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 하오리까 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어찌 하오리까 Ⅱ

0 개 1,965 새움터

‘베트남의 호치민, 태국의 치앙마이, 인도네시아의 발리, 체코의 프라하 

그리고 한국의 제주도’


지금이야 코로나로 인해 국내외 여행이 사실상 불가능 해졌지만 나열한 장소들은 몇 년간 한국인들에게 유행처럼 번진 ‘한달 살기’로 인해 소위 뜬 도시들이다. 무엇보다 저렴한 물가, 이국적인 볼거리, 비교적 치안이 안전하고 적당한 생활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이라는 점이 장기 여행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다가 온다. 당장 유튜브를 열면 ‘한달 살기’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동시에 일정 수익을 내고자 하는 수백가지의 동영상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필자도 가끔 ‘인생은 한 번 뿐이다’를 뜻하는 ‘You Only Live Once’를 모토로 한달 살기를 하는 욜로(YOLO)족들의 느긋한 일상을 넋 놓고 볼 때가 있다. 


그럼 왜 한달 살기가 우리에게 유행처럼 번지게 되었을까? 각자 생김이 다르고 생각이 다르듯 자신만의 이유로 여행가방을 꾸리고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그리고 낯선 곳에서의 한달을 살아 본다. 이들이 찾아 나선 것은 아마도 한 동안 일상에서 벗어난 제대로 된 ‘쉼’이 아닌가 싶다. 일상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알게 모르게 온 몸으로 받아내야 했던 스트레스로 부터의 해방과 같다고 생각한다.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부정적인 에너지가 몸 속에 쌓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많은 전문가들이 다양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소개한다. 그 중 장재식 정신의학과 전문의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하나는 배출의 방법과 다른 하나는 중화시켜 희석시키는 방법이다.




배출하는 것은 말 그대로 우리 몸의 여러 구멍을 통해서 가능한 방법을 일컫는다. 우선 입을 통한 배출이 있겠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사람들과 대화다. 가끔은 뒷담화로 스트레스 요인이 되는 사람에 대한 험담도 좋은 배출구가 될 수 있다. 화가 치밀어 오를 때 소리를 지르게 되는 것도 비슷한 배출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도저히 감당이 안 될 정도의 부정적 에너지가 몸에서 느껴지면 이를 급하게 발산하기 위해 일어나는 반응이다. 즉 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몸과 마음의 손상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일종의 무의식적 응급조치라 볼 수 있다. 그렇다고 고함을 치는 행동으로만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다는 생각은 금물이다. 대화 이상으로 입을 통한 배출의 효과적인 것이 호흡법이다. 코와 입을 통해 잘 정돈된 장소에서 일정한 호흡의 리듬을 타다보면 스트레스로 어지러워진 내면을 객관적으로 들여다 보게 된다. 눈을 통해서 눈물을 흘리는 것도 또한 배출이다. 예를 들어 힘든 일로 슬픔에 휩싸일 때 실컷 울고 나면 감정이 조금이나마 정화된다는 느낌을 받는다. 입과 눈을 통해 일시에 쌓인 에너지가 배출되므로 다소 후련하다는 느낌을 받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은 배출은 바로  피부를 통해 땀을 배출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동네 걷기나 맨손 체조같은 가벼운 운동부터 테니스나 싸이클 같은 격렬한 운동 후 땀에 흠뻑 젖고 나면 느끼게 되는 상쾌한 기분은 맛 본 사람만이 안다. 마찬가지로 뜨거운 사우나에서 땀을 빼고 나면 몸과 마음이 가벼워지는 느낌도 같은 배출의 원리일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이 바로 긍정적인 자극을 몸 속으로 유입시켜 부정적 에너지를 중화시키는 방법이다. 음악 감상, 여행, 독서, 공연 관람, 동호회 활동, 명상이나 종교 활동등이 일상 생활안에서 비교적 가능한 긍정적인 자극이 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주 매운 음식을 먹는 것으로 해소 한다는 이유도 같은 원리로 이해할 될 수 있겠다. 스트레스를 희석을 통해 중화 시키는 방법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몇 년 전 영국 서섹스 대학 인지 심리학과의 스트레스 해소에 관한 연구가 인상 깊다. 연구팀은 각종 스트레스 해소 방법들이 얼마나 스트레스를 줄여 주는지 측정했고 그 결과로 독서가 1위를 차지 했다. 6분 정도 책을 읽으면 스트레스가 68% 감소 됐고, 심박수도 낮아지며 근육 긴강이 풀어진다고 측정됐다. 연구팀은 “무슨 책을 읽는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작가가 만든 상상의 공간에 푹 빠져, 일상의 걱정 근심으로 부터 탈출할 수 있으면 된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2위는 음악감상 (61%), 그리고 3위는 커피 마시기 (54%)로 1위 독서의 뒤를 따랐다. 


