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0 개 3,414 NZ코리아포스트
오랜 세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가장 힘든 일은 교육현장에서 봉구를 만났을 때이다. 솔직히 말해서 엄마 아빠가 모두 두뇌가 명석하고 좋은 직업을 갖고 있는 집안의 아이들은 대부분 유전적으로 학문하기에 좋은 상태로 태어나게 마련이다. 강남, 분당 지역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을 때 만난 많은 학생들이 그랬다. 기본적으로 I.Q.가 140~150을 훨씬 넘는 아이들은 초등학교나 중학교 저학년 때까지 공부를 게을리 하다가도 중학교 2학년 혹은 3학년 때 정신을 차리고 열심히 공부하기를 시작해서 원하는 대학에 뚝딱 들어가는 경우가 흔했다. 이 때 훌륭한 선생님의 역할은 아주 보람되고 빛나는 역할이다. 이런 학생들 중 간혹 성장하는 동안 잘못된 길로 들어서서 실패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이 학생들은 한 번 무엇인가 이루어 보겠다고 마음만 먹으면 누구보다 쉽게 그것을 해 낼 수 있는 기본 능력을 부여 받고 태어난 아이들이다.

그러나 모든 학생들이 자기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은 아니다. 어떤 학생들은 남들이 한 시간 공부할 때 두 세 시간을 공부해도 한 시간 공부한 학생들을 따라가기 힘들다. 머리 좋은 학생들에 비해 시간을 더 투자해야 한다는 말은, 만일 그 학생이 보다 나은 학교 성적을 원한다면 다른 학생들이 쉬는 시간에 쉴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학생들이 잠자는 시간만큼 잘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 손가락을 깨물어서 아프지 않은 손가락이 없다는 부모님들의 말씀처럼 이런 학생들 때문에 마음 졸이고 가슴 아파한 세월이 나의 이력 속에 담겨 있다.

이런 학생들은 대부분 한 번쯤은 깊은 좌절에 빠진다. 어떤 학생들은 이런 깊은 좌절에 빠지기도 전에 공부하기를 포기하고 다른 쪽으로 관심을 돌리기도 하고, 또 다른 어떤 학생들은 중간쯤 가다가 드디어 포기하는 학생들도 있다. 마음 아픈 순간들이다. 그러나 가슴을 후벼 파듯 마음을 더 아프게 하는 학생들이 '공부의 신'에 나오는 '오 봉구'들이다. 그들에게는 뚝심이라고 불리는 인내심이 있다. 친구를 도와 주어야 하는 상황에서도 오 봉구가 핑계를 대고 혼자 집으로 가서 몰래 공부했듯이, 그들도 다른 친구들과 보내야 할 시간도 희생하고 집으로 발걸음을 향한다. 해 보겠다는 의지와 소망으로 시작했지만, 친구들은 6개월, 1년안에 상위권으로 올라가는데, 그렇지 못한 오 봉구들은 시간이 지나갈 수록 더 많은 좌절의 눈물을 흘린다.

"나는 머리가 나빠서 안돼요. 할 수 있다고 거짓말 치지 마세요." 봉구는 절규한다. 그리고 공부의 신의 주인공 강 변호사는 자신에게 소망을 심어 주셨던 선생님께 마음 속으로 질문한다. "다른 꽃들은 다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데 피지 못하는 꽃에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선생님은 대답 하신다. "피지 않는 꽃에게 '너는 참 이쁘구나' 하고 기다리면 꽃을 피게 된단다." 그리고 강 변호사는 봉구에게 말한다. "목표물은 안보이지만 한 발짝만 나가면 주울 수 있다. 안보이지만 거의 다 왔다. 그래서 두려운 거다. 목표물이, 그것이 눈에 안 보인다고 그렇게 못 믿어?"--- 그리고 한참 후 봉구는 생각한다. '이대로 포기하기엔 아까워. 왜냐하면 난, 난, 열심히 했으니까.'

TV 드라마에 나오는 내용이지만 위의 말들 속에 가르치는 사람의 마음과 학생의 배움의 과정이 들어있다. 학생을 향한 선생님의 사랑과 당연히 그 사랑 뒤에 따라야 하는 인내심, 그리고 친구들의 사랑으로 봉구는 새 힘을 찾는다. 그러나 더 중요한 사실은 '열심히 공부해 왔던 세월'이 그를 배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열심히' 무엇인가를 해 보았던 봉구는, 드라마의 내용과는 다르게 그가 원하던 대학교에 입학하지 못했다고 할 지라도, 잠시의 좌절의 시기를 거치고 나면 '열심히 공부해 왔던 세월'이 그를 배반하지 않을 것이란 긍정적인 자신감을 얻었기에 행복하게 살 수 있었을 것이다.

