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your best and Hakuna Matata(no worries)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Do your best and Hakuna Matata(no worries)

0 개 3,961 한상영
학생들이 뉴질랜드에 와서 필자의 학원으로 공부하러 오면, 그 어떤 것보다도 먼저 가르치는 것이 뉴질랜드에서 지켜야 할 예법들이다. ‘Thank you(감사합니다).’ ‘Yes, please(네, 부탁합니다).’ ‘No, thank you(아니요, 감사합니다).’ 또는 ‘I’d rather you didn’t(그렇게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는데요).’ 등 감사하는 말들과 부탁하는 말들, 그리고 부드럽게 거절하는 말 등은 그저 밥을 먹듯이 입에 붙이고 살아가야 한다는 것과 작은 실수라도 하게 되면 반드시 ‘Sorry(미안합니다).’라는 말을 해야 한다는 것을 늘 숙지 시킨다.

뉴질랜드 사람들에게는 (한국 사람들을 많이 접해본 사람들의 경우에는 다르지만) 한국에서와 같이 잠깐 웃어주는 것 만으로는 감사하다는 생각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잘못한 일에 대해 미안하다는 표현을 안 하는 것에 대해서도 뉴질랜드 사람들은 상당히 곤혹스러워 한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그러면서 한국 사회가 혹시 누구든지 무찌르고 정상에 설 수 있는 터미너이터들을 양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염려해본 경험이 있다.

한국에서는 가정에 고 3 학생이 있으면 거실에서 TV가 치워지고 부모님들과 형제들의 생활이 모두 고 3 학생의 움직임에 맞춰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일생이 관련된(life-concerning) 시험을 앞두고 있으니, 한 편으로는 이해가 가기도 한다. 그러나 자녀들이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조금 무례하게 행동을 해도 공부만 잘하면 괜찮다고 생각하는 부모님들을 만나게 될 때는, 그 학생의 미래가 걱정되기도 하고, 똑똑하지만 인성이 잘못된 사람들에 의해 경영될 조국의 미래가 걱정 되기도 한다.

‘성적만 좋으면 모든 것이 좋다’라고 생각하는 부모님 밑에서 자란 자녀들은, 그들 자신이 이런 부모님들의 사고방식에 의한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다른 형제들보다 ‘조금’ 뛰어난 아이의 경우에는 세상에는 나보다 훨씬 훌륭하고 공부도 잘하는 사람들이 어마어마하게 많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자신이 세상에서 최고로 사랑스럽고 똑똑하다는 착각 속에서 자라나게 된다. 이러한 쾌감은 내가 누군가를 밟고 그를 패배자로 만들어야 정상에 설 수 있다는 상당히 파괴적인 가치관을 아이에게 심어주게 된다. 그래서 무엇을 하든지 절대로 지면 안되고, 그래야 부모님의 사랑을 받을 수 있다는 강박관념 속에서 자신 속에 하나의 괴물을 만들어 가고 있을 수도 있다.

물론 현대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경쟁은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경쟁이 남에 대한 배려, 또는 나도 이기고 너도 이길 수 있는 길이 없을까 하는 고뇌의 과정을 거쳐 나오지 않은 것이라면, 최정상에 선자는 셀 수 없이 많은 패배자들을 만들어 내는 파괴적인 인간 기계가 될 가능성이 많다.

더 안타까운 일은 ‘남을 패배시키고 정상에 서기’의 가장 큰 피해자는 최 정상에 서있는 승리자 본인 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이다. ‘성적만 좋으면 모든 것이 좋다.’라고 생각하는 부모님들 밑에서 모든 것을 다 잘하며 살아온 사람은 ‘내가 어떤 일을 잘 해내야만 부모님의 사랑과 관심을 받을 수 있다.’라고 생각하기가 쉽다.
필자는 사랑은 절대적으로 ‘무 조건(unconditional)’적이다 라고 생각한다. 진정한 사랑은 내가 남들보다 예쁘거나, 어떤 일을 더 잘해야만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가페 적인 사랑에는 아무런 조건이 없다. 그저 네가 내 자식이기에, 내가 너를 낳았기에, 내가 너를 만났기에 사랑한다. 이 사랑의 의미를 배우지 못한 승리자는 자신의 가슴에서 피가 철철 흐르고, 온몸이 상처 투성이가 되도록 싸워서 이겨야 사랑 받을 수 있다는 강박 관념에 사로 잡혀 한 번으로 끝낼 수 없는 처절한 싸움을 일생 동안 계속하게 된다. 얼마나 지치고 피곤할 까는 보지 않아도 느껴진다.