개개인의 생김새가 다르듯 각자 저마다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 있을 것이다. 2020년 12월이 이제 2주도 채 남지 않았다. 연말이라 아무래도 직장에서 업무 마무리로 좀 피곤했던 요즘이다. 스트레스 관리와 예방 차원에서 이번 주말에는 좋은 풍광 즐기며 좀 먼 거리의 산책으로 땀을 빼야겠다. 그리고 요즘 푹 빠져 듣는 ‘Il Mondo’를 반복 재생해 놓고 진한 Long Black 커피를 홀짝이며 알랭 드 보통의 소설 ‘낭만적인 연애와 그 후의 일상’을 마저 읽어야 겠다. 이 정도면 배출과 중화의 스트레스 해소법의 알맞은 조화가 되지 않을까 싶다. 다만 주말이면 자연스레 소파와 한몸이 되어 버리는 게으름만 이겨낼 수 있길 바랄 뿐이다. 


<글쓴이 새움터 회원 장요셉> 


※ 새움터는 정신 건강의 건전한 이해를 위한 홍보와 교육을 하는 비영리 단체입니다. www.saewoomtor.org.nz 

내겐 너무 소중한 당신

댓글 0 | 조회 1,911 | 2011.10.12
여러분은 전등불도, 달빛도 없는 깜깜한 밤 시골 길을 걸어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얼마 전 일간지에 실린 한 일본인의 긍정의 시각을 빌려, 어려움 속에서 희망과 긍… 더보기

고슴도치의 고민

댓글 0 | 조회 1,918 | 2017.10.25
“전화 끊어. 나 바빠!”첫 마디가 날카롭다. 평소에 친하게 지냈다고 생각한 친구의 반응이다. 얼른 전화를 끊었다. 마음이 영 편안하지가 않다. 나도 바쁜 데 시… 더보기

사랑하는 사람과의 동침 OR 적과의 동침

댓글 0 | 조회 1,930 | 2013.10.22
여성들은 종종 자신은 적과 동침한다고 한다. 왜 그렇게 사느냐 물으면 남편이 생활비를 주니까, 아이들이 어리니까, 이혼녀가 되는 것이 두려워서, 키워주신 부모님을… 더보기

Anger (화)

댓글 0 | 조회 1,931 | 2012.10.24
“어떤 사람은 화를 슬기롭게 다스려 지혜로운 삶을 살고, 어떤 사람은 화를 어리석게 다뤄 자신과 주변에 큰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 비벌리… 더보기

새움터의 시작

댓글 0 | 조회 1,950 | 2014.08.13
요즈음 웰빙 바람과 더불어 정신 건강의 중요성에 대해 사람들은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정신 질환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은 일상 속에… 더보기

현재 어찌 하오리까 Ⅱ

댓글 0 | 조회 1,966 | 2020.12.22
‘베트남의 호치민, 태국의 치앙마이, 인도네시아의 발리, 체코의 프라하그리고 한국의 제주도’지금이야 코로나로 인해 국내외 여행이 사실상 불가능 해졌지만 나열한 장… 더보기

당신은 웃을때 가장 아름답습니다

댓글 0 | 조회 1,975 | 2012.08.14
<이순구화가의 웃는 얼굴> 웃음은 과학으로 그 효과가 입증되기 이전부터 인류가 공유한 지혜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는 ‘웃음이 보약보다… 더보기

정신 건강 재활이란?

댓글 0 | 조회 1,999 | 2011.07.27
지난 호에 이어 필자는 이번 호에도 할리우드 여배우 캐서린 제타존스 이야기로 시작을 해야겠다. 지난 4월 그녀가 조울증으로 재활센터에 입원한다는 기사가 나왔을 때… 더보기

불안감, 편견없이 그대로 들어주자

댓글 0 | 조회 2,004 | 2014.01.14
2013년 한 해 동안 구글(Google)을 통해 검색된 증상 빈도수를 보면 임신, 독감, 당뇨에 이어 불안 증세에 대한 검색이 네 번째로 높다고 합니다. 사람은… 더보기

정신 건강 대상자란?