한국 학부모님들의 자녀 교육 열정은 전세계에 잘 알려져 있다. 그들 중 많은 수의 부모님들이 봉구보다 조금 낫거나 조금 못한 자녀들에게 좋은 성적을 내라고 다그친다. 그래서 많은 자녀들이 멍든 가슴을 안고 목표 없는 길을 달음박질 한다. 그러나 한 두번 실패를 맛보아 가면서 그들은 자신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열등감'의 희생자가 되어간다. 자신도 깨닫지 못하는 잠재의식 속에 깊이 자리 잡은 이 열등감이 그들의 인생의 긴 여정에서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의 사람들에게도 상처를 주게 될 것이다.

인생의 목표점을 향해 달려가는 자녀들에게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살아온 것에 대해 아낌없는 칭찬과 격려를 해준다면 우리의 봉구들은 언젠가 우리가 기대하지 못하고 있는 그 순간에, 나름 대로의 멋진 결과를 만들어 낼 것이다. 영어 속담에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느리지만 꾸준한 것이 경기에서 이긴다.)'라는 말이 있다. 꾀 많은 토끼를 이긴 느린 거북이의 성실함을 가르친다면, 느릿느릿 걸어가는 황소처럼 절대로 뒤로 물러남 없이 앞으로만 전진하여 마침내 자신들의 목표를 이루게 될 것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72] 세월을 알차게!

댓글 0 | 조회 2,731 | 2008.01.15
2008년 새해가 시작되었다. 새해에는 모두들 희망과 꿈과 목표를 가지고 출발한다. 새해에는 건강하기를, 경제적으로 안정되기를, 자녀가 공부 잘 하기를, 사업이 … 더보기

[371] 한 해의 감사, 새해의 희망

댓글 0 | 조회 2,941 | 2007.12.20
계절이 물 흐르듯 한 해의 언저리에 닿았습니다. 새해가 지난밤 꿈 같았는데 12월의 송년이 무상을 알립니다. 희망과 기대만을 가지고 살면서 이룬 일도 있고 미완의… 더보기

[370] 불교의 경제관

댓글 0 | 조회 2,705 | 2007.12.11
무욕의 삶을 사는 승려로서 돈의 자유로움에 관한 글을 2어편 기고 했더니 비평이 있는 모양입니다. 돈을 소유하되 집착과 구속된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 더보기

[369] 부자되는 마인드 개발 5단계

댓글 0 | 조회 2,737 | 2007.11.27
'인터넷의 부처'라고 불리는 조 비테일 박사는 전 세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마케팅 전문가로, '영혼 마케팅'의 창시자다. 평생 동안 정신과 마케팅을 결합한 통… 더보기

[368] 돈과 유혹

댓글 0 | 조회 2,837 | 2007.11.12
우리 주위에는 셀 수 없는 유혹이 산재해 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든 욕구에 유혹이 있다. 돈, 명예, 권력 인간관계, 음식 등 그 중에 돈과 권력 앞에 무릎… 더보기

[367] 세상을 비추는 거울

댓글 0 | 조회 3,445 | 2007.10.24
사회의 행복과 정의를 위해 사람들은 제도를 만들고 환경을 지킨다. 그 제도는 기준이 되고 환경은 삶의 터전이 되고 그 속에서 살아가며 자신을 비춰 보게 한다. 정… 더보기

[366] 신정아 사건! - 마음의 등불

댓글 0 | 조회 2,736 | 2007.10.09
신정아 허위 학력 사건이 세상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 권력과 돈과 명예가 결탁되어 인간이 사는 세상사가 혼탁하다. 짧지 않은 세상을 살면서 쌓아 온 자신의 명성과… 더보기

[365] 부다의 자녀교육

댓글 0 | 조회 2,739 | 2007.09.25
대중들의 자녀 교육이 어려운데 비해 성인들의 자녀 교육은 어떠했을까? 예수님은 결혼을 하지 않아 자녀를 직접 두지 못했으나 부처님은 19세에 결혼하여 29세에 아… 더보기

[364] 자녀에게 편지를!

댓글 0 | 조회 3,057 | 2007.09.11
자녀가 잘 되기를 염원하는 것은 동서 고금의 희망이다. 자녀를 위해 정성을 다 하고 희생 하는 것은 부모의 미덕이다. 조건을 따지지 않고 백 번 양보해 가며 자녀… 더보기

[363] 대화(對話)

댓글 0 | 조회 2,669 | 2007.08.27
사람의 여러 감정 중에 가장 사람을 괴롭히는 감정이 무엇일까요? 아마도 배신감 일겁니다. 배신감은 실망, 분노, 복수심을 복합적으로 동반하며 치를 떨며 잠 못 이… 더보기

[362] 지옥과 극락

댓글 1 | 조회 2,727 | 2007.08.14
극락과 지옥은 사후에 존재하는지 아니면 현실에 존재하는지 항상 의문이다. 바쁜 현실에서 사후의 일은 깊이 생각할 여유가 없다. 당장 냉혹한 현실 생활이 성공하고 … 더보기

