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버니(Burnie)에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그날, 버니(Burnie)에서

0 개 2,476 오소영
크루즈 중에 배에서 내리는 날은 언제나 바쁘다. ‘타스마니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땅이긴 하지만 육지 밑으로 외떨어진 남쪽의 아주 조그만 섬이었다. 바람이 차고 쌀쌀했는데 지도상으로 뉴질랜드 남섬에 거의 위치하고 있어서 추웠다는걸 나중에서야 알았다. ‘Welcome Burnie’ 버스곁에 놓인 팻말도 반가운데 일일이 뱃지까지 나눠주니 고향에 온 듯 편안했다. 사람많은 대도시보다 한적한 시골에 갔을 때 인정냄새가 구수하듯이 역시 섬의 작은 항구도시는 사람을 대하는 스타일이 정겨웠다. 맨 처음에 간 곳이 박물관이었다. 규모는 작았지만 1900년대의 거리풍경이 고스란히 재현되어 있어서 타임머신을 타고 한세기전의 시가지에 서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병원, 이발소, 대장간 등 지금 보기엔 마치 고물상처럼 구질구질해 보였지만 옛것을 보며 오늘을 음미 해보는 좋은 경험의 시간이었다.

특별한 관광지는 아닌 것 같아서 그냥 시가지 구경이나 하려고 상가들이 밀집되어 있는 시티에서 머뭇거리다가 제법 큰 기념품 ‘숍’을 들어가 보았다. 재미있는 물건들을 꽤 많이 진열해 놓은 걸로 보아 크루즈 여행객을 상대로 하는 가계임을 알았다. 귀엽고 깜찍한 소품들이 눈길을 붙잡아 시간가는 줄을 몰랐는데 밖에 있던 친구는 따뜻한 국물이 먹고싶다며 한식당을 찾았단다. 이층으로 올라가 보았지만 거기는 어둑침침한 파킹장일뿐, 실망을 하고 내려오는데 쇼핑몰 노점 한 쪽에서 제법 사람들이 많이 웅성거려 기웃거려보지 않을 수가 없었다. 엉성하게 세워놓은 걸대에 그럴듯하게 반짝거리는 악세사리들이 여자들의 발길을 잡고 있었다. 아가씨들 둘이서 파느라고 여념이 없는데 어쩐지 그들이 내 이웃처럼 낯설지가 않았다. 나도 모르게 불쑥 말이 튀어나왔다. “아가씨들 혹시 한국인?.. .” “네 맞아요, 크루즈 여행 오셨어요?” 그들이 나보다 더 반가웠나보다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바쁜 일손을 놓고 되물어 왔다. 세상에! 이 멀고 낯선 외지에서 웬 일일까? 우리는 피붙이를 만난 것처럼 반가워서 함께 호들갑을 떨었다. ‘멜번’에 살면서 장사하러 여기까지 왔다는 그들이 너무 대견하고 신통해서 코끝이 찡 해왔다. 내 손녀만큼이나 어린 대학생들처럼 보였는데 용감하기도하지... 한가지 아쉬었던 것은 그들이 파는 물건이 우리 국산품이 아니고 중국산이었던 점이다. 허긴 자존심이 있지. 우리 국산품을 그렇게 헐값에 팔 수는 없는 일이기도 하다. 한식당을 찾는 우리에게 난색을 지으며 여기에 한국 사람은 한 사람도 없어서 한식은 물론 일식당도 없다는 것이다. 장사 잘 하고 열심히 살라고 따뜻하게 격려 해 주고 돌아서면서 그들이 너무나 자랑스러웠다. 요즘 젊은이들은 비지니스라면 세계곳곳 어디든지 달려가 당당하게 맞서는데 그게 우리의 미래이기에 반갑기도 하거니와 그 활발한 의욕의 젊음이 마냥 부럽기만 했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던가. 모처럼 점심을 ‘맥도널’이나 ‘서브웨이’에서 해결 할 바에야 차라리 배로 돌아가자는 생각으로 우리는 리턴버스에 올랐다. 크루즈가 들어오는 날이 이 곳 주민들이 한바탕 들썩이는 장날이지 싶었다. 조용한 도시가 잠깐 사람의 활기로 들뜨다가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나면 잠든듯 다시 고요해 질 Burnie!