더 나아가, 이런 사람들은 자신은 용서할 줄을 모른다. 단 한 번의 실수에 대해서도 자신을 책망하고 극심한 경우에는 자살을 택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 근간에 똑똑하고 남들보다 좋은 환경에 있는 사람들이 자살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얼마나 힘들면 죽음을 선택하게 되었을까라고 한 편으로는 이해가 가면서도, 자신의 실수와 실패를 너그럽게 용서해 줄 수 있는 마음과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었더라면 피할 수 있는 일이었을 텐데 라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아프다.

영어 표현에 ‘Do your best(최선을 다해라).’ 혹은 ‘Try your best.(최선을 다해 보아라)’라는 표현이 있다. 어떤 일을 하든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은 아름답다. 그러나 그 결과에 승복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미래를 계획해 나가는 모습은 더욱 더 아름답다.

유명한 만화 영화 ‘Lion King’에서 Simba의 친구인 Timon은 트림을 심하게 해서 동족들에게 추방당한 Pumbaa를 위해 노래를 불러준다. 괴로운 과거에서 떠나 지난날의 근심 걱정을 잊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라고. ‘Hakuna Matata; No worries(걱정 하지마)’

[383] 뉴질랜드 기후변화 탄소 제로에 도전하다

댓글 0 | 조회 3,522 | 2008.06.23
뉴질랜드의 날씨가 지금 겨울의 초입인지 늦가을의 마지막 잎새인지 혼잡해 있다. 3,4,월 단풍이 화려하더니 한국에 1달 갔다 온 6월에도 입이 큰 나뭇잎들은 여전… 더보기

[382] 시위와 촛불의 의미

댓글 0 | 조회 3,319 | 2008.06.10
촛불은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 는다. 모든 종교의례에 촛불이 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종교의식과 제례에 촛불은 무슨 의미를 가질까? 전통적으로 구도자들은 … 더보기

[381] 부부의 화내는 마음!

댓글 0 | 조회 2,929 | 2008.05.27
얼마 전 신도님이 오셔서 함께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직장에 다니는 아내가 퇴근하고 집에 돌아와서 보니 남편은 아내를 본둥 만둥하고 텔레비전만 보고 있어서 남편한테… 더보기

[380] 거짓말 대회!

댓글 0 | 조회 2,859 | 2008.05.13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거짓말 하지 않고 살아 갈 수는 없는 것인가? 진실 된 말만 하고는 생존하기 어려운 것인가? 무한 경쟁의 시대에서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자리… 더보기

[379] 5월 10일, 햐얀 백련이 피다...

댓글 0 | 조회 3,021 | 2008.04.22
아침저녁이 제법 쌀쌀한 날씨가 되었다.무덥든 더위가 지나가고 가을이 오는 느낌이다. 겨울나기를 준비하고 대비하지만 한국처럼 실감이 덜하다. 계절이 바뀔 때쯤이면 … 더보기

[378] 가진 자의 겸손

댓글 0 | 조회 2,952 | 2008.04.08
가진 자가 겸손 하다면 세상이 얼마나 아름답고 훈훈하고 행복할까 생각한다. 재물과, 명예와, 지위와, 권력이 높을수 록 겸손하고 오늘을 있게 한 주변사람들 에게 … 더보기

[377] 온 세상이 불타고 있다

댓글 0 | 조회 2,991 | 2008.03.26
온 세상이 불타고 있다.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으로 불타고, 권력과 부와, 명예와 사랑으로 불타고 있다. 이 불은 과거로부터 현재로 이어지고 미래에도 끝임없이 지… 더보기

[376] 기도는 진실하다

댓글 0 | 조회 2,858 | 2008.03.11
종교적인 예불과 기도, 참회, 수행은 타의적인 강요의 행위가 아니라 종교인으로서의 내면적인 찬탄과 자기관리와 자기 확인의 시간이다. 방일과 무지에서 벗어나 내재해… 더보기

[374] 만족한 삶

댓글 0 | 조회 3,139 | 2008.02.12
살아 가는데 있어서 만족하며 사는 삶이 무엇일까 생각해 본다. 사랑과 부와 명예와 권력을 가지고 존경 받으며 살아간다면 더없이 행복하다. 더 이상 소유하지 않아도… 더보기

[373] 설날 덕담, 복(福) 많이 받으십시오

댓글 0 | 조회 3,436 | 2008.01.30
얼마 있으면 음력으로 최대의 명절 설날(2월7일)이다. 설날이 되면 옷을 곱게 차려 입고 웃어른 들을 찾아 뵙고 세배를 드린다. 공손하게 큰절을 올리면 부모님이나… 더보기

[372] 세월을 알차게!