[361] 병 안걸리고 사는 법

댓글 0 | 조회 2,951 | 2007.07.24
사람이 살면서 병 없이 산다는 것은 행복하다. 평생 살아 가면서 태어나고 늙고 병 들고 죽는 생ㆍ노ㆍ병ㆍ사를 벗어 날수 없는데 어떻게 병 안걸 리고 살 수 있단 … 더보기

[360] 나만의 리더

댓글 0 | 조회 2,462 | 2007.07.09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신의 생각이 성취되기를 희망한다. 자신의 생각에 맞으면 행복하고 맞지 않으면 불편하고 분노한다. 자신의 사고가 자기 중심적이고 이기적이어서 먼… 더보기

[359] 돼지꿈 (꿈의 참모습)

댓글 0 | 조회 2,710 | 2007.06.26
우리들은 살아 가면서 내일에 대한 희망과 꿈을 가지고 산다. 현실에서 희망을 성공한 분도 있지만 기다리기 지친 분이나 실패한 분은 꿈 속에서라도 실현 되기를 갈망… 더보기

[358] 이명박과 박근혜 "용호상박"

댓글 0 | 조회 2,614 | 2007.06.12
4.8봉축 행사를 마치고 공무차 한국에 잠시 왔습니다. 이 곳엔 신록이 화려하고 뻐꾹새 우는 아침이 평화롭습니다. 도심의 사람들은 숨쉬기 조차 바쁜 모습이고 대기… 더보기

[357] 적게 먹자 (小食平安) : 살 빼는 방법

댓글 0 | 조회 3,127 | 2007.05.23
생활에 있어서 음식은 중요하다. 살기 위해 먹는다는 기본적 질서가 먹기 위해 산다고 할 만큼 그 욕구는 강열하다. 먹는다는 것처럼 즐거운 것은 없다. 맛있는 음식… 더보기

[356] 깨달음의 빛, 부처님오신날

댓글 0 | 조회 2,590 | 2007.05.08
하얀 동백꽃이 앞마당에 소담하게 무리 지어 피었습니다. 한국엔 목련과 라일락의 향기가 뜰에 가득하고 조금 있으면 자주 빛 모란이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고 신록이 … 더보기

[355] 비젼 3, 자신의 한계를 넓혀 가야 한다.

댓글 0 | 조회 2,753 | 2007.04.24
종종 업무를 위해 사무실이나 현장이나마켓에 들릴 때가 많다. 그럴 때 종사하는 사원들의 표정과 모습은 그 곳의 거울이 될 수 있고 자신의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더보기

[354] 다운쉬프트(Downshift)

댓글 0 | 조회 2,940 | 2007.04.12
“풍족하지 않더라도 평안히 살고자 하는 욕구” 웰빙(Wellbeing)이란 말은 친숙한데“다운쉬프트”라는 용어는 생소하다. 웰빙은 건강과 친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 더보기

[353] 역할과 보람

댓글 0 | 조회 2,714 | 2007.03.27
숲속에 뱀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언제나 머리가 앞서고 꼬리가 뒤따르는 것이 불만이었던 꼬리가 머리에게 말했다.“머리야, 오늘은 내가 앞서 갈 테니 선두를 양보… 더보기

[352] 이 시대의 영웅

댓글 0 | 조회 2,877 | 2007.03.12
인간이 어떤시대 어떤사회에 태어나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의 사상과 업적은 달라진다. 요즘처럼 나라가 어수선하고 혼란할 때 우리들이 의지하고 우러러 볼 수 있는 한국… 더보기

[351] 지 도 자

댓글 0 | 조회 2,668 | 2007.02.26
기성자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싸움닭을 훈련시키는 명인이었다. 하루는 임금이 닭 한 마리를 주면서 좋은 투계(鬪鷄)를 만들어 보라고 했다. 열흘이 지났다. 임금… 더보기

[350] 5-3=2 인 까닭은?

댓글 0 | 조회 2,691 | 2007.02.13
이 세상에 홀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모두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모든 존재는 독립된 것이 아니라 서로 관계하면서 존재하고 존재하면서 관계 속에… 더보기

[349] 나비 효과(butterfly)

댓글 0 | 조회 2,736 | 2007.02.01
자연 과학 분야의 최근 연구 결과 중에 “카오스(chaos)이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말 그 대로 “혼돈”이라는 의미인데 단순히 혼돈이란 뜻을 넘어서 “무… 더보기

[348] 새해 행복의 시간

댓글 0 | 조회 2,634 | 2007.02.01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가 되면 마음을 새롭게하고 좋은 일을 할려고 다짐합니다. 하루를 잘 보내려는 사람은 새벽에 준비하고, 한 달을 잘 보내려는 사람은 첫날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