댓글 0 | 조회 2,005 | 2011.07.12
필자가 지난 번 한국에 갔을 때, 정신건강 관련분야에서 일하는 내게 주어지는 많은 질문 중 대부분은 필자가 “과연 어떤 사람들과 일하는 것이냐”라는 것이다. 필자… 더보기

갈등을 기회로 만드는 지혜

댓글 0 | 조회 2,014 | 2014.07.08
갈등은 건강한 관계 형성의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살아 가면서 어떠한 경우에도 나 아닌 남과 모든면에서의 완벽한 합의나 일치를 기대하는 것은 어쩌면… 더보기

정신 건강 재활 이야기

댓글 0 | 조회 2,021 | 2011.08.10
지난 호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할 뿐이다. 그 중 많은 분들이 정신재활의 뜻은 알고 동의는 하겠는데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라는 의구심을 표현해 주시는… 더보기

방금 뭐라고 했지?

댓글 0 | 조회 2,050 | 2020.03.24
술을 주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면 아마도 남자들 군대 이야기 못지 않게 할 말이 많을 것이다. 술의 역사는 꽤차지 않았더라도 한국인은 술을 좋아하고 술에 대해 여전… 더보기

다 너 잘돼라고 그러는 거야

댓글 0 | 조회 2,076 | 2014.09.24
2009년 오바마 대통령은 여러 차례에 걸쳐 한국식 교육을 칭찬했습니다. 세계 최강국이라고 자부하는 미국이 학교교육에서 만큼은 한국을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강조한 … 더보기

판도라의 상자

댓글 0 | 조회 2,081 | 2020.09.09
20대의 끝자락에 유럽여행을 계획하며 가장 먼저 방문해 보고 싶었던 곳이 바로 그리스였다. 그리고 마침내 그 유명한 올림푸스 산의 신전을 두 눈으로 직접 보는 순… 더보기

마음의 감기

댓글 0 | 조회 2,098 | 2011.05.24
친구에게 ‘마음의 감기’가 찾아왔다. 그녀는 새삼스레 뉴질랜드에서의 삶을 몹시 힘겨워하며 “잠을 잘 못 자” “식욕이 없어” “그냥 우울해” 라고 자기의 고통을 … 더보기

저 사람은 앵거 메니지먼트가 필요해?

댓글 0 | 조회 2,110 | 2011.08.24
이번 호에서는 필자가 평소 일선에서 느꼈던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그 동안 변변치 않은 제 글을 읽어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일선에서 일을 하다… 더보기

정신 병리와 WRAP

댓글 0 | 조회 2,127 | 2011.11.23
정신 병리란 정신 질환에서 흔히 관찰되는 병적인 정신 현상, 즉 비정상적인 사고, 감정, 의식, 지각 따위를 말합니다. 여기에서 비정상적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의… 더보기

몸과 마음을 사랑해야 할 때

댓글 0 | 조회 2,127 | 2011.04.27
가족이 ‘운명공동체’라는 생각은 한국인들이 즐겨 쓰는 “우리가 남이냐?”라는 말로 대변됩니다. 이 말은 술자리에서뿐만 아니라 어느 조직에서나 널리 쓰이는 한국인들… 더보기

정신질환에 대한 일반인의 편견

댓글 0 | 조회 2,137 | 2011.11.09
정신 질환만큼 사회의 편견이 심한 질환도 드물며 이러한 편견은 정신 질환자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고, 재활을 막는 두터운 장벽이 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더보기

건강한 분노

댓글 0 | 조회 2,146 | 2014.05.14
세월호 참사의 소식을 들으며 슬픔과 분노, 자괴감과 무기력함 등 만감이 교차하는 것은 분명 저 뿐만은 아닐 것입니다. 이 참사의 뒤에 숨겨진 각종 개인적, 구조적… 더보기

우리는 희망입니다

댓글 0 | 조회 2,187 | 2013.12.24

한 줄기 빛 발견하기

댓글 0 | 조회 2,192 | 2011.03.22
우리는 ‘딜레마’라는 말을 가끔씩 사용하곤 합니다. 이렇게 해도 혹은 저렇게해도 도무지 안될 것 같은 상황들과 마주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 상황은 우리들을 불안… 더보기

치매 (Ⅱ)

댓글 0 | 조회 2,199 | 2012.12.24
치매는 오랜기간 동안의 치료와 간병을 필요로 하기에 본인은 물론 그 가족들을 상당히 힘들게 합니다. 뉴질랜드의 치매 연구 자료에 따르면 치매 환자 부양 가족은 다… 더보기

아이 캔 스피크(I Can Speak)’, 감동이다

댓글 0 | 조회 2,216 | 2017.12.06
♥ 정 인화의 민낯 보이기“아이 캔 스피크 봤어?”“아니. 왜?”“꼭 봐. 진짜 감동이야.”같은 동네에 사는 한국 사람한테 영화‘아이 캔 스피크’을 봤다고 얘기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