댓글 0 | 조회 2,721 | 2008.01.15
2008년 새해가 시작되었다. 새해에는 모두들 희망과 꿈과 목표를 가지고 출발한다. 새해에는 건강하기를, 경제적으로 안정되기를, 자녀가 공부 잘 하기를, 사업이 … 더보기

[371] 한 해의 감사, 새해의 희망

댓글 0 | 조회 2,935 | 2007.12.20
계절이 물 흐르듯 한 해의 언저리에 닿았습니다. 새해가 지난밤 꿈 같았는데 12월의 송년이 무상을 알립니다. 희망과 기대만을 가지고 살면서 이룬 일도 있고 미완의… 더보기

[370] 불교의 경제관

댓글 0 | 조회 2,698 | 2007.12.11
무욕의 삶을 사는 승려로서 돈의 자유로움에 관한 글을 2어편 기고 했더니 비평이 있는 모양입니다. 돈을 소유하되 집착과 구속된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 더보기

[369] 부자되는 마인드 개발 5단계

댓글 0 | 조회 2,732 | 2007.11.27
'인터넷의 부처'라고 불리는 조 비테일 박사는 전 세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마케팅 전문가로, '영혼 마케팅'의 창시자다. 평생 동안 정신과 마케팅을 결합한 통… 더보기

[368] 돈과 유혹

댓글 0 | 조회 2,832 | 2007.11.12
우리 주위에는 셀 수 없는 유혹이 산재해 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든 욕구에 유혹이 있다. 돈, 명예, 권력 인간관계, 음식 등 그 중에 돈과 권력 앞에 무릎… 더보기

[367] 세상을 비추는 거울

댓글 0 | 조회 3,423 | 2007.10.24
사회의 행복과 정의를 위해 사람들은 제도를 만들고 환경을 지킨다. 그 제도는 기준이 되고 환경은 삶의 터전이 되고 그 속에서 살아가며 자신을 비춰 보게 한다. 정… 더보기

[366] 신정아 사건! - 마음의 등불

댓글 0 | 조회 2,729 | 2007.10.09
신정아 허위 학력 사건이 세상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 권력과 돈과 명예가 결탁되어 인간이 사는 세상사가 혼탁하다. 짧지 않은 세상을 살면서 쌓아 온 자신의 명성과… 더보기

[365] 부다의 자녀교육

댓글 0 | 조회 2,730 | 2007.09.25
대중들의 자녀 교육이 어려운데 비해 성인들의 자녀 교육은 어떠했을까? 예수님은 결혼을 하지 않아 자녀를 직접 두지 못했으나 부처님은 19세에 결혼하여 29세에 아… 더보기

[364] 자녀에게 편지를!

댓글 0 | 조회 3,051 | 2007.09.11
자녀가 잘 되기를 염원하는 것은 동서 고금의 희망이다. 자녀를 위해 정성을 다 하고 희생 하는 것은 부모의 미덕이다. 조건을 따지지 않고 백 번 양보해 가며 자녀… 더보기

[363] 대화(對話)

댓글 0 | 조회 2,657 | 2007.08.27
사람의 여러 감정 중에 가장 사람을 괴롭히는 감정이 무엇일까요? 아마도 배신감 일겁니다. 배신감은 실망, 분노, 복수심을 복합적으로 동반하며 치를 떨며 잠 못 이… 더보기

[362] 지옥과 극락

댓글 1 | 조회 2,709 | 2007.08.14
극락과 지옥은 사후에 존재하는지 아니면 현실에 존재하는지 항상 의문이다. 바쁜 현실에서 사후의 일은 깊이 생각할 여유가 없다. 당장 냉혹한 현실 생활이 성공하고 … 더보기

[361] 병 안걸리고 사는 법

댓글 0 | 조회 2,945 | 2007.07.24
사람이 살면서 병 없이 산다는 것은 행복하다. 평생 살아 가면서 태어나고 늙고 병 들고 죽는 생ㆍ노ㆍ병ㆍ사를 벗어 날수 없는데 어떻게 병 안걸 리고 살 수 있단 … 더보기

[360] 나만의 리더

댓글 0 | 조회 2,450 | 2007.07.09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신의 생각이 성취되기를 희망한다. 자신의 생각에 맞으면 행복하고 맞지 않으면 불편하고 분노한다. 자신의 사고가 자기 중심적이고 이기적이어서 먼… 더보기

[359] 돼지꿈 (꿈의 참모습)

댓글 0 | 조회 2,700 | 2007.06.26
우리들은 살아 가면서 내일에 대한 희망과 꿈을 가지고 산다. 현실에서 희망을 성공한 분도 있지만 기다리기 지친 분이나 실패한 분은 꿈 속에서라도 실현 되기를 갈망… 더보기

[358] 이명박과 박근혜 "용호상박"

댓글 0 | 조회 2,605 | 2007.06.12
4.8봉축 행사를 마치고 공무차 한국에 잠시 왔습니다. 이 곳엔 신록이 화려하고 뻐꾹새 우는 아침이 평화롭습니다. 도심의 사람들은 숨쉬기 조차 바쁜 모습이고 대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