바쁘게 배로 돌아오니 늦은 시간임에도 식당에선 여전히 배식을 해주어 다행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벌써 돌아와 있는 걸보아 외식을 한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았다. 우리와 헤어졌던 다른 팀들도 결국은 배에 와서 점심을 해결하고 다시 나갔다니 다람쥐 쳇바퀴돌듯 좁은 곳에서 북적였던 그런게 나름 재미였던 것 같다. 별 특징없는 평범한 항구도시. 그러나 웬지 모르게 포근하게 안아주는 것 같은 인정을 느끼겠끔 편안했던게 특별했다. 투어를 마치고 귀선을 서두르는 사람들을 태운 버스가 속속 돌아오고. 때를 같이 해 입구에선 ‘백 파이프’로 곧 떠날 우리를 환송 해 주는 ‘스코틀랜드’ 전통 복장의 남자들 십여명이 한시간이 넘도록 계속해서 연주를 하고 있으니 감동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환영도 따뜻하게 환송도 멋지게 그들은 그렇게 아름답게 사는 사람들이었다.

나약한 여성의 몸이지만 강인한 정신으로 세상을 이겨나가는 우리 동포 아가씨들에게 ‘파이팅’을 외치며 내 서랍속에서 반짝이는 브럿지를 볼 때마다 그들을 떠올려 행운을 빌어준다. 그리고 황혼무렵 ‘백파이프’ 고운 연주로 내가 마치 ‘스코틀랜드’ 동화의 궁전에 온듯 착각을 하도록 인상깊게 환송을 해 주던 그들을 잊을 수 없어 Burnie는 내 마음속에 오래오래 남아 있을 것만 같다.

여행은 새로운 곳을 보고 경험하는 것도 좋지만 항상 깊은 인상을 심어주는 사람들이 있어 보람이 있다. 오늘도 그들은 또 다른 사람들을 위하여 정성스럽게 연주를 할 것이다. 낯선 사람들에게 행복을 심어주고 추억으로 남겨질 그들이야말로 진정 행복한 사람들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372] 인터넷상의 비지니스

댓글 0 | 조회 2,828 | 2008.01.15
최근 인터넷상의 상품매매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이는 비지니스 환경의 변화로 많은 인터넷 쇼핑몰이 생겨나는 이유도 있겠지만, TradeMe와 같은 인터넷 경매사이… 더보기

[371] 자선기관 등록 개요

댓글 0 | 조회 2,826 | 2007.12.20
이번호에는 교민 종교단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Charities Commission 등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미 자선단체 등록을 마쳐 있는 종교 기관도… 더보기

[370] 부동산 관련세법의 이해

댓글 0 | 조회 3,327 | 2007.12.11
지난 6회에 (364~369호) 걸쳐 뉴질랜드 소득세법중 부동산과 관련된 조항을 주어진 공간안에 가능한한 자세히 기술하였다.필자는 가끔 고객으로부터 부동산세법에 … 더보기

[369] Major Development or Division (CB 11)

댓글 0 | 조회 2,583 | 2007.11.28
이번 호에는 부동산관련 조항 중 과세대상을 명시 한 최종 조항인 CB11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래의 내용들은 극히 일반적이다. 즉, 다른 변수가 있을 경… 더보기

[368] 대지 용도 변경에 따른 부동산 소득

댓글 0 | 조회 2,846 | 2007.11.13
이번 호에는 대지용도변경(Re-zoning)에 따른 부동산 매매차익에 대한 소득세과세 여부를 규정한 CB 12와 인정경비(Deduction) 계산법을 규정한 DB… 더보기

[367] 개발/분할 Undertaking or Scheme

댓글 0 | 조회 2,541 | 2007.10.24
이번호에는 부동산관련세법 중 부동산업자(부동산매매, 개발, 신축업자)가 아닌 일반투자자가 대지를 개발 혹은 분할 할 경우 적용될 수 있는 조항 CB 10에 대해서… 더보기

[366] 부동산개발업자 & 신축업자(CB8&CB9)

댓글 0 | 조회 2,930 | 2007.10.09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는 부동산관련 소득세 법 중 부동산개발 및 신축업자 관련조항인 CB 8과 CB 9의 "10년 Rule"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다. … 더보기

[365] Land Dealing Business & 10 Year Rule

댓글 0 | 조회 2,708 | 2007.09.26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는 부동산업자(부동산 매매, 개발, 신축업자)의 부동산 매매에 대한 소득세규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래의 내용들은 극히 일반적이다. … 더보기

[364] Land Acquired for Disposal

댓글 0 | 조회 2,581 | 2007.09.12
아직도 "뉴질랜드에서는 양도소득세가 없다" 라고 알고 있는 투자자들이 있다. 물론, 뉴질랜드에서는 Capital Gain에 대한 세금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비투… 더보기

[363] 세금회피(Tax Avoidance) 관련조항

댓글 0 | 조회 3,120 | 2007.08.28
소득세법에 의하면, 납세자가 어떤 세금회피계획 (Tax Avoidance Arrangement)에 의해 세금회피나 세금혜택을 받았을 경우, IRD는 이에 대해 대… 더보기

