 어려운 세상이 … 더보기

1,2월에 새로 시행되는 이민법 따라잡기

댓글 0 | 조회 4,328 | 2018.01.16
타매체에 기고하던 이민칼럼을 코리아 포스트로 옮긴지도 어언 만 5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2018년의 첫 칼럼을 시작하며 애독자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올… 더보기

2017년 4/4분기 이민부 뉴우~스

댓글 0 | 조회 2,308 | 2017.12.19
이민부는 주로 이민법무사 및 이민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준비하여 매월 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들에 게 정기 이메일을 보내는 동시에 이민부 사이트에도 올… 더보기

유학후 이민? 어, 유학후 이민 ~~~

댓글 0 | 조회 4,385 | 2017.12.05
뉴질랜드 이민이 지난 1,2년 사이에 참으로 ‘대략난감’해지면서 더욱 험난한 시절을 예상하는 저희 이민 업계에서는 새로운 정부의 이민정책이 어느 방향으로 개정이 … 더보기

나는 영원한 "보나 화이드"이고 싶다!!

댓글 0 | 조회 1,854 | 2017.11.21
“Bona Fide(보나 화이드)”라는 단어는 어쩐지 좀 낯섭니다. 초중고교 9년의 영어공부 시절 동안에서도 쉽게 만나지지 않는 단어지요.하지만, 딱 한 번이라도… 더보기

노동당이 생각해 온 이민정책이란?

댓글 0 | 조회 3,633 | 2017.11.07
9년만의 재집권에 기적적으로 성공한 노동당. 새 집권당의 새 이민부 장관은 Iain Lees-Galloway 라는 1978년생의 30대 정치인입니다. 그는 야당 … 더보기

이민부가 절대 보장하지 않는 것들

댓글 0 | 조회 3,903 | 2017.10.25
살다 보면“100% 보장”이라는 문구를 적지 않게 만나게 됩니다.이민업계에 몸 담아온 지난 20년 동안 저 역시 그러한 질문과 많이 마주해 왔습니다. 저의 컨설팅… 더보기

이래니 저래니 해도 학력이 Key!

댓글 0 | 조회 3,717 | 2017.10.10
지난 8월28일의 법 변경 이후로 기술이민을 통한 영주권 취득을 원한다면 이제는 학력이 이전보다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학력은 그 자체의 점수뿐만 아니라 … 더보기

이민법무사가 본 新기술이민시대

댓글 0 | 조회 4,105 | 2017.09.26
8월 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新기술이민(Skilled Migrant Cat egory, SMC)의 충격은 그 어느 변경보다 강력했습니다.그 여파로 인하여 이미 … 더보기

新워크비자시대의 新레시피

댓글 0 | 조회 2,688 | 2017.09.12
8월 28일부터 시행하길 원했던 新기술이민(Skilled Migrant Category, SMC)과 新일반워크비자법의 세부사항을, 뉴질랜드 정부와 이민부는 차일피… 더보기

방문비자에 대한 흔한 질문

댓글 0 | 조회 2,941 | 2017.08.22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체류 및 비자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을 모아 놓고 공식적인 답변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방문비자(Visito… 더보기

新워크비자법, 그것이 알고 싶다

댓글 0 | 조회 5,366 | 2017.08.08
지난 4월, 정부와 이민부는 일반워크비자(Essential Skills Work Visa)와 기술이민(Skilled Migrant Category, SMC) 에 … 더보기

학생비자 소지자를 위한 이민부 노트

댓글 0 | 조회 2,791 | 2017.07.25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각종 정보 및 가이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학생비자(Student visa)소지자와 관련하여 전반적인 이… 더보기

신원 관련한 이민부의 가이드라인

댓글 0 | 조회 2,455 | 2017.07.11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각종 정보 및 가이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신원(Character & Identity)과 관련하여… 더보기

영주권자에 대한 이민부의 답변노트

댓글 0 | 조회 4,859 | 2017.06.27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체류 및 비자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을 모아 놓고 공식적인 답변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로, 영주권자에 대… 더보기

이민부의 워크비자 필독 수첩

댓글 0 | 조회 4,445 | 2017.06.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이민법과 각종 정보 및 가이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워크비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Q&A를 제… 더보기

변경예정 기술이민법, 전격 대공개

댓글 0 | 조회 5,419 | 2017.05.23
지난 4.19 발표를 통해 오는 8월로 예정된 기술이민 변경법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발표가 6월에 있을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와 연동되어 시행될 일반 워크비자관련 … 더보기

8월 변경법과 학업후 영주권

댓글 0 | 조회 6,301 | 2017.05.09
3개월 후로 다가온 신이민법 시대가“학업후 영주권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리하고 신뢰할 만한 분석서를 기대하는 아래와 같은 분들에게 오늘의 저의 칼럼을… 더보기

8월로 예정된 이민법 강화를 論하다

댓글 0 | 조회 5,047 | 2017.04.26
늘 변화는 있게 마련입니다. 본인의 변화와 타자 또는 환경의 변화는 우리네 삶에 많은 변주곡을 만들어 냅니다.뉴질랜드 이민부는 정기, 부정기적으로 이민법에 변화를… 더보기

비자신청서 심사에 대한 이민부의 공식안내

댓글 0 | 조회 5,001 | 2017.04.11
뉴질랜드 이민부는 각종 비자와 체류 및 정착, 그리고 이민법을 포함한 노동법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와 법조항을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오늘은 비… 더보기

워홀청춘의 당당한 정착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2,323 | 2017.03.21
워킹할리데이 소지자를 뜻하는“워홀러”라는 신분으로 공식적으로는 연간 3,000명의 한국 청춘들이 뉴질랜드로의 입국허가를 받고 비자발급 1년 이내에 뉴질랜드행 비행… 더보기

유학후이민 학과 선택을 위한 2017 필독서

댓글 0 | 조회 3,459 | 2017.03.07
인생지사 새옹지마 라는 말, 개인적으로 저는 참 좋아합니다.꿈에도 그리던 영주권을 손에 쥐었으나 몇 년 가지 않아 이별하는 커플도 보았으며, 영주권 승인 2년 후… 더보기

장기부족인력군과 4월의 요리학과 진학

댓글 0 | 조회 3,975 | 2017.02.22
매년 1~2회 정도 업데이트되는 장기부족인력군 리스트(LTSSL)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카더라”통신의 근원이 됩니다.이 리스트에서 빠지면 영주권도 안 되고, 워크… 더보기

2017 이민환경의 변화를 말하다

댓글 0 | 조회 3,011 | 2017.02.08
모든 것은 환경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부터 환경이 변화한다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게 되면,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 더보기

출산비용에 대한 NZ 정부의 공식적인 안내

댓글 0 | 조회 4,350 | 2017.01.26
한때 뉴질랜드 원정출산이 성행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출산비용으로 얼마를 지불하든 간에, 뉴질랜드에서 자녀를 출생시켜서 평생 최고의 선물로 뉴질랜드 시민권을 선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