[362] 저축상품으로써의 키위세이버

댓글 0 | 조회 2,883 | 2007.08.15
키위세이버에 관한 많은 홍보로 대부분의 교민 납세자들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은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면에 다른 무엇인가 있을 것이… 더보기

[361] 부동산거래 감사(監査)예산 확대

댓글 0 | 조회 2,766 | 2007.07.24
2007년 정부예산 (지난 5월 17일 발표)에는 부동산 거래 감사예산 $14.6milion(3년간)을 추가로 산정, 포함 하고 있다. 이번 호에는 정부예산 발표… 더보기

[360] 키위세이버(KiwiSaver)의 장 단점

댓글 0 | 조회 4,798 | 2007.07.10
지난 7월 1일부터 키위세이버 제도가 시행됐다. 이미 IRD를 비롯한 각종 언론에 의해 키위세이버가 소개 되어지고 있지만, 많은 찬반(贊反)언론에 때문에 납세자에… 더보기

[359] 키위세이버 관련 고용주 의무

댓글 0 | 조회 2,504 | 2007.06.27
오는 7월 1일부터 키위세이버(KiwiSaver)가 시행된다. 이번 호에는 키위세이버 관련 주된 고용주의 의무에 대해 IRD자료를 바탕으로 소개하도록 하겠다. 개… 더보기

[358] 키위세이버 (KiwiSaver)

댓글 0 | 조회 2,401 | 2007.06.13
지난 5월 17일 정부예산 발표에 키위세이버(KiwiSaver)와 관련한 보완정책을 발표했다.오는 7월 1일 키위세이버 시행일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갑작스런 발표… 더보기

[357] 임대(賃貸) 주택

댓글 0 | 조회 3,493 | 2007.05.23
이번호에는 투자자산으로 임대주택을 보유할때의 메리트에 대해 그리고 임대주택에 관련하여받은 문의사항에 대해 답변해 보도록 하겠다. 이자율이 높은 이시점에 모게지를 … 더보기

[356] Salary Sacrifice

댓글 0 | 조회 4,090 | 2007.05.09
오는 7월 1일자 KiwiSaver 시행을 앞두고 Salary Sacrifice란 단어를 자주 듣게 될 것이다. 이번 호에는 Salary Sacrifice가 무엇… 더보기

[355] 해외주식세 개요

댓글 0 | 조회 3,413 | 2007.04.24
지난해 11월14일자 연재된 “Capital Gain” (344호) 에 ‘해외주식투자에 대한 과세’ 를 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소개한 적이 있다. 이 법안은 지난해… 더보기

[354] 비(非)사업 납세자의 소득세신고

댓글 0 | 조회 3,418 | 2007.04.12
전화상담을 하면서 느끼는 점은 아직도 많은 비(非) 사업 납세자들이 소득세 신고 의무에 대해 부정확 정보를 가지고 있구나 하는 것이다. 이번호에는 그동안 다루지 … 더보기

[353] 4월1일자 변경/시행되는 내용

댓글 0 | 조회 2,470 | 2007.03.27
◎ 가족수당(Family Tax Credit) - Family Assistance로 알려졌던 가족수당이 Family Tax Credit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월 … 더보기

[352] 재고조사 (Stocktaking)

댓글 0 | 조회 2,762 | 2007.03.12
상품매매를 업으로 하는 사업자는 매해 3월 31일 자로 재고조사를 하여야 한다.이번 호에는 세무적인 측면에서 재고조사를 왜 해야 하는지 재고조사 준비는 어떻게 해… 더보기

[351] Home Office 경비

댓글 0 | 조회 2,825 | 2007.02.26
회계연도말일은 사업자가 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매해 3월 31일이다. 따라서 시기에 맞추어 3월의 연재 글은 회계연도말 준비사항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더보기

[350] Entertainment 경비

댓글 0 | 조회 2,685 | 2007.02.13
뉴질랜드에서 처음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교민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부분중의 하나는 “접대비 손비인정 한도액은 있는지, 접대비는 어떻게 손비인정되는지" 일 것이다. … 더보기

[349] 부가세 영세율 (0%) 수입(收入)

댓글 0 | 조회 3,965 | 2007.01.30
이번 호에는 부가세 영세율(0%) 수입(收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부가세 영세율 수입”을 “부가세 면세수입”과 혼돈하지 않기를 바란다. 공통점은… 더보기

[348] 비거주자(Non-Resident)의 소득신고

댓글 0 | 조회 3,148 | 2007.01.15
세법상 비거주자인 경우에도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수입에 대해서는 뉴질랜드에 소득세 납부를 해야 한다.참고로, 세법상 거주자/비거주자 구분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이민법… 더보기